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갤럭시가 SKT T1을 꺾고 2017 LoL 월드 챔피언십(이하 롤드컵) 왕좌에 올랐다. 누구도 쉽게 예상하지 못한 결과였다. 무엇보다 데뷔 7년 만에 세계 최정상을 밟은 '앰비션' 강찬용의 활약이 눈부셨다. 예리했으며, 군더더기 없었다. 또 '크라운' 이민호는 앞선 경기에서 보여줬던 불안정한 경기력을 떨쳐냈다. 그렇게 삼성 갤럭시는 만화 속 주인공 같은 일을 해낸 것이다.

이런 삼성 갤럭시의 성공 뒤에는 최우범 감독이 존재했다.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이기도 했던 최우범 감독은 선수로서 굵직한 커리어를 쌓지 못했다. 이후 코치로 전향해 지도자 경력을 갖췄다. 그리고 아주 천천히, 삼성 갤럭시의 경기 스타일처럼 단계를 밟았다. LoL 감독이 된 2015년에는 오로지 배운다는 마음뿐이었으며, 2016시즌은 자신의 부족함에 채찍질을 아끼지 않았다. 그 결과, 최우범 감독은 2017 롤드컵 우승과 함께 명장의 탄생을 알렸다.

매 시즌 세계 각 지역의 팀이 변화를 맞이한다. 한국을 살펴보면 다양한 선수가 이적 시장에서 가치를 평가받는다. 하지만 삼성 갤럭시는 늘 한발 물러섰다. 최우범 감독은 자신이 성장통을 겪은 만큼, 먼저 기존 선수들에게 시간을 줬다. 정말 영입이 필요하다면 팀 분위기를 바꾸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그 주인공이 '앰비션'과 '룰러' 박재혁이다.


돋보였던 영입 수완
최우범 감독의 선택은 틀리지 않았다

2015년 새로운 멤버로 팀원을 꾸릴 당시, 최우범 감독은 아마추어의 플레이를 면밀히 확인했다. 일반적인 팀들의 선택과 다른 점이 있다면, 당장의 실력이 아니라 가능성을 엿봤다. 그리고 팀의 돛대가 되어줄 적임자로 '레이스' 권지민을 택했다.

첫 번째 목표는 잔류, 승급강등전을 치러 생존에 성공했다. 그러나 미드 라이너가 마땅치 않았다. 뒤늦게 합류한 '크라운' 이민호는 아직 무르익지 않은 단계로, 팬들을 만족시키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우범 감독은 '크라운'을 중용할 수밖에 없었다. 믿고 맡긴다면 보답해줄 거라는 믿음 때문이었다.


삼성 갤럭시는 '레이스'를 제외하면 비교적 알려진 게 없는 선수단을 두고 고심했다. 이에 최우범 감독의 시선은 CJ 엔투스에서 다소 애매한 위치에 있던 '앰비션'으로 향했다. 모든 코칭스태프가 경기가 시작된 이후 오롯이 선수들에게 결과를 맡길 수밖에 없다. 이렇게 경험이 적은 팀원들을 이끌기 위해 경기 안에서의 '강력한' 리더가 필요했던 것이다.

'앰비션' 영입 이후 삼성 갤럭시는 2015시즌과 전혀 다른 팀으로 변모했다. 여전히 '큐베'-'크라운'-'코어장전'-'스티치'는 경험 부족을 드러냈지만, 과거처럼 우왕좌왕하던 모습은 사라졌다. '앰비션'이라는 이름 아래 하나로 뭉치는 법을 배웠다.

그렇게 스프링 시즌을 6위로 마무리 지었고, 최우범 감독은 다시 팀의 부족한 부분을 진단했다. '큐베'와 '크라운'이 발전 하는 사이, 봇 듀오는 두 명의 원거리 딜러가 강점을 보여주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평소 챌린저스, 솔로 랭크, 해외 리그를 가리지 않고 살피는 최우범 감독의 눈에 '룰러'가 포착됐다.

'룰러'에게 테스트를 권유한 최우범 감독은 빠르게 영입을 결심했다. 그리고 평소 브리핑 능력이 뛰어난 '코어장전'과 상의 끝에 포지션 변경을 이끌었다. 무명에 가까운 신예 영입과 기존 선수의 장점을 살린 변화로 삼성 갤럭시를 롤드컵 준우승팀으로 바꾼 것이다.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최우범 감독은 팀원들의 문제를 단기간이 아닌, 장기적인 문제로 접근했다. '앰비션'이 비슷한 실수를 반복하는 탓에 팬들의 원성이 커지고 있는 시점이었다. 이에 최우범 감독은 당시 메타에 적합하면서도 유망한 정글러 '하루' 강민승을 영입해 스프링 시즌에도 호성적을 이끌었다.


선수단만큼이나 노력한 감독
직접 롤드컵 무대에 오르다


수천 게임의 솔로 랭크를 했던 '크라운'이 화제가 되면서 '노력'은 삼성 갤럭시를 대표하는 단어가 됐다. 그리고 이에 못지않게 최우범 감독도 필사적으로 노력했다. 분명 많은 팀에는 팀 게임을 직접 지도할 코치가 존재한다. 언뜻 최 감독 입장에서 편할 수 있는 입장이다. 올해 여창동 코치가 그 역할을 착실하게 수행했으니 말이다.

그러나 최우범 감독은 쉴새 없이 발전하기 위한 배움의 시간을 가졌다. 연습 일정이야 당연히 선수들의 플레이를 지켜 보고, 잠시 쉬는 시간에는 상위권 아마추어 유저들의 솔로 랭크를 살폈다. 공식 일정이 종료된 이후에는 여러 해외 리그를 시청하며, 대부분 시간을 LoL에 할애했다.

그러다 보니 최우범 감독은 어느덧 선수들이나 코치들이 놓친 플레이를 지적할 수 있는 수준에 다다랐다. 선수들 또한 자신들의 플레이를 이해하는 최우범 감독에 대해 신뢰가 쌓였다. 삼성 갤럭시의 성장 원동력 중 하나는 코칭스태프의 꼼꼼한 피드백이기도 하다.

그 덕에 2016 롤드컵부터 직접 밴픽을 진행할 정도로 최우범 감독은 성장했다. 선수들의 아이템 트리를 세심하게 살폈고, 최근 메타에 대한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만약 팀에 대한 이런 노력과 애정이 없었더라면 삼성 갤럭시의 영입은 성공적이지 못했을 것이다.


팀보다 위대한 선수는 없다
모두에게 평등한 팀 시스템

승부의 세계에서 진부하리만큼 통용되는 격언이 있다. '팀보다 위대한 선수는 없다', 최우범 감독은 그 누구보다 이 말을 잘 지킨 지도자다. 제아무리 잘하는 선수가 있다 하더라도 필요 이상의 발언권을 주지 않았다. 피드백은 코칭스태프의 몫이었고, 팀원들은 함께 의견을 주고받는 방식을 지켰다.

많은 프로게임단이 연습 과정에서 잡음이 따른다. 가볍게는 '이번에 이 챔피언을 하고 싶다', '나의 성장에 초점을 맞춰 달라' 등 선수들의 요구가 빗발친다. 그 중심을 잡는 것이 코칭스태프의 역할이고, 최우범 감독은 선수 모두에게 평등한 기회를 제공했다. 단, 함께 준비한 조합을 먼저 숙달한 뒤에 말이다.


최우범 감독의 평등을 강조한 지도 방식은 과거 롤드컵 선발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앰비션'의 스카너나 '큐베'의 케넨 그리고 이전에 사용된 '레이스'의 신드라-세주아니 서포터처럼 말이다. 지금에서야 정석적이라는 색깔이 굳어졌지만, 항상 선수들이 스스럼없이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 외에 최우범 감독은 후보 선수들이 한정적인 연습 기회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면 고민 없이 출전시켰다. 그들의 의욕이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만에 하나 훌륭하게 연습을 소화한 후보 선수들을 외면한 채, 하나의 라인업만 고집했다면 팀의 균형이 무너졌을 가능성이 높았다. 결과에 대한 책임과 무게, 항상 그 짐을 짊어진 최우범 감독이다.

팀 운영에 있어서 꼭 당근만 건넨 것은 아니다. 최 감독은 팀의 분위기가 흐트러질 때, 한 번씩 채찍질을 가했다. 특히 팀워크를 해치는 부분에서만큼은 절대 용납하지 않았다. 연습과 실전을 가리지 않고, 팀이 부진하다면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늘 강조했다. 부진의 원인이 '누구의 탓'이 아닌, 팀의 문제이길 바라며 그래야 한 팀으로 빛을 발한다는 신념 때문이었다.

다양한 성격의 사람들을 하나로 응집시키기란 무척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지도자들은 언제나 하나의 팀을 만들기 위해 골머리를 앓는다. 아마 삼성 갤럭시는 최우범 감독이라는 듬직한 리더가 있었기 때문에 하나의 이름으로 강해질 수 있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