대부분의 커스텀이 5속성을 가지고 있는 무기 활


회심격[속성]과 속성치 증가를 이용해 속성 데미지 극대화로 몬스터를 수렵합니다.


하지만 속성치 증가에는 한계가 존재합니다.


무기 속성의 3분의1, 그것도 어떤식으로 버림을 하는지 모르지만


속성치 300인 무기에 3레벨 100을 +시켰을때 390만 적용됩니다.


조금 불친절하지만 속성 극대화 커스텀이기 때문에 속성을 찍는데


그렇다면 속성치에 따른 데미지 증가는 어느정도 일까요.


보기 편하게 정리를 한 번 해봤습니다.


------------------------------------------------------------------------------------------------------------


실험 조건

1. 훈련 구역 통나무 - 속성 내성들이 모두 별 3개이기 때문에 데미지가 잘 들어감


2. 강격병 장착 후 3차지 공격으로 실험(강궁주 사용)


3. 사용된 무기

쟈나프 아르카우스 공격력 240, 회심률 -20%, 불속성 390

레이펀 라이크 공격력 180, 회심률 0%, 얼음속성 390

역회심은 커스텀 강화로 커버 후 비회심, 회심 데미지 비교

(두 무기는 기초 공격력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통나무 데미지에서도 차이를 보입니다.

하지만 회심률이 다르기 때문에 사냥시 평균 기대값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실험 시작

쟈나프 아르카우스

스킬X(불속성 390) - 비회심 38

속성강화 1(불속성 420) - 비회심 39

속성강화 2(불속성 450) - 비회심 40

속성강화 3(불속성 490) - 비회심 41

속성강화 4(불속성 510) - 비회심 42


※ 속성강화 1당 데미지가 1씩 증가했습니다.

중요한것은 속성강화는 1슬롯 스킬이고 아직 회심격을 적용하기 전의 데미지 증가량입니다.

그렇다면 공격이나 통상화살 강화로 이정도의 데미지 증가량을 보이려면 어느정도의 스킬이 필요할까요.


공격4/통상화살 강화(불속성 390) - 비회심 41


※ 슬롯은 공격4와 통상화살 강화가 더 많이 소모되는데 데미지 증가량은 비슷하네요.

또한 속성강화는 강사, 연사 두가지 공격 모두에 적용됩니다.


레이펀 라이크

스킬X(얼음속성 390) - 비회심 32

속성강화 4(얼음속성 510) -  비회심 36

공격4/통상화살 강화(얼음속성 390) - 비회심 35


※ 레이펀라이크도 비회심 데미지는 쟈나프 아르카우스와 비슷한 데미지 증가량을 보였습니다.

퍼센트로 본다면 레이펀 라이크쪽이 더 크게 증가했네요.

이제 회심격을 적용한 데미지를 비교해보겠습니다.


쟈나프 아르카우스

회심격 적용(불속성 390) - 회심 49

회심격 적용/속성강화 4(불속성 510)- 회심 53


레이펀 라이크

회심격 적용(얼음속성 390) - 회심 42

회심격 적용/속성강화 4(얼음속성 510) - 회심 46


※ 회심격을 적용하니 두 무기 모두 매우 큰 폭으로 데미지가 증가했습니다.

속성을 포기하고 완전충전3, 공격4, 약점특효, 슈퍼회심3,

통상화살 강화를 해보았지만 저 데미지에 조금 모자랐습니다.


하지만 위에 회심격에는 레우스 2셋과 1슬롯 4개만 적용된 데미지입니다.

체술, 통상, 강사 강화 등을 더 적용한다면 일반 공격력, 슈퍼회심만을 찍었을 때에 비해

훨씬 큰 상승폭을 보여줍니다.(속성 약점3성인 몬스터 한정)



이제 많은 분들께서 궁금해 하실 속성3,공격4 VS 속성4,공격3의 효율을 알아보겠습니다.

공격대신 간파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간파는 회심률이기 때문에

빅데이터를 수집하기 힘들것 같아 기초 공격력 VS 속성데미지를 했습니다.


쟈나프 아르카우스

공격4/속성강화 3(불속성 490) - 비회심 44 회심 59

공격3/속성강화 4(불속성 510) - 비회심 45 회심 59


※ 레이펀 라이크는 두 조건의 데미지가 같았습니다.

쟈나프 아르카우스보다 기초 공격력이 낮기 때문에

공격력 3의 효율이 미세하게나마 더 좋았기 때문입니다.


■ 결론

속성강화 4레벨로 증가하는 20은 적은 수치가 아닙니다.

하지만 위와 같은 경우라면 4레벨을 포기하고 공격을 찍으면 회심률 5%로 인해

평균 기대값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공격을 찍겠지만

만약 슬롯이 남는다면 속성 한계치까지 찍어주는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