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많은 사람들이 PC를 구입할 때 SSD를 함께 구입하고 있다. SSD는 Solid State Disk 또는 Solid State Drive를 일컫는 말로서 낸드 플래시 혹은 DRAM 등 초고속 반도체 메모리를 저장매체로 사용하는 대용량 저장 장치를 뜻한다.

SSD는 일반 HDD(Hard Disk Drive)와 다르게 반도체를 이용하기때문에 속도가 HDD에 비해 훨씬 빠르며 소음도 적다. 다만, HDD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대용량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대부분 데스크탑 PC를 구입할 때 SSD와 함께 대용량 HDD를 함께 구입하고, SSD는 운영체제 및 주요 프로그램 설치, HDD는 기타 프로그램 설치 및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한다.

데스크탑 PC의 경우 저장장치를 장착할 슬롯이 충분해서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노트북은 보통 저장장치용으로 1개의 슬롯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부족함을 느끼게 된다.

이런 공간의 부족함을 해결하기 위해 SSD와 HDD의 장점을 합친 하이브리드형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지금 살펴볼 웨스턴디지털의 WD Black² Dual Drive(이하 WD Black²) 역시 SSD와 HDD가 합쳐진 하이브리드형 제품이다.

SSD와 HDD가 합쳐진 WD Black²,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 WD Blakc2 제원





◈ 고급스러운 패키지와 제품 디자인






먼저 외관을 살펴보면, WD Black²의 박스는 고급스러운 느낌의 이중 박스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검은색 바탕에 레이싱 카가 그려져 있어 속도감이 전해진다.

박스 안에는 설명서와 열쇠 모양의 설치 USB, USB 전환 케이블, 설명서, 제품보증서, WD Black² 제품 등이 들어 있으며, 특히 WD Black² 제품의 경우 정전기를 방지하는 비닐로 포장한 후 플라스틱 케이스를 씌워 제품이 파손되지 않도록 신경을 쓴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설명서 등은 한글을 지원한다.


▲ 2중 박스. 연결하면 레이싱 카가 완성된다.


▲ 제품 구성


▲ WD Black²의 외관


▲ 후면



WD Black² 제품은 2.5인치 하드디스크와 크기와 두께가 비슷하다. 그래서 데스크탑 PC는 물론, 노트북에도 장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WD Black² 에는 다른 SSD 제품에서는 보기 힘든 USB 전환 케이블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USB 전환 케이블을 사용하면 WD Black²를 USB에 연결해 외장 하드디스크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내부에 설치할 공간이 없고, 외장형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USB 전환 케이블을 활용하면 되겠다. USB 전환 케이블 사용 시 USB 3.0을 지원하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사용할 수 있지만 내부에 S-ATA로 연결하는 것보다는 느리다.


▲ USB 케이블 연결 모습


▲ USB로 연결했을 때의 WD Black² 성능 점수





◈ 하나의 디스크에 SSD와 HDD가 통째로! SSD성능은 전 세대와 비슷, HDD는 5400RPM 급



WD Black²는 세계 최초 2.5인치 듀얼 드라이브 저장 솔루션으로 하나의 디스크 안에 SSD와 HDD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기존의 다른 제품들은 모두 SSD 혹은 HDD 하나만 지원했지만 WD Black²는 하나로 2가지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WD Black²를 메인보드에 연결하면, 120GB의 SSD가 기본적으로 인식되고, 1TB의 하드디스크는 인식이 되지 않는데, 1TB의 하드디스크는 WD Black²의 추가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인식되고 사용이 가능하다.

박스 안에 함께 포함된 열쇠 모양의 설치 USB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WD Black² 웹사이트에 연결이 되며, 관련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고,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1TB의 HDD가 인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열쇠 모양의 설치 USB


▲ WD Black² 설치 프로그램


▲ 설치를 완료하면 간단하게 정보가 표시된다.


▲ 1개의 디스크에서 SSD와 HDD를 확인할 수 있다.



성능은 어떨까? 먼저, SSD의 성능을 몇가지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해보았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하드디스크 성능 체크 프로그램인 CrystalDiskMark와 SSD 제조사들이 속도 규정으로 사용한다는 ATTO Disk Benchmark를 사용한 결과 WD Black²는 약 420~440 MB/S대의 읽기 속도와 약 150MB/s의 쓰기 속도를 보여주었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SSD 제품들이 약 500MB/S대의 읽기 및 쓰기 속도를 보여주는 것을 볼 때, WD Black²의 SSD 성능은 현세대 보다는 이전 세대 제품들과 읽기 속도가 비슷하며, 쓰기보다는 읽기 성능에 중점을 둔 SSD라고 볼 수 있다.

1TB HDD의 경우 읽기 약 115MB/S 정도의 읽기/쓰기 속도를 보여주는 데, 이는 5400RPM 속도의 HDD와 비슷한 수준이며 실제 프로그램의 실행 용도 보다는 데이터 저장 및 백업 용도에 좀 더 어울린다.


▲ WD Black²에 대한 정보



▲ 삼성 840 Pro제품과의 차이. WD Black²(좌), 840 Pro(우)


▲ WD Black²의 1TB HDD 정보



WD Black²의 SSD는 성능 체크 프로그램의 수치 상 현재 출시되는 SSD의 성능에 비해 약간 낮은 듯하지만 실제로 사용한 체감 성능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윈도우의 진입속도나 게임 프로그램의 로딩 속도 등을 비교해볼 때 현재 통용되는 제품과 거의 비슷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아무래도 실생활에서 사용할 때는 쓰기보다 읽기 속도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수치상으로 차이가 있다하더라도 실제 성능에서는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슬롯이 부족한 노트북이라면 충분히 고려해볼만 하다!






SSD의 가장 큰 아쉬운 점은 용량이다. HDD보다 낮은 용량때문에 SSD만을 사용하기 어렵고, 그래서 보조용으로 사용할 HDD가 필요했다.

데스크탑 PC의 경우 대부분 장착할 수 있는 슬롯이 충분하기 때문에 SSD와 HDD를 함께 사용해도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노트북의 경우 한개의 슬롯만을 지원하기때문에 SSD 혹은 HDD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하고, 몇몇 노트북은 멀티부스트 기능을 이용해 ODD를 제거하고 추가로 저장장치를 장착할 수 있지만 ODD를 포기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WD Black²는 주로 노트북에 사용되는 크기인 2.5인치의 크기에 SSD와 HDD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서 노트북의 부족한 슬롯 부분을 해소할 수 있고, SSD만으로는 부족한 용량 부분도 1TB의 HDD가 채워준다.

WD Black²의 가격은 현재 20만원대 초반에 형성되어 있는데, SSD와 HDD를 따로 구입하는 것보다 다소 높다. 하지만 부족한 슬롯으로 고민하는 노트북에 SSD와 HDD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모델인 점을 감안한다면 노트북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 이 제품은 충분히 구입할만한 매력이 있다.

아직 SSD나 HDD의 성능이 더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만큼 좀 더 개선해서 차기작이 등장한다면 SSD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