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스포츠의 인기가 나날이 커지면서 e스포츠 업계에서 직업을 구하는 이들도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막상 e스포츠 분야에서 일을 찾다 보면, 어디서부터 그리고 무엇부터 준비해야 하는지 알 수 없어 막막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업계의 성장에 따라 다양한 능력의 사람들을 원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방법은 많지 않은 편이기 때문입니다.

인벤은 e스포츠 업계에서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려는 이들을 위해 e스포츠에서 종사하는 사람들의 직업을 설명해주는 기획기사를 준비해봤습니다. 이들이 어떻게 직업을 찾았고, 직업을 얻기 위해 어떤 준비를 했는지, 일을 하면서 느낀 보람과 고충을 들어 봤습니다. e스포츠 업계에서 종사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자신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첫 번째로 탐방해 볼 직업은 게임단의 사업 개발 매니저입니다. 사업 개발 매니저는 게임단이 돈을 벌 수 있도록 수익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게임단이 계속 최고의 선수들과 함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직업입니다. 이번 직업을 소개해 주실 분은 T1의 사업 개발 매니저 박형준 씨입니다.

▲ T1 사업 개발 매니저 박형준

Q. 먼저 이 글을 읽는 독자를 위해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T1에서 사업 개발 매니저(Business Development Manager)를 맡고 있는 박형준이라고 합니다. T1 e스포츠 아카데미와 T1 멤버십 같은 신사업을 리딩하고 있고, 스트리밍 스폰서십도 관리하고 있습니다.


Q. 어떻게 e스포츠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일을 하게 되었나요?

어릴 때부터 게임을 좋아했습니다. 스타크래프트를 즐겨 했고, 수능이 끝난 후부터는 리그 오브 레전드를 과할 정도로 열심히 했습니다. 대학생 때는 솔로 랭크 다이아 2 티어까지 찍어보기도 하고, 서울대 경영대 e스포츠 대회에서 친구들과 팀을 꾸려 우승을 하기도 했습니다. 덕분에 자연스럽게 LCK도 챙겨보게 되었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에서 더 이상 한국이 세계 1위를 하는 게 당연하지 않아질 무렵, T1이 계속 최고의 선수들과 함께 세계 최고가 되는 데 일조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저는 SKT T1의 팬이기도 했고, 어릴 때부터 어떤 일을 하던 한국인으로서 한국이 세계 최고일 수 있는 분야에서 일을 하고 싶었습니다.

외국의 다른 구단들처럼 T1이 대기업 산하 팀에서 벗어나 조인트 벤처 형태의 독립된 기업으로 나왔을 때, SKT T1의 역사를 잇고, 해외 리그에 최고의 선수들을 빼앗기지 않으면서 e스포츠 종주국의 위상을 지키는 일에 조금이나마 힘을 보태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졸업하자마자 바로 새롭게 태어난 T1에 입사하게 되었습니다.


Q. 현재 어떤 일을 하고 계신지 독자분들에게 설명해 줄 수 있을까요?

2020년에는 스트리밍 플랫폼 계약과 스트리밍 스폰서십 관리를 맡았고, 임요환 님, '울프' 이재완 님의 소속 스트리머 계약을 진행했습니다. 이후 T1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신사업들의 사업 개발을 담당하는 사업 개발 매니저 (Business Development Manager)가 되어, 지금은 T1 멤버십과 T1 e스포츠 아카데미(TEA)의 리딩을 맡고 있습니다.

제가 T1 내에서 여러 업무를 통해 안웅기 COO, 조 마쉬 CEO 님을 도와 이루고자 하는 미션은, T1이 장기적으로 계속 최고의 선수들과 함께할 수 있도록 사업 모델을 만드는 일입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업계의 선두주자인 T1으로서 e스포츠 저변을 확대하고, 무엇보다 T1이 있게 해 주신 팬분들께 최고의 팬 경험을 돌려드리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T1 아카데미 프로반의 경우에는 지금의 '제우스' 최우제, '오너' 문현준, '구마유시' 이민형 님을 배출한 T1의 유스 시스템을 이어 나가 다음 세대의 최고의 게이머들을 T1에서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리고 취미반의 경우에는 T1 팬분들이 게임을 매개로 함께 모여서 응원하고, 즐기는 공간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른 많은 게임 학원과는 차별화 될 수 있도록 롤 파크나 잠실 구장, 놀이공원을 경쟁 상대로 두고, 다른 스포츠와 달리 홈구장이 없는 e스포츠에서 T1 팬들이 모일 수 있는 테마파크로 만들어 나갈 예정입니다.

▲ '페이커'와 함께 한 T1 유스 출신 '제우스-오너-구마유시'

Q. 하루 일과가 궁금합니다. 맡은 업무에 대해 어떻게 일을 하고 계시나요?

지금은 코로나로 인해 선수단과 접촉을 최대한 피하기 위해 재택근무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협력 업체들과의 대면/비대면 미팅과 부서 내부 회의를 제외하면 맡은 사업들의 시장 조사와 전략 수립, 그리고 실제로 일이 일어나게 하기 위해 발로 뛰는 업무를 많이 합니다. 큰 틀에서의 기획뿐 아니라 세세한 이벤트들을 위해 동료 직원들, 협력 업체들과 조율하고 실행하는 것까지 가 제 일입니다.


Q. 일을 하면서 가장 보람을 느꼈던 순간이 있다면 언제인가요?

2020년 초, 제가 T1에 들어오고 가장 먼저 했던 일 중 하나가 임요환 님을 T1에 스트리머로 모시고 오는 일이었습니다. 임요환, 김가연 님을 찾아뵙고, 그만두셨던 개인 방송을 T1과 함께 다시 하시자고 설득 드렸던 날이 생각나네요. SKT T1은 물론이고, e스포츠가 오락을 넘어 지금처럼 하나의 문화가 될 수 있게 만들어 주신 분을 다시 T1에 모시게 되어 정말 좋았습니다.

이후에는 '울프' 이재완님 스트리머로, T1 e스포츠 아카데미에서 '운타라' 박의진, '스카이' 김하늘, '피글렛' 채광진 님을 코치로 모셔오게 되었습니다.

T1에서는 '벵기' 배성웅 님, 최근에 합류하신 '뱅' 배준식 님과 같은 T1의 가족들이 선수 커리어 이후에도 다양한 모습으로 함께 하는 문화를 만들고 있습니다. 지금의 T1이 있을 수 있도록 그 역사를 함께하신 분들이 현 선수단 분들과 교류하시면서 같이 등산도 가고, 여행도 가고, 스타크래프트도 하시고 하는 모습을 볼 때, 그리고 그 모습을 팬분들도 즐겁게 봐주실 때 가장 보람을 느낍니다.

▲ T1 스트리머 SlayerS_`BoxeR` 임요환

Q. 일을 하면서 가장 힘들거나 고충이 있다고 느낀 부분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업무 특성상, 밤늦게 업무가 있어 낮 밤이 바뀌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학창 시절부터 게이머였던 제게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Q. 현재 맡은 일을 직업으로 가지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대학생 때 게임이 너무 좋아서 리그 오브 레전드를 많이 했고, 개인 방송도 1년 정도 했습니다. SKT T1 경기를 보러 LCK 직관을 많이 다니다가 bbq 올리버스 공식 서포터스를 하기도 하고, 롤드컵 결승전 직관도 하면서 e스포츠 문화의 팬이 되었습니다.

이후 상해와 베를린에서 총 6개월 정도 PUBG 국제 대회를 위한 인턴십을 하게 되었는데, 이때 e스포츠를 취미를 넘어 업으로 삼아도 좋겠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저는 졸업 논문까지도 T1의 2016년 롤드컵 시즌을 주제로 썼습니다. 그때 논문 제목이 'Two-Stage Data Envelopment Analysis를 활용한 리그오브레전드 e스포츠 정글러 효율성 분석 : 2016 롤드컵을 중심으로'였습니다.

T1에 지원할 때, 이런 이야기들을 이력서에 담았습니다. 제가 오랜 기간 동안 이 문화와 e스포츠 산업, 그리고 T1에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 느껴져서 좋게 봐주신 것 같습니다.

직무와 관련된 스킬과는 별개로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은 e스포츠와 T1에 대한 열정입니다. 그리고 T1은 글로벌 기업이다 보니 영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것도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따로 자격증을 준비하기보다는, 열정을 보여줄 수 있는 스토리와, 지원한 직무와 관련된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경험들을 준비한 게 도움이 된 듯합니다.


Q. 회사에서 취업 인터뷰를 할 때 어떤 질문들을 받으셨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가장 기억에 남는 질문이 무엇이었을까요?

가장 기억에 남는 질문은, "첫 직장인데 왜 다른 대기업이 아닌 T1에서 일하려고 하는가?"였습니다. 저는 어릴 때부터 기왕 일을 한다면, 한국이 세계 최고일 수 있는 분야에서 최고가 되도록 돕는 일을 하고 싶었고, 게임과 e스포츠가 그중 하나라고 대답했습니다.

또한, e스포츠의 기틀을 만드신 임요환 님과 한국을 넘어 세계적인 e스포츠의 전성기를 만드신 '페이커' 이상혁 님이 있는 T1이 다시 세계 최고가 되도록 돕는 일보다 이 업계에서 의미 있는 일은 없다고 생각해서 졸업하자마자 T1에 지원하게 되었다고 답했습니다.


Q. 만약 자신의 직업을 가지고 싶은 독자가 있다면, 어떤 조언을 해주고 싶으신가요?

다른 사람들에게 유희인 것을 업으로 삼는 많은 사람이 그렇듯, e스포츠는 흔히 말하는 워라밸이 그렇게까지 좋은 분야는 아닙니다. 대신 진심으로 e스포츠에 대한 열정이 있다면 일 자체가 이렇게 재밌을 수 있는 분야도 많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명확한 미션을 가지고 점점 더 성장하는 이 씬에 들어오신다면, 후회 없는 선택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관련기사: [e스포츠 직업탐방] "선수 가장 가까이" - 광동 프릭스 사무국 김가현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