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종각 LoL 파크에서 '2019 LoL 월드 챔피언십(이하 롤드컵) 대표 선발전' 마지막 경기가 진행된다. 단 하나의 롤드컵 티켓을 두고 담원게이밍과 킹존 드래곤X가 최후의 결전을 펼칠 예정이다.

'2019 LoL 챔피언스 코리아(이하 LCK)' 스프링 스플릿, 자신들의 첫 번째 LCK 무대에서 4위(정규 시즌 5위)라는 호성적을 기록했던 담원게이밍은 섬머 스플릿에 들어 확실히 더 성장한 모습을 보여줬다.

치명적인 단점으로 꼽히던 기복과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를 100%라고 할 수는 없지만 일부 극복했고, 봇 라인의 약점도 '베릴' 조건희의 상승세로 어느 정도 메웠다. 거기에 '쇼메이커' 허수의 기량이 폭발하면서 한국 최고의 미드라이너가 아니냐는 평가까지 받았다.

하지만, 포스트 시즌의 담원게이밍은 그 담원게이밍이 아니었다. 에이스 상체, 특히 '쇼메이커'는 라인전 단계부터 고전했고, '캐니언' 김건부는 존재감을 제대로 드러내지도 못했다. 원거리딜러 간의 기량 차 역시 극명했다. 마지막 세트에서는 멘탈이 완전히 무너진듯 데스만을 연발하다 분당 1킬 경기를 만들어주기까지 했다.

담원게이밍은 스프링에 이어 5판 3선 다전제에서 다시 한 번 쓴 맛을 봤다. 인터뷰에서도 여러 번 내비쳤던 다전제에 대한 걱정은 현실이 되어 담원게이밍의 발목을 잡고 있다. 하지만, 더 좋은 성적과 더 좋은 무대를 위해서라면 다전제는 반드시 거쳐가야 하는 관문이고, 반드시 넘어야 하는 산이다.

담원게이밍이 생각해야 할 것은 지난 두 번의 패배가 다전제에서 나올 수 있는 변수나 긴 경기 시간에 따른 정신력 등에서 비롯된 게 아니라는 점이다. 단순히 첫 세트부터 개개인의 기량에서 떨어진 모습이었다. 결국 다전제에 대한 긴장감과 두려움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충분히 털어낼 수 있는 문제다.

한때 담원게이밍은 천적 그리핀에게 두려움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결국 실력으로 그들을 넘어섰다. 지금 담원게이밍은 그 때를 떠올려야 한다. 여태까지 보여준 담원게이밍의 경기력은 굉장히 좋았고, 충분히 롤드컵을 바라볼만 했다. 우리가 아는 그 담원게이밍이 선발전 마지막 경기를 장식해주길 기대해본다.


2019 LoL 월드 챔피언십 대표 선발전

3차전 담원 게이밍 vs 킹존 드래곤X (9월 7일 오후 5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