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대표해 국제 대회에 나간 SKT T1이 이번 MSI에서 4강이라는 성적을 냈다. 이제는 확실히 전 세계 LoL 씬에서 LCK의 입지가 많이 바뀌었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는 결과였다. 지난 롤드컵과 MSI에서 각각 LPL과 LEC가 우승을 차지했고, LCK의 기대를 한 몸에 받는 팀이 8강-4강에서 탈락의 고배를 마셔야 했다.

그 결과로 과거의 기억과 함께 희망만으로 국제 대회의 경기를 지켜보긴 힘들어졌다. LCK 그 중 SKT T1이라면, 그룹 스테이지의 부진과 상관없이 높은 곳으로 올라갈 것 같았다. 그렇지만 이 시점부터 냉철하게 자신과 상대의 전력을 바라봐야 하는 순간이왔다. LCK와 SKT T1이 자랑하던 다전제 승리 공식이 어느덧 옛 것이 돼 버렸기 때문이다.

LCK의 위기가 찾아왔다고 아직 낙담만 할 수는 없다. SKT T1은 이런 상황을 2015년에도 경험한 바 있다. 그리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 역시 알고 있을 것이다. 2015년에 첫 MSI가 열릴 때도 SKT T1은 LPL EDG에게 무너지며 준우승에 머물러야 했다. 당시에도 2013-14년 롤드컵에서 LCK가 우승한 바 있기에 그런 결과가 충격으로 다가왔다. 국내에서도 LPL이 최고의 리그로 SKT T1의 시대는 끝났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하지만 SKT T1은 롤드컵까지 우승을 거두며 이런 논란을 확실히 잠재웠다. 결국 승자는 SKT T1와 LCK라는 기대가 다시 생겨났다. 다음 MSI 우승 경력까지 더 해져 다시 한번 SKT가 T1의 시대를 자신 손으로 열 수 있었다.

지금 LCK와 SKT T1 역시 앞선 2015년과 비슷한 상황에 있다고 보면 된다. 그때보다 타지역의 강팀도 늘어나고 최근 LCK의 세계 대회에서 안 좋은 성적이 나오고 있기에 더 불안할 수 있다.

MSI 준우승의 아픔을 겪었던 2015년, 그리고 지금까지 '페이커' 이상혁은 유일하게 SKT T1에 남아있는 선수다. 그리고 "MSI를 통해 많은 것을 배웠다"는 말을 남기며 다시 한번 성장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마저도 극복한다면 SKT T1에 대한 두터운 믿음이 생길 것이다. 물론, 지금까지 SKT T1이 세계 무대에서 가장 안 좋은 성적을 낸 상황이기에 다시 명예를 찾기는 쉽지 않다.

그렇기에 앞으로 SKT T1은 섬머에서 달라진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그리고 스프링보다 더 나아가려면 확실하게 변화해야 한다. MSI 우승팀인 G2를 보면, SKT T1은 카드가 부족했다. 그룹 스테이지부터 SKT T1과 '칸' 김동하가 자랑하던 제이스가 막히면서 그 스노우볼이 4강전까지 굴러갔다. '원더'가 제이스로 탑에서 솔로 킬을 내고, 파이크로 제이스까지 카운터치면서 4강에서 SKT T1이 제이스를 밴해야 하는 상황이 나왔다. 반대로, G2는 파이크 카드를 다시 뽑을 정도로 수 싸움에서 확실히 한 수 이상 앞서갔다. 봇에서도 미드 출신의 '퍽즈'가 신드라를 꺼내면서 미드-봇의 챔피언 상성 싸움을 이끌기도 했다.

G2가 준비해온 탑 파이크-스웨인 같은 수는 하루아침에 완성된 것이 아니다. 스웨인 카드는 이전 북미와 유럽의 작년 리프트 라이벌즈 때부터 '원더'가 '임팩트' 정언영의 갱플랭크를 상대로 꺼낸 챔피언이다. 다양한 상황마다 카드를 준비해놓은 G2였다. SKT T1 역시 중요한 경기에 앞서 확실한 준비가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순간 꺼낼 수 있는 무기를 이번 섬머를 시작으로 늘려야 한다. 단순히 다전제는 다르다는 기대로만 부족한 게 현실이다. 그래야만 세계 무대에 나가더라도 MSI와 다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