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우(SKT)가 무너진 자존심을 회복하기 위해 다시 한 번 출동한다.

김도우는 지난 11일 펼쳐졌던 2016 스포티비 스타크래프트2 스타리그 시즌1 승자조 8강 경기에서 팀 동료 박령우(SKT)에게 0:3으로 완패하면서 패자조로 내려왔다. 0:3이라는 스코어도 그렇지만 경기 내용 면에서도 박령우에게 제대로 된 저항조차 하지 못했기에 김도우 입장에서는 크게 흔들릴 수도 있는 위기다.

사실 박령우와의 경기가 있기 전까지 김도우의 분위기는 계속된 상승세였다. 스타리그 16강에서 한이석(아프리카)을 2:0으로, GSL 코드A에서도 정지훈(kt)을 3:0으로 꺾었고 프로리그 개막전에서도 이원표(아프리카)를 압도하면서 승리를 따내 주간 MVP까지 선정되는 등 김도우는 공허의 유산 이후 패배를 모르고 달려왔다.

크게 다치긴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도우는 아직 살아있다. 다른 리그였다면 이미 탈락이었겠지만 스타리그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이기 때문에 한 번 더 기회가 있다. 그간 김도우는 프로토스라는 종족에 대한 엄청난 이해도를 바탕으로 다양한 전략을 앞세워 다전제에서 줄곧 승리를 해 왔다. 비록 이번에는 자신을 너무 잘 알고 있는 팀 동료에게 간파당해 패배했지만 김도우의 그 엄청난 종족 이해도가 어디 가는 것은 아니다.

김도우는 스타리그 패자전 2라운드에서 김민철(TCM)을 상대한다. 김민철도 패자전 1라운드에서 프로토스인 최성일(kt)을 2:0으로 잡고 올라오면서 토스전 저력을 보여준 바 있다. 그러나 김도우는 방송 무대 경험, 특히 다전제 경험이 최성일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기 때문에 김민철에게도 큰 압박이 될 것이다. 둘이 같은 팀이었을 때도 있었으나 이제는 그것도 오래 전 이야기다. 김도우는 김민철이 알지 못하는 온갖 전략들을 마음놓고 걸 수 있다는 뜻이다.

한 번 제대로 미끄러졌으나 아직까지 팬들이 김도우에게 거는 기대는 크다. 그 많은 프로게이머들 가운데 유일하게 양대리그 석권 경험이 있는 선수가 바로 김도우 아니던가. 챔피언의 DNA는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줄 차례다.


2016 스포티비 스타크래프트2 스타리그 패자전 2라운드

1경기 한이석(T) VS 한지원(Z)
2경기 남기웅(P) VS 변현우(T)
3경기 조지현(P) VS 어윤수(Z)
4경기 김도우(P) VS 김민철(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