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2018년도는 AMD에게있어 잊을수 없는  한해일것입니다


한참 뒤쳐진 만년 2인자에서 이제는 무시못하는 2인자로 다시 올라온 한해였으니까요



그중심에 피나클릿지와 레이븐릿지가 있었습니다


압도적인 가성비로 점유율을 많이 빼앗아왔죠



여기에 인텔 펜티엄라인이 차지하던 최하위 보급형 씨피유애도 손을 내밀었습니다

 

그제품이 바로 그옛날 추억의 이름 애슬론 이름을 달고나온 애슬론 200GE (220GE 2400GE) 입니다



2코어 4쓰레드의 인텔 7세대 이전 I3 라인이 차지하던 코어 / 쓰레드를 완전 보급형 씨피유로 만나게 된것이죠.



가격은 5만원후반대~6만원초반대.  우리나라에서 유독 피나클과 레이븐이 싼것을 생각할때

아쉬움이 없지는 않지만 보급형라인에서 1만원은 무시못하는 비율입니다



자 지금 부터 살펴볼 내용은 실질적인 사용을 위주로 작성되었습니다.




리뷰에 사용된 상세 제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CPU : AMD 애슬론 200GE 3.2G

RAM : 삼성 DDR4 8G 21300 * 2 = 16G

M/B : 기가바이트 A320M-H

파워 : 앱코 수트마스터 마이티 600 80+

케이스 : 브라보텍 SWORD S820 RGB 타이탄 글래스 블랙

SSD : 에센코어 클레브 N600 120G (TLC 2D, D램 캐쉬 존재)



조립은 과정중 기존의 피나클 2700 기본 쿨러 (스톡쿨러)가 있어

활용하였습니다




1차 완성된 모습입니다.  붉은색 LED로 통일한 모습인 인상적입니다.




윈도우와 기본적인 프로그램 세팅후

본격적인 성능 및 사용에 들어가보겠습니다





먼저 CPU-Z 입니다. 기본적인 씨피유와 보드 그리고 램의 사용이 나와있습니다.

간단한 벤치도 진행할수 있었고

피나클 현재 최상위인 2700X와 비교했을때는 부족하지만

 최하위 보급형임을 감안할때는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다만 애슬론은 고급보드 (X470)을 쓰더라도

오버클럭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몇몇 편법등이 존재한다고는 하나 추천하지 않습니다)


거기에 램클럭 오버도 막혀 있습니다

씨모스 (바이오스)에서 클럭을 올려도 실제 윈도우에서 반영되지 않습니다.

버그라기 보기엔 제가 사용한 보드외 다른 분들의 사용기에도 같은것으로 보아

일부러 막아둔듯합니다

최대 지원은 DDR4 21300 으로 보입니다.






다음은 크롬을 사용한 유튜브 4K 60프레임 초고화질 가속입니다


VEGA3 내장 그래픽이 내장된 CPU 이기때문에 역시 "하이브리드 가속"이라는

불완전하긴해도 없는것보단 훨씬 나은 가속을 보여줍니다


일반적으로 감상하는 목적의 유튜브 활용에는 충분하듯합니다




다음은 AMD 만의 동영상 감상의 특별한 기술

플루이드 모션입니다. 호불호가 갈리지만

특정 상황이나 영상에선 분명 좀더나은

영상감상을 보장한다고 생각합니다.


역시 VEGA3  를 활용하여  1080P 정도는 60프레임으로 지원합니다 ~


플루이드 모션 가속을 5만원대로 즐겨볼수 있다는건

보급형PC구성에 있어 큰 메리트임에 분명할듯합니다.






성능확인의 마지막은 게임용으로 활용가능 여부를 따져볼 3DMARK 파이어 스트라이크 입니다

파스라고 불리는 5400점이라는 비교적 준수한 피직스스코어 (CPU점수) 에비해

그래픽스코어 1500점은 그옛날 10여년전 라데온 5770에서 보던 점수였습니다.

5850 급(2600점)을 바랐다면 조금 욕심이였을까요?



정말 캐쥬얼한 게임이이면 무리없겠지만 최신 주류게임은 조금 힘들어 보입니다.

물론 게임용 그래픽카드를 장착하면 이야기는 달라지겠지만요...





제가 직접 셋팅후 사용해본


200GE의 성능은


사무용 및 웹서핑 + 유튜브 & 영화감상 + 캐쥬얼&고전 게임용으로는

충분한 성능이였습니다.


즉 완벽한 보급형 제품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더욱이 최대 35W의 낮은 전력소모량과 낮은 발열로 그메리트를 더해주고 있었죠



AMD 막내제품. 결코 얕볼수 없는 매력적인 막내라고 볼수 있을듯합니다.


가격이 5만원 중반대 이하로 내려간다면 더 경쟁력 있다고 볼수 있을듯하구요 ~


아쉬운점이 한가지 있다면 AMD는 인텔에비해  램클럭과 타이밍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좀더 큰데 램클럭 오버클럭이 막혀있는것은 보급형이라 하더라도 이는 분명 아쉬운 점입니다.

추후 보드 바이오스 등으로 보완 될수 있는 점이라면 수정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실질 사용을 통한 사용기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은 컴퓨존 AMD 애슬론 & GIGABYTE 메인보드 체험단을 통해 무료로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출처 : http://dpg.danawa.com/bbs/view?boardSeq=28&listSeq=3824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