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Q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선수는 역시나 미드라이너 '웨스트도어'다. 암살자 챔피언을 특히 자주 쓰는 '웨스트도어'는 경기 때마다 준수한 활약을 하면서 팀을 이끌었고, 이런 모습에 매료된 국내 팬들은 '서문갓'이라는 별명을 붙여주면서 '웨스트도어'에게 환호했다.

AHQ, 그리고 '웨스트도어'의 특징적인 운영이라면 역시 스플릿 푸쉬를 꼽을 수 있다. 피즈, 제드 등 솔로킬에 특화된 챔피언을 주로 기용하는 '웨스트도어'는 스플릿 푸쉬를 하는 자신을 막으러 온 대상을 암살하고 상대 전력에 공백을 만들어내 상대를 말려들게 한다.

실제로 이 스플릿 푸쉬 전략이 잘 드러났던 것이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이하 롤드컵) 조별 예선 프나틱과의 2차전이었다. 초반에 다소 불리하게 출발했던 AHQ는 폭발적인 화력을 지닌 제드, 징크스 등의 챔피언으로 상대 챔피언을 순식간에 삭제하면서 차이를 좁혔다. 한타에서 대패한 후에도 '웨스트도어'의 제드가 '후니' 허승훈의 에코를 1:1 상황에서 잡아내면서 구멍을 만들자, AHQ는 바론을 잡고 2억제기를 밀었다. 비록 결과적으로는 3억제기를 밀고도 한타에서 전멸해 대역전패를 당했지만 '웨스트도어'를 위시한 AHQ의 스플릿 푸쉬 운영이 프나틱같은 강팀을 상대로도 충분히 먹힌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하지만 SKT T1(이하 SKT)과의 대결에서는 AHQ가 자랑하는 이런 스플릿 푸쉬 운영이 통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SKT는 항상 모든 팀의 위에 군림하는 위치에 있으면서도 누굴 만나든 밴픽에서부터 자만심을 드러내는 법이 없다. 상대에 피즈 장인이 있다면 피즈를 풀어주고 맞싸우기보다 피즈를 곧바로 밴해버리는 등, 상대의 가장 강력한 무기를 쥐어주지 않는 팀이 바로 SKT다.

롤드컵 시즌3 당시 SKT는 4강에서 나진을 만나 '나그네' 김상문의 그라가스에 크게 고생을 했다. 3세트까지 그라가스를 풀어줬다가 고생을 한 SKT는 자존심을 접고 이어지는 세트에서는 전부 그라가스를 밴해버리면서 나진을 잡고 결승전에 진출해 우승까지 따냈다. 그만큼 SKT는 때로는 맞서 싸우는 것보다 피하는 것이 정답이라는 판단을 무서울 정도로 빨리 내린다.

SKT가 평소 보여주는 밴픽 특성상 '웨스트도어'의 스플릿 푸쉬를 막기 위한 제드나 피즈 밴, 또는 조별 예선에서 징크스를 잡으면 캐리하는 모습을 보여준 'AN'을 저격하기 위한 징크스 밴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웨스트도어'가 스플릿 푸쉬가 가능한 암살자 챔피언 외에는 딱히 임팩트있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에 SKT에게 저격밴을 당할 경우 제 플레이를 펼치지도 못하고 무너질 수가 있다.

그렇지 않아도 전력차가 큰 마당에 SKT의 빈틈없는 밴픽과도 맞서야 하는 AHQ. 과연 여기에 대해 AHQ가 어떤 해답을 가지고 올지 한국 시각으로 17일 오전 1시, 영국 런던에 위치한 웸블리 아레나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5 8강 2경기

SKT T1 vs AHQ - 한국 시각 17일 오전 1시
- 5판 3선승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