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열기를 한껏 머금고 숨 가쁘게 달려온 2015 LoL 챔피언스 리그(이하 롤챔스) 섬머 정규 시즌도 어느새 그 막을 내렸다. 10팀 체제로 바뀌며 빠른 템포의 경기 일정을 소화해 내야 했기에 기존 선수들 입장에선 힘든 시즌이었다. 하지만 경기가 많았기에 뉴 페이스들에게는 그 어느 때보다 넓은 기회의 장이었다. 또한, 꿈의 무대인 LoL 월드 챔피언십과도 큰 연관이 있는 시즌이었기에, 선수들은 그야말로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을 쏟아부었다.

'치열하다'는 말 한 마디로는 부족한 시즌이었다. 단 1승을 하기위해 미칠 듯이 노력하고 땀흘리는 팀이 있는가 하면, 과거의 영광을 되찾고 최강의 자리에 군림하고있는 팀도 있었다. 또 그 최강자를 끌어내리기 위해 날을 갈고있는 팀들의 뜨거운 경쟁이 펼쳐지기도 한 이번 롤챔스 섬머. 여름에 걸맞는 뜨거운 팬들의 응원과 화끈한 명경기들이 있었기에 이번 시즌은 더욱 빛날 수 있었다.

인벤팀에서는 이렇듯 뜨거운 열기의 2015 롤챔스 섬머 시즌을 팀별로 결산하여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그 두 번째 주인공은 롱주 IM이다.


▲ Incredible Miracle을 만들어라, 롱주 IM!



■ 낭떠러지 앞에 선 롱주 IM, 자존심을 지키다.

스프링 시즌 일정을 모두 마치고 'Longzhu'라는 새 스폰서까지 얻은 IM에게는 아직 승강전이라는 산이 남아있었다. 팀이 한창 힘들 무렵에도 꿋꿋하게 IM을 외치던 팬들의 기대를 채워주기 위해서, 또 선수로서의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IM은 반드시 섬머 시즌에 남아야했다.

팬들의 간절한 마음이 통한 것일까. IM은 위너스를 상대로 승강전 첫 경기에서 엄청난 경기력을 펼치며 섬머 시즌에 반드시 진출할 것이라는 의지를 보여줬다. 특히, 많은 걱정을 어깨에 짊어지고 정글러로 포지션을 변경한 '투신' 박종익과 아마추어 시절부터 범상치 않은 실력을 보여오던 '이그나' 이동근이 안정적인 플레이를 보여주며 승강전을 응원하는 팬들을 안심시켰다.


▲ 승강전에서 활약한 투신과 이그나!


또한 '라일락' 전호진의 자리를 대신한 '애플' 정철우의 활약이 눈부셨다. 이어서 있었던 아나키 전에서 환상적인 텔레포트와 궁극기 활용으로 혼자 13킬을 만들며 게임을 하드 캐리하는 모습은 팬들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주었으며 관중석에서 'IM'을 외칠 힘을 다시 한 번 얻게 해줬다. 신예 팀들을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누른 IM은 승강전을 첫 번째로 돌파하며, 롤챔스 섬머 잔류에 성공했다.

IM은 롤챔스 무대에서 겪을 수 있는 모든 시련을 겪어본 팀이며 흔들리고 있는 팀이었다. 하지만 승강전에서 IM은 자신들이 '프로'라는 것을 경기력으로 입증했다. 팀의 자존심, 팬심까지 모두 잃을 수 있었던 이 두 경기에서 IM은 당당하게 승리하며, 섬머 시즌을 풀어나갈 힘을 얻게 됐다.


▲ 강한 인상을 남긴 '애플'의 나르 플레이!(사진 출처: OGN)



■ 기분 좋게 시작한 1라운드. 그러나...

행복도 잠시. 시련은 바로 찾아왔다. 승강전을 4전 전승으로 돌파해 기분 좋은 시작을 알린 IM이지만, 5월 22일 있었던 진에어와의 '임진록'에서 2:0으로 패하며 파죽지세 같던 기세가 누그러졌다. 신예 선수들을 주축으로 크고 작은 실수가 이어졌으며, 포지션 변경을 한 '투신' 박종익 또한 승강전 때의 경기력을 찾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다음 있었던 아나키전에서 승리를 거둔 IM이었지만, 갓 롤챔스 무대에 올라온 팀에게 3세트까지 가는 접전을 펼쳤기 때문에 IM 입장에서 기분 좋은 승리라 할 수는 없었다. IM이 섬머 시즌을 잘 풀어나갈 수 있다는 것을 팬들에게 보여주기 위해서는 보다 강한 팀을 잡아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 놓인 IM은 6월 6일 있었던 KT전에서 1세트를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따낸 후 2세트에서도 극 후반까지 가는 경기 끝에 KT의 억제기 3개를 전부 파괴하며 승기를 잡은 듯 보였다. 하지만 IM의 고질병, '무리한 바론 오더'가 발목을 잡았다. 무리한 바론 시도를 한 IM은 KT의 거센 저항을 버텨내지 못하고 전멸하며 그대로 2세트를 내줬다. 마지막 세트에서까지 역전패를 당한 IM의 멘탈은 무너질 대로 무너졌으며 응원하던 팬들의 마음 또한 타들어 갔다.


▲ 1라운드 최고의 핫 이슈가된 대 kt전


이렇게 깨져버린 경기력은 좀처럼 돌아오지 않았다. 상대적 약팀인 스베누 소닉붐에게 승리하긴 했지만 어디까지나 IM보다 약체라 평가받는 스베누였기 때문에 경기력이 돌아왔다고 치부하기엔 무리가 있었다. 특히 '투신' 박종익은 계속된 컨디션 난조로 인해 아쉬운 플레이를 보였다. 팀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좋지 못하다 보니 선수 개개인이 갖추고 있는 능력이 절반도 채 발휘되지 못하는 듯 보이는 IM이었다.

비슷한 전력이라고 평가받던 삼성전에서도 경기력을 찾지 못하며, 2:0으로 패배한 IM은 절망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승강전 인터뷰에서 포스트 시즌을 목표로 한다는 포부를 밝힌바 있는 IM이었기에 1라운드 때 보여준 그들의 경기력을 지켜보는 팬들은 안타까울 수밖에 없었다.

결국, IM이 1라운드에 받은 성적표는 2승 7패. 신예 팀인 아나키와 스베누에게 각각 1승씩을 챙긴 것을 제외하면 단 한 번의 승리도 거두지 못한 굴욕적인 라운드였다. IM 선수들의 표정은 어두웠고 과연 2라운드에 경기력을 찾을 수 있을까라는 의구심까지 들게 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끝까지 응원하고 있는 팬들을 위해서라도 이번 시련을 훌훌 털고 일어나야 했다.


▲ 큰 시련에 빠진 IM. 각성해야 한다!



■ 또다시 절벽 끝에 선 롱주 IM

무너진 자존심을 되찾기 위해 IM은 '엑스페션' 구본택을 영입해 주전 탑 라이너로 세우고 컨디션 난조가 지속되고 있는 정글, 원딜 라인에 '스푸키' 문지원과 '파라곤' 최원일을 투입했다. IM의 부족한 '한 끗'을 이 선수들이 채워주길 기대하며, 2라운드 때는 달라진 경기력을 선보일 것이라는 의지를 불태웠다.

새로워진 IM의 첫 승리는 레블즈 아나키와의 경기에서 따냈다. 이날 아나키를 상대로 보여준 '엑스페션' 구본택의 모습은 '여포' 그 자체였다. 1세트에서 아나키의 날카로운 다이브 플레이를 매끄럽게 받아치며, 팀에게 힘을 실어줬다. 2세트에서는 추억의 챔피언 잭스를 기용해 팬들의 환호성을 불러일으켰고 미칠 듯한 성장을 통해 아나키를 꼼짝도 못 하게 만들었다. '여포'의 귀환을 두 눈으로 확인한 팬들은 또다시 희망을 품기 시작했고, IM 또한 오랜만에 웃을 수 있었다.


▲ '여포'의 귀환!(영상 출처: OGN)


하지만 웃음은 잠시뿐이었다. 이후 있었던 강팀, 혹은 동급의 팀들에게 무력한 모습을 보이며 또다시 슬럼프에 빠져버린 IM이었다. 1라운드 때와 똑같이 이길 것 같던 경기도 순간적인 판단 미스나 아쉬운 실수 등으로 인해 패배하기 일쑤였으며, 초반에 말리기 시작한 경기에서는 내내 역전의 기미가 보이지 않을 만큼 심하게 패배했다.

다시는 밟기 싫은 승강전 무대를 피하기위해 매 경기 고군분투하며, 있는 노력을 다한 IM이었지만 현실은 너무 가혹했다. 2라운드 초반 강한 기세를 보여준 '엑스페션' 구본택도 연속된 패배에 서서히 힘이 빠지는 듯 보였으며, 이는 다른 라인이라고 다를게 없었다. 2라운드 초반에 다진 IM 선수들의 의지는 연속된 패배에 점점 시들어갔으며, 결국 7월 29일 스베누와의 경기를 제외하고 단 한 번의 승리도 거두지 못했다.

그렇게 정규 시즌이 끝났고, IM이 거둔 성적은 4승 14패. 순위상으로 최하위를 면하긴 했으나 자존심적인 측면에서는 최하위, 혹은 그 밑까지 떨어져 버린 IM이었다. 10개 팀 중 9위를 기록함으로써 다시는 가기 싫었던 승강전 무대를 또다시 밟게 되었고, 팬들은 또다시 애타는 마음을 갖게 될 수밖에 없어졌다.


▲ 아나키전 이후 부진에 빠진 IM(사진 출처: OGN)



■ 롱주 IM, 또다시 살아남아야 한다!

섬머 시즌 의지를 불태운 IM이었지만 결국 승강전을 피하지 못하게 되었다. 하지만 IM은 롤챔스 무대의 산전수전을 전부 겪어본 베테랑 팀이다. 지난 스프링 시즌에서도 연패의 구렁텅이에 빠져 승강전까지 떨어졌지만 기적 같은 생명력으로 롤챔스 무대에 잔류한 IM. 또다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이미 엎질러진 물은 주워담을 수 없다. 인간인 이상 자신들이 받은 최악의 성적표를 보며 태연하게 다음 승강전을 준비하긴 힘들겠지만, 남은 롤드컵 기간 동안 혼잡했던 마음을 추스르고 다양한 전략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보유하고 있는 많은 선수들을 적극 기용해 최고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로스터를 확립하는 것도 하나의 과제이다.


▲ 다음 시즌에는 웃을 수 있기를..


IM은 3년 전부터 최고의 자리를 꿈꿔온 '드림팀'이며, 수많은 스타 플레이어들이 거쳐 간 전통 있는 팀이다. 때문에 승강전을 치러야한다는 사실 자체가 굴욕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은 눈앞의 불을 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무리 큰 포부를 가지고 있다 해도 롤챔스 무대에 오르지 못한다면 모든 것이 부질없어진다는 것을 확실히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그들이 최악으로 부진할 때도 항상 지켜봐 주는 팬들이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남은 기간 하루하루를 노력의 땀방울로 채워야 할 것이다.

Incredible Miracle, 롱주 IM. 지금까지 '한 끗'이 부족한 팀이라고 인식되었던 만큼 그 조그만 틈만 채워낼 수 있다면 분명 자신들의 팀 명대로 기적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 롱주 IM, 롤챔스 섬머 시즌 인포그래픽




롤챔스 섬머 팀 별 결산 기사 모아보기

팀 별 결산 ① : 스베누 소닉붐, 팬들의 시선을 바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