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 제 글의 요지를 조금더 반영한 제목으로 수정하였습니다.
기존 제목은 

기존의 위도우 줌감도 계산식에 대한 이해

였습니다.

위도우 38 50줌감도 쓰는게 잘못되었다는것은 절대로 아닙니다.
하지만 가끔 어떤분들이 줌감도 38, 혹은 50이 노줌감도와 가장 1대1로
느껴지는 감도라고 생각하시는 것을 보았습니다.
제 생각에 이것은 완전히 틀린 생각입니다. 
제 글을 읽고, 다시한번 줌감도에 대해 생각해 보셨으면 합니다.


——————————————————————————


기존의 방법은 시야각 103, 줌 시야각 51에 있어서



두가지로 나뉨. 하나는 탄젠트 51.5도와 탄젠트 25.5도를 이용한 줌감도 38을 쓰는법 -> tan(25.5) / tan(51.5)

하나는 시야각의 비율을 따지는 줌감도 50 -> 51/103

어떤사람들은 38, 50 둘다 맞다고 말함

내가 확실하게 말할수 있는건 저 위 두 계산식 모두 틀렸음

그렇다면 정확한 계산식은 뭔데?
라고 물으실수있음. 지금부터 전제 1 ,2를 두고 계산할건데
틀렸다고 생각되는부분이 있으면 지적바람


전제 1. 오버워치의 감도는
          움직이는 시야각/마우스의 움직임 으로 책정됨
          -> 감도 10일때 마우스를 돌리면 뒤돌아본다면
              감도가 20일때 같은거리를 움직이면 360회전

전제 2. 우리의 목표는 줌감도를 조절하여 줌했을때의 화면내  에임 이동이 노줌상태와 같아지는것임
->  모니터상의 같은 거리 움직임은 줌상태와 노줌상태 상관없이 일관된 마우스 거리 이동


전제 1,2를 합치면 마우스의 이동 거리는 고정할거니까 감도의 비 => 시야각의 비로 나와야 한다는 것을 알수 있음.


그리고
정확한 줌감도 계산식은 다음과 같음

arctan(b x tan(25.5도))    /     arctan(b x tan(51.5도))
x 100
여기서 b = 현재 화면 중심부터 목표지점까지의 거리 / 화면 중심 으로부터 목표지점까지 직선을 그었을때 화면 가장자리까지 의 길이

쉽게 말하자면 b는 내가 끌어치기를 하려는 거리를 나타내주는 변수임



이 식을 이해한사람이라면 바로 알수있는데
절대적 줌감도라는것은 존재하지않는다는것임.
변수 b가 변하면 줌감도도 변함
-> 내가 움직이려는 에임의 거리에 따라, 기본감도와 1대1로 만드는 줌감도는 실시간으로 변함.



+)  조금 더 파고들자면 시야각을 화면상으로 적용시킬때 삼각함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비례관계가 무너져서 
     (우리가 보는 실제 환경은 호 , 화면에 표시되는 시야는 현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괴리가 생김)
      arctan함수의 그래프 개형을 생각하면 쉬울듯




줌감도 38과 50이라는 값은 그러면 어디서 나온걸까?




1. 38

38이란 값은 tan 25.5 / tan 51.5 에서 나온 값인데

화면의 배율을 이용한 값임. 화면이 2.xxx배 커졌으니까 감도도 2.xxx배만큼 줄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나오는 값이지

솔직히 그럴듯 하긴 함.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걸 듣고 아 그렇구나 할 정도로.


그런데 이는 위의 전제 1을 무시한 결과임


오버워치를 포함한 대부분의 fps 게임들의 감도는 시야각을 기준으로 책정됨.

따라서 감도의 비는 각도의 비로 나타내어져야하지만, 38은 탄젠트의 비(배율의 비)로 나타낸 값이기 때문에
잘못된 계산임


삼각함수에 대해서 고등학교 수준으로라도 알고 있다면 
각도의 비와 그 각도의 탄젠트값의 비가 다르다는 거는 다 알거임.

tan30이랑  tan60 비교해보셈 한번
각도가 두배라고 해서 탄젠트값도 두배가 되는거는 아닌거 알겠지?




2. 50

각도의 비로 나와야 한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이 주장하는 값.
시야각이 103도 애서 51도로 줄었으니 , 감도도 51 / 103 해서 50으로 해야한다 
가 이들의 논리인데 ,


50이라는 값은 계산식의 접근 자체가 잘못되었음

줌감도를 계산할때에는  전체 시야각의 비가 아닌,
내가 마우스를 움직일때 변하는 시야각의 비를 이용해야함


예를 들자면 , a4 용지랑 b4 용지를 생각해보셈

거기에 각각 서로 닮음인 삼각형을 그린다고 하자. 

두 삼각형의 크기를 비교하려면 a4 용지와 b4 용지의 크기의 비를 이용하는것이 아니라

두 삼각형 자체의 닮음비를 이용해야 하겠지?

저 50이라는 값은 a4랑 b4용지의 비라고 생각하면 됨.



참고로 저 위의 식에서 b=1 일때  줌감도 계산식에 따르면 50이 나오는데 
이뜻은 화면 끝까지 마우스를 움직이면 기존 감도랑 같게 느껴진다는 뜻임
그런데 아무도 그렇게 쏘지는 않잖아?







결론을 내자면,

내가 자주하는 플릭샷의 거리에 따라서
나에게 맞는 줌감도는 다 다름.

그러니까 줌감도 몇으로 해야돼요? 이 질문의 정답은 없음.

다만 더 긴거리의 끌어치기를 자주한다면 높게, 아니라면 낮게
사용하면됨.

단 50보다는 아래로. 
이보다 위로쓰면 화면 밖의 적에게 끌어치기 할때만 해당되는데,
누가 화면밖의 적에게 끌어치기를 함? 걍 예측샷이지 뭐



세줄요약 1. 절대적으로 1대1로 느껴지게 만드는 줌감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2. 50 아래로만 쓴다면 38이나  40이나 내손에만 맞는다면 (내가 하는 플릭샷의 거리에 따라) 다 1대1처럼 느껴지는 줌감도이다

3. 그러니까 나한테 맞는감도가 38 혹은 50이 아니라고해서
걱정할거 전혀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