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엇 게임즈가 한국 문화유산 보호 및 지지를 위한 향후의 계획을 또 한번 공개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s, 이하 LoL)의 라이엇 게임즈가 금일 오전,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국립고궁박물관 대강당에서 문화재청(청장 나선화)과 함께 '후원 약정식'을 진행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한국 문화유산 보호 및 지원'을 위해 문화재청 등의 파트너사와 함께 다양한 노력을 진행해 온 라이엇 게임즈가, 앞으로의 활동을 위해 추가 기부금을 전달하고 그 계획을 밝히는 자리로 마련됐다.

라이엇 게임즈는 이번 후원약정식을 통해 문화유산 보존 관리 및 해외 문화재 환수, 각종 체험 교육 등 주요 프로젝트를 위해 총 8억원 규모의 금액을 추가 기부한다 발표했다. 2012년부터 5년 연속 <한국 문화유산 보호 및 지원>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라이엇 게임즈는 금번 후원을 포함해 현재까지 한국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 35억 원 이상의 기부금을 후원했다.

이번 추가 기부로 문화재 보호∙지원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에 본격 시동이 걸릴 예정이다. 먼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인 4대 고궁의 보존관리 사업을 지원한다. 경복궁 내 근대화의 산실이었던 건청궁(乾淸宮), 궁중의 수랏간인 소주방(燒廚房)을 대상으로 창호, 도배, 장판 등 실내 전통방식 재현사업이 진행되며, 덕수궁 온돌수리, 창덕궁 내의 고건축물 창호 목재장식 정비, 창경궁 내 영춘헌(迎春軒)과 집복헌(集福軒) 보존관리 등 다양한 곳에 기부금이 쓰이게 된다.

가장 대표적이며 상징적인 문화유적지인 4대 고궁에 대해서 그 가치를 키우고 지키기 위해 적극적인 보존관리사업 지원에 나서게 됐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또 문화재청 및 국외소재문화재재단 등과 함께 해외에 소재하고 있는 문화재 환수 사업에도 추가 기부금이 전달된다. 라이엇 게임즈는 지난 2014년 美 허미티지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던 '석가삼존도' 환수를 도운 바 있으며, 올해에도 미국 워싱턴 D.C 소재의 주미대한제국공사관 복원 활용을 위한 후원 기업으로 참여하는 등 해외 소재 문화재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해외에서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우리 문화재에 대해 향후 지속적으로 파트너사와 함께 환수 및 반환을 추진, 확정 내용은 추후 발표할 예정이다.

서울시 종로구 통인동에 위치한 '이상의 집' 지원 계획도 공개됐다. 이상의 집은 천재 문학가 이상(李箱, 1910-1937)이 살던 집 터에 자리한 문화공간으로 이상과 관련된 기록이 남아있는 유일한 장소로서 문화유산국민신탁 보존자산으로 지정돼 있다. 이번 기부금은 이상의 집 내 방문객 편의시설 확충에 쓰이게 된다.

외 LoL플레이어는 물론 청소년, 장애우 등의 역사 체험 및 교육을 위한 지원도 확대한다. 내년부터 시작되는 '충무공 이순신 톡톡' 교육 프로그램에도 기부금이 사용될 예정인 것. 이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대상 학생들이 당일 또는 1박 2일 일정으로 이순신 장군의 주요 유적지를 방문해 호연지기를 기를 수 있게 하는 유적 탐방 프로그램으로 2017년 3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될 계획이다. 올 해부터 문화재청 및 미래희망 우인과 '창덕궁'에서 진행해 온 문화유적지 탐방 및 '관계례' 체험 프로그램도 지속 병행할 예정이다.

또 라이엇 게임즈는 상/하반기 1회씩 임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온 문화재 청정활동 등의 행보를 이어가겠다 밝혔다.

후원약정식에 참석한 이승현 라이엇 게임즈 대표는 "우리 문화유산 보호 및 지지 노력을 통해 더욱 많은 분들이 우리 전통과 문화재에 관심을 가질 수 있기를 바란다"며, "LoL플레이어 여러분의 지원과 뜻을 모아 2012년부터 지속해 온 문화재지킴이 활동이 이번 후원을 통해 더욱 큰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라이엇 게임즈는 지난 2012년부터 '한국 문화유산 보호 및 지지'를 위한 사회환원 활동으로 해외소재 문화재 환수 지원, 국립고궁박물관 편의시설 및 교육시설 지원, 문화재 관련 행사와 프로그램 지원, LoL 플레이어를 대상으로 한 정기적인 문화 체험 교육과 라이엇 게임즈 임직원들이 직접 참여하는 문화유산 환경정화활동 등을 지속적으로 이어왔다. 지난해 문화재청과 함께 조선시대 국왕 행차 시 국왕의 위엄을 보여주는 상징물로서 행렬에 사용된 의장물 '노부(鹵簿)' 보존처리를 성공적으로 진행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