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함으로 무장한 그리핀이 LCK 정상을 유지하는 동안, 마찬가지로 참신함을 무기로 삼은 두 팀이 만난다. 그 주인공은 바로 MVP와 한화생명e스포츠다. 두 팀은 직전 스플릿까지 포스트시즌과는 거리가 먼 중위권이었지만, 이번 스플릿에는 3승 2패로 상위권 진입을 코앞에 두고 있다.

애당초 이번 메타에서 가장 주목받은 팀은 MVP였다. 독특한 밴픽과 한타를 선호하는 유형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MVP는 독특할 만하다고 평가받는 챔피언을 자주 사용하지 않았다. 대신 '먼저' 선보인 경우는 있었다.

자신들의 첫 경기에 '마타'(마스터 이-타릭) 조합을 꺼냈으며, 탑 신지드 역시 곧바로 선택했다. 당시 분위기로는 '마타' 조합의 공략법이 이미 나왔고, 신지드 역시 좋다는 평가 정도에서 고민하는 팀이 많았다.

피들스틱 서포터도 같은 맥락이다. 피들스틱은 솔로 랭크를 강타했지만, MVP만큼 자주 사용하는 팀은 없었다. 패치 이전의 세주아니 역시 MVP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지금까지 MVP는 좋은 챔피언을 서슴없이 골라 3승 2패라는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화생명e스포츠도 MVP의 호적수임이 분명하다. 지난 젠지 e스포츠와의 경기에서 '카이사 키우기' 전략을 꺼냈고, 이후 LCK 경기에도 영향을 줬다. 이번 스플릿 처음으로 대대적인 포지션 변화가 이뤄진 경기이기도 하다.

이후 한화생명e스포츠는 폼이 좋은 '라바' 김태훈에게 탑 신드라를 맡기는 등 포지션 변화를 통해 신선함을 불어넣고 있다. 현재까지는 한화생명e스포츠의 경기력이 MVP보다 조금 더 안정적이기 때문에 정석적인 승부도 나쁘지 않은 상황이다.

양 팀의 핵심 포지션은 정글과 봇 라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화생명e스포츠는 '성환' 윤성환이 올라프, 엘리스 등 간혹 깜짝 챔피언을 꺼내는 모습이다. 그래서 더욱 정글 싸움이 중요하다. 최근 미드 라인이 조이-이렐리아를 나눠 갖는 구도이며, 세주아니를 가져가기 위해 눈치 싸움을 벌인다. 한쪽이 세주아니 밴을 한다면 녹턴과 카밀같은 위협적인 챔피언이 풀릴 가능성이 크다.

봇 라인은 메이지 챔피언이 떠오르는 추세다. SKT T1과 그리핀이 나란히 원거리 딜러들에게 모르가나를 맡겼다. 라인이 밀리더라도 W 스킬인 '고통의 대지'로 파밍이 수월하다. 서포터가 아니라 아이템도 빨리 갖출 수 있어 보조 딜러의 역할도 수행이 가능해진다. 두 팀 모두 좋은 평가를 받는 챔피언을 빨리 사용하므로 누가 선택할지 지켜보는 재미가 있다.

다양한 챔피언, 갑작스러운 포지션 변화는 경기가 시작하면 확인할 수 있다. 이보다 더 중요한 점은 경기의 결과다. MVP와 한화생명e스포츠 모두 1승을 더하면 4승 2패로 상위권에 합류한다. 패하는 팀은 kt 롤스터와 SKT T1의 추격을 받게 되며, 중하위권으로 추락한다. 과연 어느 팀이 먼저 4승에 성공할지 기대된다.


2018 LoL 챔피언스 코리아 섬머 스플릿 1라운드 14일 차 일정

1경기 MVP vs 한화생명e스포츠 - 오후 2시(서울 OGN e스타디움)
2경기 bbq 올리버스 vs 젠지 e스포츠 - 오후 5시
3경기 아프리카 프릭스 vs 진에어 그린윙스 - 오후 8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