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쉬템. 부분유료 과금제도. '

이건 유저가 색안경을 끼고 보는 문제가 아닙니다.

논리적으로 그 게임회사들이 지금껏 걸어온 행태를 보고 유저들이 나름대로의 판단을 내린것이죠.

이건 선입견이나 색안경이라고 보기보다는 일종의 행태주의. 행태연구라고 보시는게 맞을것 같네요.

 

그리고 LOL 이 aos 장르의 특성상 지금의 LOL 요금제가 만들어진 것이 아니죠.

LOL 이라고 왜 팔게 없을까요 ?

밑에 글 댓글에도 적었지만 .. 룬 .. 지금 시스템은 레벨되면 칸이 열려서 게임 내 화폐로 구매해서 장착하는 식이죠.

룬 해제가 자동이 아닌 캐쉬 결제로 할수도 있고. 지금처럼 자동으로 해제되는 것과 동시에 플러스로 vip 회원에게 룬 칸을 몇칸 더 주는 식으로 할수도 있습니다.

특성도 마찬가지죠. 10포인트 일주일 이용권이라던가. vip 회원권에 혜택으로 팔수도 있죠.

소환사 주문. 점멸같은 유저들이 자주 이용하는 주문. 기본적인 주문을 제외한 점멸같은 경우 주문 자체를 캐쉬로 팔거나 vip 회원의 특혜로 팔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게임 진행시 돈템을 구입하면 10초당 5골드가 들어오죠. 서포트같은 경우 초반 이러한 돈템을 구입하는데. 그냥 vip 회원의 혜택으로도 팔수도 있습니다.

캐쉬템이라는 것은 장르에 구애받지 않아요. 지금의 LOL 요금은 라이엇이 유저를 위하고, 개발자 자신들 또한 유저라고 생각을 하고, 게임을 게임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할수있는 요금제로 아주 대단한거죠.

 

이번에 NC 에서 유럽 아이온을 Free To Play 라는 부분유료 요금제를 바꿨습니다. 쉽게 말해 북미식 부분유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캐쉬템을 팔지 않고, 기본적인 게임 자체는 일부 컨텐츠를 제한한 상태로 무료로 이용이 가능한 대신. 유료 결제를 하면 모든 컨텐츠를 이용이 가능한 방식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행해지는 많은 부분유료제보다 훨씬 더 친유저정책이죠.

반면에 NC 도 우리나라에서는 그런거 개나줘라 라는 식이죠.

 

즉, 캐쉬템은 색안경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서비스 하는 게임들의 고질적인 문제라고 생각이 되네요.

 

한가지 덧붙이자면 .. 어디나라는 우리보다 더 안좋네 어쩌네 하면서 태클 거실분들이 계실것 같아 드리는 말씀인데요.

게임업계뿐만 아니라 무엇이든 발전하려면 안좋은 것과 비교하면서 더 안좋게 되기를 바라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