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media.daum.net/m/media/politics/newsview/20151207174031032

김태호 "그들만의 잔치 안되려면 전략공천해야" 김무성 압박

결선투표·컷오프도 '화약고'…공천특별기구 합의후부터 신경전

(서울=연합뉴스) 안용수 배영경 류미나 기자 = 새누리당의 20대 총선 후보자 공천룰(방식)을 둘러싼 갈등이 본격 점화하는 양상이다.

새누리당은 김무성 대표와 친박(친 박근혜)계의 이견으로 두 달 넘게 끌어온 공천특별기구를 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족키로 하면서 첫 단추는 끼웠지만 정작 폭발력이 큰 쟁점들은 미합의 상태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가장 큰 쟁점으로는 '인위적 물갈이'를 겨냥한 전략공천과 현역 의원 '컷오프'가 떠올랐다.

내년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김태호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특별기구가 출범하고 결선투표제를 도입키로 했지만 이게 전부는 아니다"라면서 "컷오프나 전략공천이 배제된 상태에서 공천룰이 논의된다면 그들만의 잔치라는 폐쇄정치로 비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최고위원은 기자들과 만나서는 "현역 의원이 불출마 선언을 더 많이 해야 한다. 집권 여당이 그런 모습을 강하게 보여주는 게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주장했다.

최근 청와대나 친박계와 거의 일치된 목소리를 내온 김 최고위원은 이날 잇단 발언을 통해 이미 지난해 7·14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에 선출되면서부터 '전략공천은 없다'면서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공개천명했던 김 대표를 면전에서 압박한 것이다.

김 대표는 즉석에서 김 최고위원의 발언에 즉각 대응하지 않았지만 표정은 밝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김 대표는 앞서 전날 저녁 최고위원들이 전원 참석한 비공개 만찬에서도 전략공천과 컷오프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자 "하려면 나를 죽이고 하라"며 강력 반발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공천룰에 대한 합의사항으로 발표한 결선투표제 도입과 공천후보 여론조사에서의 당원 대 국민 비율 조정 역시 세부 합의를 남겨 두고 있어 앞으로 계파간 충돌 소지가 다분하다.

결선투표제의 경우 실시 조건을 두고 시각차가 현격하다.

김 대표는 최고위 직후 기자들과 만나 "결선투표제를 전면 실시하느냐, (아니면) 1, 2위간 큰 차이가 났을 때는 그냥 확정하느냐 등의 구체적인 방법은 특별기구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 측은 오차범위의 접전일 경우만 결선투표를 시행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한 반면, 친박계에서는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각과 청와대에서 고위직을 지낸 '박근혜 키즈'들이 영남을 중심으로 한 새누리당 우세지역에서 현역의원 프리미엄이라는 방어막을 뚫으려면 현역 의원과 '1:1' 구도를 만드는 게 아무래도 유리한 게 사실이라는 분석이다.

'박심(朴心·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을 은연중에 내비쳐 박 대통령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당원들을 결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에 '친정 체제'를 구축하고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도모하는 친박계의 이해관계와도 맞아떨어지는 측면이 있다.

당원과 국민 참여 비율 역시 김 대표는 선거를 앞두고 비정상적으로 당원 숫자가 늘어난 곳이나 호남과 같은 약세 지역 등에서는 국민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친박계는 여전히 당헌당규에 따라 50:50을 고수하고 있다.

실제로 한 친박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금은 김 대표의 체면을 세워 준 합의로 봉합했지만 결국 김 대표가 물러서 당헌당규대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비박계 한 인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