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7일 노환으로 선종한 고(故) 정진석 추기경의 장례미사가 1일 서울 명동성당에서 봉헌됐다.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이날 명동성당에서 서울대교구장 염수정 추기경과 한국 주교단 공동 집전으로 고인의 장례미사를 거행했다. 제단 앞으로 정 추기경이 환하게 웃는 영정과 그가 안치된 삼나무관이 자리해 장례미사에 참석한 이들을 마주했다. 제대 양쪽으로는 정 추기경이 사목표어로 삼았던 '모든 이에게 모든 것(Omnibus Omnia)'을 적은 펼침막이 장식됐다. 강론자로 나선 염 추기경은 선배이자 동료 사제였던 정 추기경과 함께했던 일을 돌아보며 안식을 기원했다. 염 추기경은 "교회의 큰 사제이자, 우리 사회 어른을 떠나보낸다는 것은 참 슬프고 어려운 일"이라며 "김수환 추기경께서 돌아가셨을 때 의지하고 기댈 분이 없어 허전하다고 했던 정 추기경 말씀을 저도 이제 깊이 동감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선종 때도 언급했지만, 김수환 추기경님이 아버지 같은 존재였다면, 정 추기경님은 우리 교회와 사제에게 어머니 같은 분이었다"며 "겉으로 보이는 근엄하고 박력 있는 모습 이면에 가까이 지내면 부드럽고 온유하고, 넓은 아량에 사랑을 지니신 분이었다"고 회고했다.

























A4용지 여러 장에 정 추기경을 애도하는 내용의 글을 써온 염 추기경은 고인의 생전 일을 언급할 때는 감정이 복받쳐 오르는 듯 한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종이를 든 그의 손은 울먹거리는 목소리와 함께 떨렸다. 염 추기경은 눈물이 맺힌 듯 코끝을 잠시 잡고서야 다시 말을 이었다. 그는 "정 추기경은 모든 것을 버릴 때 모든 것을 얻을 수 있다는 역설을 당신의 삶으로 우리에게 보여주셨다"며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이고 하느님 뜻인지 알려주셨다"고 돌아봤다. 프란치스코 교황도 염 추기경에게 애도 서한을 보내 정 추기경 선종을 위로했다. 교황은 미사에 참석한 주한 교황대사 알프레드 슈에레브 대주교가 대독한 애도 서한에서 " 전 서울대교구장 정진석 니콜라오 추기경의 선종 소식을 듣고 깊은 슬픔을 느꼈다"며 "서울대교구의 성직자, 수도자, 평신도들에게 진심 어린 애도의 말씀을 전하며 기도로 함께할 것을 약속한다"고 추모했다.

















미사 후반에는 정 추기경의 생전 모습과 사제로서 그의 생각을 담은 영상이 상영됐다. 이날 미사에는 '코로나19' 방역수칙에 따라 성당 내 전체 좌석 수의 20% 수준인 250명만 참석이 허용됐다. 정 추기경의 유가족과 원로 사제, 동료 사제, 내빈은 거리두기를 유지한 채 성당 장의자에 앉아 두 손을 모으고 기도를 올렸다. 대신 성당을 찾은 일반 신자들은 성당 옆 영성센터에 마련된 대형 스크린 앞에서 정 추기경의 작별 순간을 함께 했다. 스크린 앞으로는 수백 명의 신자들이 띄엄띄엄 앉아 미사 중계를 지켜봤다. 장례미사가 엄수된 뒤로 경기 용인공원묘원 내 성직자묘역으로 운구돼 영원한 안식에 들어간다. 그는 성직자 묘역 내 고(故) 김수환 추기경과 김옥균 주교의 묘소 옆자리 1평 공간에 안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