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AMSUNG White PawN 하이라이트





■ 선수 경력

WCG 국가대표 선발전 준우승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8강
HOT6 Champions Spring 2014 3위
SKT LTE-A LoL 마스터즈 2014 우승
HOT6 Champions Summer 2014 3위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시즌 월드 챔피언십 우승
2014 Demacia Cup Season 2 우승
2015 Demacia Cup Spring Season 우승
LPL 2015 Spring 우승
2015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2015 Demacia Cup Summer Season 우승
LPL 2015 Summer 4위
2015 Season China Regional Finals 우승




■ '페이커'를 통해 주목받은 신예


2013년은 '페이커' 이상혁의 해였다. 암살자 챔피언이 주 메타를 이루던 그때. 수많은 미드라이더들이 '고전파' 이상혁과의 맞라인전에서 압도당하거나 솔로킬을 내줬다. 그때는 이상혁과 라인전을 동등하게 가져가는 것만으로도 선전했다고 말했다. 이상혁이 시즌3 절대자로 군림하던 시절이었다.

'폰' 허원석이 등장과 함께 주목받은 이유도 이상혁 때문이다. 당시 절대적인 위엄을 자랑하던 이상혁을 상대로 WCG에서 솔로킬을 기록하고 라인전에서 우위를 점하는 등 신예답지 않은 대단한 모습을 보여줬다. 대부분의 미드라이너들이 이상혁에게 맥을 못추는 상황에서 허원석이 보여준 활약은 사람들의 머릿속에 깊게 남았다. 허원석은 데뷔부터 이상혁과 깊은 인연을 맺었다.


■ 자신을 빛내준 영광이자 그늘이 된 삼성 화이트


삼성 화이트로 팀을 옮긴 허원석은 무섭게 성장했다. 약점으로 평가받던 좁은 챔피언 폭도 연습량으로 극복했다. 함께한 팀원도 든든했다. 협곡 전체에 장막을 펼친 '댄디' 최인규와 '마타' 조세형, 원거리딜러의 가장 중요한 소양인 폭발적인 캐리력을 자랑한 '임프' 구승빈, 안정감의 대명사로 활약한 '루퍼' 장형석이 있었다. 허원석은 삼성 화이트의 마지막 퍼즐이었고 조합이 완성되자 팀 케미가 폭발했다.

허원석이 팀을 옮긴 후 가장 큰 존재감을 뽐낸 때는 공교롭게도 롤드컵 선발전에서 SKT T1 페이커 이상혁을 상대할 때였다. 허원석은 이날 경기에서 총 네 번의 솔로킬을 기록하면서 미드 라인에서 이상혁을 압도하고 팀의 3:0 승리에 크게 공헌했다. 삼성 화이트가 롤드컵에 진출하는 데 가장 큰 고비였던 SKT T1 K와의 대결은 허원석의 독무대로 막을 내렸다.

삼성 화이트와 함께 허원석은 롤드컵 우승이라는 대업적을 달성했다. 대회가 진행되는 동안 야스오, 제드, 카타리나, 피즈, 탈론, 질리언등 AP, AD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챔피언으로 준수한 활약을 보여줬다. 하지만 같은 팀원의 그늘이 너무 컸을까? 허원석은 롤드컵 우승을 차지하고도 세계 최고 미드라이너라는 평가를 듣지 못했다. 세상은 그를 세계 최고라고 인정하지 않았다. 그저 삼성 화이트라는 세계 최고의 팀의 일원으로 여겼을 뿐이다.


■ 조연에서 주연으로...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한 주인공


이상혁의 그늘에 가려졌던, 삼성 화이트의 장막 아래 존재감을 보이지 못했던 허원석은 이제 중국 프로게임단 EDG의 심장이 되어 자신만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허원석은 팀의 핵심 전력이다. 그가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 EDG가 보여주는 경기력은 큰 차이를 보인다. 'EDG needs me'. 허원석의 팀에 대한 애정과 책임감을 그대로 보여주는 말이다.

LPL 스프링 시즌 우승으로 EDG는 MSI에 진출했고 허원석은 결승전에서 다시 이상혁과 SKT T1을 만났다. 세계 최강을 가리는 자리, 가장 어울리는 상대이자 평생의 라이벌을 만난 허원석은 승부를 가르는 마지막 5세트, 전승을 달리던 이상혁의 르블랑을 상대로 모르가나를 꺼내 완벽한 카운터를 날리며 팀을 세계 최강의 자리로 이끌었다. EDG가 보여준 밴픽 전략도 대단했지만, 이 작전을 수행한 허원석이야말로 승리의 일등 공신이었다.

허원석은 EDG를 이끌고 자신의 두 번째 롤드컵 진출을 해냈다. 이미 롤드컵 우승 경력을 보유한 허원석이지만 여전히 승리를 향한 야망은 불타오르고 있다. EDG의 주인공인 허원석에게 이번 대회는 그 많은 우승에도 그가 듣지 못한 '세계 최고' 타이틀을 가져다줄 절호의 기회다. 자신이 곧 팀의 주인공. EDG의 우승은 그가 '세체미'의 자격을 보여줬다는 증거가 될 것이다.





■ 주 챔피언 분석


① 챔피언 : 모르가나
② 플레이 :

이상혁의 필살카드인 르블랑을 상대하기 위해 허원석이 준비한 챔피언이다. 라인전과 로밍에 강한 모습을 보이는 르블랑의 약점은 라인 정리. 허원석의 모르가나는 CS 손해를 감수하면서도 끝까지 미니언을 밀어내면서 이상혁이 다른 라인에 영향력을 끼치지 못하게 했다. 단 한 순간 각을 줘도 킬을 만들 수 있는 이상혁을 상대로 허원석은 버텨냈고 상대가 못참고 자리를 비우자 그대로 미드 1차 타워를 정리, EDG가 경기 운영의 주도권을 쥐게 했다.

한타 상황에서 허원석의 모르가나는 라인을 빠르게 밀어버리고 이상혁의 르블랑보다 한발 먼저 합류해 승리를 이끌었다. 모르가나의 단점은 싸움에서 Q스킬인 '속박'이 맞지 않을 경우, 피해량 기대치가 낮아지고 존재감이 크게 떨어진다는 것이다. 허원석의 모르가나는 한타 상황에서 날카로운 속박 스킬 활용으로 존재감을 뽐냈고 기회가 있을 때는 점멸+궁극기 활용으로 상대 주요 딜러의 전장 이탈을 이끌어냈다.

허원석의 모르가나 카드는 EDG가 MSI 초대 우승팀이 될 수 있도록 도와준 준비된 한수가 되었다.




④ 아이템 & 스킬트리:

▲ 허원석 모르가나의 MSI 결승 대 SKT T1전 아이템 트리


W스킬인 '고통의 대지'를 이용해 상대를 타워에 묶어놓기 위해 '도란의 링' 두개와 마나 물약을 구입한 것이 눈에 띈다. 특히, '도란의 링'을 두 개 구입한 것이 묘수로 작용, 상대 르블랑은 평소보다 더욱 빠르게 미드 1차 타워에 발이 묶일 수 밖에 없었다. 이후, '심연의 홀'로 미드 라인전에서 생존력을 올렸고 모르가나와 잘맞는 '모렐로노미콘', 화력을 올려주는 '라바돈의 죽음모자'를 구매했다. 마지막 '쓸데없이 큰 지팡이'는 '존야의 모래시계'를 위한 것으로 보인다.


▲ 허원석 모르가나의 MSI 결승 대 SKT T1전 스킬 트리


빠른 정리를 위해 '고통의 대지'를 4단계까지 찍은 후, 완벽히 마스터하지 않고 'Q'스킬인 '속박'에 투자했다. 라인에 도착하는 미니언 정리에 필요한만큼 투자를 한 후, 한타 상황에서 상대의 발을 더욱 길게 묶기 위한 방편이다. '속박'을 통달한 후에는 다시 '고통의 대지'를 마스터했고 끝으로 '칠흑의 방패'를 배우며 스킬트리를 완성했다.


⑤ 룬 & 특성:

▲ 허원석 모르가나의 MSI 결승 대 SKT T1전 룬페이지


정수에는 주문력, 표식에는 마법 관통력에 투자하는 것은 일반적인 AP 챔피언과 같은 틀이다. 인장에는 상향을 받으며 주가가 상승한 성장 체력룬을 사용했다. 마법 방어력이 낮은 점이 불안요소이나 빠른 마법 방어 아이템 구매로 이 점을 극복했다.

크게 눈에 띄는 것이 바로 성장 쿨타임 감소 룬이다. 한번 스킬을 사용한 후, 다음 스킬을 사용하기까지 긴 시간이 필요한 모르가나를 위해 이를 사용해 일반적인 룬을 사용한 모르가나보다 스킬을 더욱 자주 사용했다. 실제 후반 한타 상황에서 허원석의 모르가나는 '속박' 스킬을 4~5초마다 한번씩 사용하며 큰 존재감을 보여줬다.

▲ 허원석 모르가나의 MSI 결승 대 SKT T1전 특성


보통 AP 챔피언의 특성처럼 보이지만 유틸리티에서 이동속도 증가보다 마나 리젠에 투자를 한 점이 눈에 띈다. 상대에게 접근하기보다 멀리서 스킬을 맞추는 것이 더욱 중요한 모르가나의 특성이 잘 드러나 있다. 경기 초반 마나를 아끼지 않고 라인을 밀어야 하는 모르가나 특성상 귀환의 쿨타임을 1초 줄여주는 것도 뛰어난 효과를 봤다.




■ 주 챔피언 분석


① 챔피언 : 트위스티드 페이트
② 플레이 :

허원석이 중국 EDG로 적을 옮긴 후, 새롭게 사용하게 된 챔피언 중 하나다. 정규 리그에서는 단 세 번 사용했지만 롤드컵 선발전이나 데마시아컵 대회 등 중요한 경기에서 자주 꺼내 재미를 봤다. 트위스티드 페이트를 사용할 때는 팀원간의 유기적인 호흡이 굉장히 중요한데 팀에 언어 장벽이 있음에도 좋은 활약을 보여주는 것을 보면 새삼 대단하게 느껴진다.

트위스티드 페이트를 기용할 때 팀에서 허원석의 역할은 명확하다. 경기 초반에는 궁극기를 활용해 맵 전역을 돌아다니며 변수를 창출하고 후반 한타 상황에서는 원거리 딜러 옆에서 수비, 혹은 공격을 하며 '데프트' 김혁규의 활약을 돕는다. 팀이 원하는 역할에 따라서 자신의 힘으로 승리하고 싶은 욕심을 버릴 수 있는 선수가 허원석이다.



④ 아이템 & 스킬트리:

▲ 허원석 트위스티드 페이트의 MSI 대 AHQ전 아이템 트리


상대는 '웨스트도어'의 피즈. '아테나의 부정한 성배'를 통해 마법 방어력, 쿨타임 감소, 주문력 세 가지 필요한 능력을 고루 챙겼다. '리치 베인'은 W스킬인 '카드 뽑기'의 화력을 극대화해주는 완소 아이템이다. 이후, 자신의 생존력과 주문력을 모두 올려주는 '존야의 모래시계'를 구매했다.

▲ 허원석 트위스티드 페이트의 MSI 대 AHQ전 스킬 트리


일반적인 트위스티드 페이트의 스킬트리와 비슷하다. 눈에 띄는 점이 있다면 2레벨에 E스킬인 '속임수 덱'을 먼저 찍었다는 점이다. Q스킬에 투자해 상대를 견제하거나 라인을 밀어내는 것이 일반적인 선택이지만 허원석은 E스킬을 활용한 평타 견제와 CS 수급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한 듯 하다.

⑤ 룬 & 특성:

▲ 허원석 트위스티드 페이트의 MSI 대 AHQ전 룬페이지


일반적인 AP 챔피언의 룬페이지와 같아 보이지만, 문양에 독특한 특성을 보인다. 바로 성장 주문력 문양을 9개 사용했다는 것이다. 이는 유틸리티에 많은 투자를 해야하는 트위스티드 페이트의 부족한 화력을 보충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인다.

▲ 허원석 트위스티드 페이트의 MSI 대 AHQ전 특성


유틸리티 페이지에 약간의 차이가 눈에 띈다. 일반적인 AP 챔피언의 경우, 아홉번 째 유틸 특성에 '룬 친화력'을 찍어 버프의 효율을 높인다. 그러나 허원석은 '요리의 대가'에 투자해 초반 라인전의 유지력을 높였다. 챔피언 상성에서 유리하지 않다면 물약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도 매우 현명한 선택이다.

※ 선수에 대한 과도한 비방 욕설은 통보없이 삭제되며 이용 제재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