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캔디(Candy)'라는 일상용어를 상표권으로 등록해 업계의 빈축을 사고 있는 King.com이 인디개발자의 게임을 복제했었다는 논란에 휘말렸다.

지난 24일, 북미의 인디 게임 개발자 매튜 콕스(Matthew Cox)는 자신의 홈페이지를 통해 'King.com, makers of Candy Crush Saga...*Trademark Trolls with a double Standard?(직역: 캔디크러쉬사가 개발사 King.com, 이중 잣대를 가진 무차별 상표등록자?)'라는 제목의 글을 기재했다. 매튜 콕스는 이 글을 통해 "킹닷컴은 최근 타 게임의 특정 단어를 무단으로 쓴 데다 인디 개발사의 게임을 카피해 출시하는 이중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Trademark Trolls : 타인이 사용할 경우 소송하려는 의도로 상표에 대한 권리를 취득하는 행위 및 사람을 비꼬는 말.

매튜 콕스가 King.com을 비판하는 첫 번째 이유는 자사의 지적재산권(IP)을 보호하려는 최근 태도에 반하는 과거 때문이다. 그는 King.com이 2009년 출시한 '팩-어 보이드(PAC-AVOID)'라는 플래쉬 게임을 예로 들었다. 게임 명칭에 쓰인 'PAC'은 남코의 유명 게임 '팩맨(PACMAN)'의 의미와 비슷한 것으로, 최근 '캔디'나 '사가(Saga)'등의 단어를 상표로 등록한 것에 반대되는 행위라는 것이 매튜 콕스의 주장.

비판의 두 번째 이유는 매튜 콕스가 직접 경험한 '표절' 문제다. 매튜 콕스는 지난 2009년 자신이 만든 '스캠퍼고스트(SCAMPERGHOST)'라는 게임과 함께, 앞서 언급된 King.com의 '팩-어보이드'의 스크린샷을 올려 화면 구성 및 인터페이스 등에서 유사점이 있음을 지적했다.

매튜 콕스의 주장에 따르면, 그는 '스캠퍼고스트'의 제작 당시 King.com과 라이센스 계약 건에 대해 이야기를 주고 받았다. 그러나 맥스게임즈 측에서 더 좋은 계약 조건을 제시했고, 매튜와 그의 동료는 고민 끝에 King.com과의 계약 취소를 선택했다. 이후 매튜는 그간 대화했던 King.com의 관계자에게 감사의 뜻과 함께 정중한 거절 의사를 표했다.

허나 매튜 콕스의 '스캠퍼고스트'가 출시되기도 전에, 그의 게임과 매우 유사한 '팩-어보이'가 출시되었다. 이를 두고 인디 개발자들이 비난하자 King.com측은 매튜 콕스에게 "스캠퍼고스트와 같이 훌륭한 Avoid(회피) 게임을 찾고 있었다. 플래쉬 게임 세계는 원래 비슷비슷한 게임으로 가득하며, 적군과 코인이라는 비슷한 구성에 비슷한 메뉴 형태를 가진 회피 게임도 수백 가지 있다."는 메일을 보냈다.

이에 분노한 매튜는 '팩-어보이드'의 개발자와 직접 접촉을 시도, King.com이 카피를 의뢰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매튜가 공개한 메일에 따르면, King.com은 '팩-어보이드'의 개발자에게 '제대로 마무리되지 않은 계약 건'이라며 '스캠퍼고스트'를 이야기했고, 많은 수익을 낼 수 있을거라며 되도록 빨리(원작보다도 빨리) 개발 및 출시할 것을 설득했다. 이를 두고 매튜 콕스는 "King.com과의 계약이 성사된 것은 단 한 건도 없다"며, 결국 King.com이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기 위해 인디개발자를 이용한 것이라 비판했다.

매튜 콕스는 "우리 게임이 원조라는 건 아니다. '팩맨'에서 영감을 받은 건 확실하지만 최소한 고유성을 가지려 했다"고 입장을 밝혔으며, "다만 King.com은 타 게임사의 IP에 대해 전혀 존중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캔디'에 대한 상표를 등록하고, 강력한 법적 압박을 통해 소규모 개발사들을 누르고 있다. 이는 이중잣대가 아닌가?"라고 글을 마무리 지었다.


매튜 콕스가 제시한 King.com의 복제 증거
(왼쪽이 매튜의 '스캠퍼고스트', 오른쪽이 King.com의 '팩-어보이드')
▲ 게임 메뉴 화면
▲ 초기 게임 설명 화면
▲ 게임 보드 및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 게임플레이 화면
▲ 게임오버 화면


해당 글이 커뮤니티를 통해 퍼지자, King.com은 북미의 게임매체인 '게임인포머(Gameinformer)'를 통해 'King.com은 타인의 게임을 복제하지 않는다'라는 공식입장을 밝혔다. King.com이 해당 매체에 보낸 메일에는 "우리는 게임 출시 전에 타인의 IP가 침해되지 않도록 시장과 상표 등록 문서를 철저히 분석한다. 우리 소유의 것이건 아니건 IP 자체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적절하게 보호되어야 마땅하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어서 King.com은 자사의 상표등록에 대해서도 "우리는 합리적이고 공정한 방식으로 IP보호를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신중한 회사라면 응당 그러할 것이다"라고 설명하며, '다만 의심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외부개발자가 5년 전 만든 '팩-어보이드'를 온라인 아케이드 카테고리에서 제외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관련기사 : '캔디크러쉬사가'의 킹, 美 특허청으로부터 '캔디' 상표권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