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무대에만 출전하면 자존심을 크게 구기는 북미 지역이 이번 2018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이하 MSI)에서도 비슷한 상황에 처했다. 팀 리퀴드가 기대 이하의 성적을 보이면서 탈락 위기에 빠졌다.

팀 리퀴드는 2018 NA LCS 스프링 스플릿 왕좌를 차지했다. 오래도록 이어졌던 TSM 독주 체제에 반기를 든 팀이 됐다. '임팩트' 정언영과 '엑스미디-포벨터'의 안정감 있는 상체 라인, 그리고 '올레' 김주성의 보좌 아래 활약하는 '더블리프트'까지. 한 명도 빠짐 없이 팀의 중심 역할을 잘 해낸 결과였다. 특히, 개인적인 사유로 힘든 시기를 겪었던 '더블리프트'가 결승전에서 맹활약했다는 점이 팬들의 심금을 울리기도 했다.

하지만 정작 MSI에서 팀 리퀴드의 현재 성적표는 처참하다. 3일 차까지 이어진 일정 속에서 1승 5패로 최하위를 면치 못했다. 그나마 3일 차 1경기였던 RNG전에서 승리를 차지했던 것이 지금까지의 유일한 승리였다.

팀 리퀴드의 경기력이 아무런 경쟁력을 가지지 못했던 건 아니었다. 킹존 드래곤X와의 경기에서는 중반까지 매서운 움직임으로 주도권을 잡기도 했고, 에보스 e스포츠와의 난전 구도에서도 쉽게 밀리지 않았다. 하지만 팀 리퀴드는 북미 지역 팀들의 고질병인 중반 이후 운영에서 약점을 노출했고, 초중반 스노우볼을 승리로 연결하지 못했다.

좋지 않은 성적에도 여전히 팀 리퀴드는 준수한 경기력을 유지하고 있는 '더블리프트'라는 카드를 쥐고 있다. 실제로 '더블리프트'는 패배했던 경기에서도 큰 실수를 범하지 않았고, 오히려 끝까지 분전하는 모습을 보인 바 있다. 하지만 단단한 '임팩트'가 무너지거나 '더블리프트' 쪽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지 못하면 생각보다 쉽게 무너지고 있다는 점이 팀 리퀴드의 최대 약점이다. 실제로 3일 차 킹존과의 대결에서는 중요했던 봇 라인 주도권을 쉽게 내주면서 허무한 패배를 당했다.

북미 대표 자리를 꿰찬 팀 리퀴드가 계속 흔들리고 있다. 이대로라면 변수 없이 최하위권에서 MSI 조기탈락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될지도 모른다. 항상 국제무대에서 쓴 맛을 봤던 북미 지역이 팀 리퀴드와 함께 '반전'을 만들 수 있을까. 현재 상황에서는 탈락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2018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그룹 스테이지 4일 차 일정

1경기 킹존 드래곤X vs RNG
2경기 프나틱 vs 플래쉬 울브즈
3경기 에보스 e스포츠 vs 팀 리퀴드
4경기 RNG vs 플래쉬 울브즈
5경기 킹존 드래곤X vs 에보스 e스포츠
6경기 팀 리퀴드 vs 프나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