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지독한 극상성을 뛰어넘을 수 있을까?

3일, 어린이 대공원 능동 숲속의 무대에서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2016 시즌 통합 결승전 kt 롤스터와 진에어 그린윙스의 대결이 펼쳐진다. kt 입장에서는 극상성 진에어를 잡고 천적 관계를 청산하는 일이 시급하다.

kt 롤스터는 2015, 2016 시즌을 통틀어 프로리그 포스트 시즌에서 단 한 번도 진에어를 이긴 적이 없다. kt가 포스트 시즌 진출에 실패했던 2015 시즌 1라운드, 진에어가 진출하지 못했던 2015 시즌 4라운드를 제외하면 양 팀은 모든 라운드 포스트 시즌과 통합 포스트 시즌에서 맞붙었고, 진에어가 전승을 거뒀다.

특히 kt는 조성주와 김유진 두 명을 당해내지 못해 번번히 무너졌다. 2015 시즌 2라운드와 3라운드 플레이오프에서는 조성주에게 각각 3킬, 올킬을 당했고 통합 준플레이오프 2차전에서는 김유진에게 통한의 역스윕을 당했다. 2016 시즌에서도 1라운드 플레이오프에서 조성주에게 3킬, 2라운드 결승에서는 김유진에게 3킬을 당했고 3라운드 결승에서 또 김유진에게 2킬을 당했다. 승자연전이 아닌 엔트리제 방식이었던 통합 준플레이오프 1차전에서도 kt는 김유진과 조성주를 넘지 못했다.

kt가 조성주와 김유진에게 지는 패턴은 대부분 비슷했다. 피지컬로 찍어누르는 조성주의 정면승부를 당해내지 못했고, 도무지 종잡을 수 없는 김유진의 행동에 심리전부터 지고 들어가서 손발이 꼬이는 것이 주된 원인이었다. 이 둘을 당해내기 위해서는 테란 라인의 활약이 필수적이다. kt 최고의 에이스 중 하나인 전태양의 테테전으로 조성주를 막고, 비록 힘겨운 싸움이 되겠지만 정지훈이 김유진을 잡는 이변을 연출한다면 kt가 생각보다 쉽게 경기를 풀어갈 수도 있다.

조성주나 김유진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세트 스코어상 대부분 kt가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그 말은 조성주와 김유진만 잘 막아낸다면 kt에게 급격히 무게가 실린다는 뜻이다.

지금까지 포스트 시즌에서 진에어만 6번 만나 전부 떨어진 kt. 6번을 졌어도 최후의 통합 결승에서 1승만 한다면 그것이 더 가치있게 된다. 그리고 그 열쇠는 조성주와 김유진을 얼마나 잘 마크하느냐에 있다.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2016 시즌 통합 결승전

진에어 그린윙스 VS kt 롤스터

1세트 김도욱(T) vs 최성일(P) - 프로스트
2세트 조성주(T) vs 전태양(T) - 세종과학기지
3세트 조성호(P) vs 주성욱(P) - 뉴 게티스버그
4세트 김유진(P) vs 정지훈(T) - 얼어붙은 사원
5세트 장현우(P) vs 김대엽(P) - 어스름 탑
6세트 이병렬(Z) vs 이동녕(Z) - 만발의 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