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술사가 대세! 4강 2경기서도 'Caster'(이하 캐스터) 박종철이 '로좀' 이범용에게 주술사로 3:0 완승을 거뒀다.

10월 28일, 강남 인벤 방송국 스튜디오에서 펼쳐진 WECG 하스스톤 한국대표선발전 4강 2경기에서 '캐스터' 박종철은 주술사로 첫 경기에 나섰다. '로좀' 이범용은 전사 덱으로 패배를 기록한 이후 주술사 미러전으로 반전을 꾀했지만, 여의치 않으면서 위기에 몰리게 됐다. 결국, 드루이드로도 주술사를 파훼하지 못하면서 박종철이 결승 진출자가 되었다.




■ 1세트 - 'Caster 박종철' (주술사) 승 : 패 '로좀' 이범용(전사)

'캐스터' 박종철은 주술사, '로좀' 이범용은 전사 덱으로 탐색전에 나섰다. 초반부터 박종철은 야수 정령 사이에 불꽃의 토템을 풀어내 처음부터 필드 주도권을 잡았다. 이범용은 이를 제거하기 위해 상당히 불리한 카드 교환을 진행해야했고, 박종철은 이를 기점으로 필드 장악력을 높이며 유리함을 불려나갔다.

이범용 역시 주요 하수인을 내보내며 필드 주도권을 뺏고자 하지만, 적절한 시기에 사용되는 주문들에 의해 이렇다할 피해를 안기지 못했다. 박종철은 둠해머를 장착하면서 이범용의 잔여 하수인들을 처리했고, 결국 피니시까지 무난하게 연결하면서 기분 좋은 선취점을 따냈다.


■ 2세트 - 'Caster 박종철' (주술사) 승 : 패 '로좀' 이범용(주술사)

2세트에서 이범용은 주술사를 선택, 미러전 승리를 노렸다. 초반 필드 싸움은 서로 비등하게 풀어낸 가운데 5턴에 둠해머를 장착한 박종철이 먼저 필드 주도권을 잡았다. 이범용 역시 6턴에 둠해머를 장착, 대지의 무기까지 활용해 상대의 하수인을 정리하는 등 양 선수 모두 난타전을 펼쳤다.

경기 양상은 자연히 둠해머를 활용한 피니시를 어떻게 노리느냐에 갈리게 됐다. 박종철은 하수인들을 활용해 이범용에게 큰 피해를 안긴 후 마나 해일 토템을 도발 하수인으로 만들면서 상대의 피니시 가능성을 막았다. 이범용은 곧바로 마나 해일 토템을 제거해보지만, 이미 핸드에 대지의 무기를 잡고 있던 박종철이 마무리에 성공하면서 2승 고지에 올랐다.


■ 3세트 - 'Caster 박종철' (주술사) 승 : 패 '로좀' 이범용(드루이드)

위기에 몰린 이범용은 3세트서 드루이드를 통해 반전을 노렸다. 박종철은 이번에도 3턴 야수 정령 소환에 성공하면서 필드 주도권을 잡았지만 휘둘러치기를 쓰지 않고 필드 정리에 성공하면서 드루이드에게도 기회가 생겼다. 결국 다수의 하수인을 풀어낸 드루이드가 주술사를 상대로 필드싸움에서의 우위를 점하는 상황이 됐다.

이범용은 사술을 2장 모두 사용하고 불꽃의 토템을 2장 내보내는 승부수로 어려운 상황을 타개하고자 했다. 이에 박종철은 영웅 능력과 용암폭발을 활용해 태양길잡이를 제거, 필드 유지력을 잃지 않으면서 경기를 풀어나갔지만, 이번에는 마나 해일 토템과 로데브를 내보내면서 박종철이 분위기를 역전시켰다.

이제는 되려 이범용이 역킬각을 걱정해야 할 상황. 야생의 포효만 있었다면 피니시에 성공할 수 있었지만, 이미 손패가 말라버리면서 굉장히 암울한 상황이 펼쳐졌다. 박종철은 둠해머까지 장착하고 이범용을 노렸고, 내친김에 돌발톱 토템까지 적시에 등장하며 상황이 더욱 유리해졌다. 5종 토템을 모두 뽑은 박종철의 수비력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견고해졌지만, 주술사의 체력이 불과 5만 남은 상황에서 이범용이 휘둘러치기를 쥐게 된 것은 변수가 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범용의 마지막 카드는 발톱의 드루이드였다. 도발로 내보내면서 최후의 항전을 노려보지만, 이미 대지 충격이 있었던 박종철은 발톱의 드루이드를 침묵시키고 그대로 피시니에 성공, 국가 대표 자격과 함께 결승전 진출에 성공했다.


WECG 하스스톤 한국대표선발전 4강 2경기

'Caster 박종철' 3 vs 0 '로좀' 이범용

1set 'Caster 박종철' (주술사) 승 : 패 '로좀' 이범용(전사)
2set 'Caster 박종철' (주술사) 승 : 패 '로좀' 이범용(주술사)
3set 'Caster 박종철' (주술사) 승 : 패 '로좀' 이범용(드루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