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IEM 공식 트위터

B조에서 4강으로 향하는 마지막 한 자리는 패자전부터 올라온 프나틱에게 돌아갔다. 최종전 3세트 끝에 프나틱이 QG를 제압했다. 초반부터 모든 라인을 터뜨린 프나틱의 합류전은 걷잡을 수 없는 격차로 환산됐다.


프나틱이 이번 세트 역시 승리의 아이콘과 같은 느낌의 진을 선택했다. QG는 '우지'의 캐리력을 믿고 이즈리얼을 손에 쥐여줬다. 선취점은 QG가 기록했다. 상대의 미드 라인 압박을 뿌리치는 과정에서 '브이'의 피오라가 쓰레쉬를 잡았다. 그러자 프나틱 역시 탑 라인에서 피오라를 곧장 쓰러뜨리며 응수했다.

프나틱이 순식간에 승기를 잡았다. 미드 라인에서 상대의 이니시에이팅을 잘 받아쳐 역으로 킬을 기록했다. '감수' 노영진의 노틸러스가 적절한 타이밍에 합류해 르블랑을 끌어 당겼고, 알리스타까지 깔끔하게 쓰러뜨렸다. 기세를 탄 프나틱은 적극적으로 상대 정글 지역에 난입해 계속 이득을 챙겼다.

QG에게 하나 남았던 희망인 '우지'의 이즈리얼도 프나틱의 역공에 쓰러졌다. '클라즈'의 쓰레쉬는 '점멸'로 상대의 추격에서 벗어난 뒤, 빠르게 스킬을 연계해 상황을 반전시켰다. 피오라의 합류 시도는 '스피릿' 이다윤의 리 신에 의해 실패했다. 프나틱은 또 한 번 봇 라인 한타에서 대승을 거뒀고, QG는 돌파구를 찾지 못한 채 흔들렸다.

벼랑 끝에 몰린 QG는 봇 라인에서 홀로 서 있던 '감수' 노영진의 노틸러스를 끝내 쓰러뜨렸다. 하지만 이미 탑 라인에서는 협곡의 전령 버프와 함께 프나틱이 2차 타워를 파괴했다. QG는 바론 버프를 노리는 상대와 길고 긴 대치전을 성사시켰지만, 분위기를 뒤집진 못했다. '레클리스'의 진은 안정적인 위치에서 킬 포인트를 쓸어 담았다.

승리를 위한 모든 선제 조건을 완수한 프나틱이 경기를 끝내려 했다. 상대를 구석으로 밀어 넣고 마음 먹은대로 스플릿 운영을 해냈다. 과감하게 돌진하는 프나틱을 막기엔 QG에게 대미지가 너무 부족했다. 결국, 바론 버프와 함께 탑 라인으로 진격한 프나틱이 상대 넥서스를 파괴하며 4강으로 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