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멸 늑대' 플래시 울브즈는 명실상부한 대만의 절대 강자다. 7회 연속 LMS 정규 시즌 우승을 차지했다는 것은 그 지역에서 딱히 적수가 없다는 것을 뜻한다. 최근 3년 동안 MSI와 LoL 월드챔피언십도 꾸준히 참석했다. 국제 대회 터줏대감으로 불러도 손색이 없지만, 출석률만 높을 뿐 성적은 많이 아쉽다.

가장 최근 국제 대회인 2018 LoL 월드챔피언십 본선에서 플래시 울브즈는 아프리카 프릭스, 퐁 부 버팔로, G2에게 패하며 일찌감치 대회를 마감했다. 아프리카 프릭스의 탈수기 운영에 속수무책으로 당했고, G2에게는 난전에서 크게 밀렸다. 몇 수 아래의 전력으로 평가 받았던 퐁 부 버팔로에게 일격을 당하기도 했다.

과거 'LCK 킬러'로 불리며 날카로운 경기력을 과시했던 때와 비교하면 칼날이 많이 무뎌져 있었다. 선수들의 기복은 심했고, 운영과 전투에서 강점을 보이지도 못했다. 세계적인 정글러 '카사'의 빈자리가 유독 크게 느껴질 정도로 플래시 울브즈는 지난 LoL 월드챔피언십에서 진한 아쉬움을 남겼다.


월드챔피언십이 끝나고 플래시 울브즈는 또다시 대격변을 겪었다. '무진' 김무진과 팀의 상징이었던 미드라이너 '메이플'과 서포터 '소드아트'가 팀을 떠나면서 대규모 리빌딩이 불가피했다. 플래시 울브즈는 팀의 새로운 사령탑으로 콩두 몬스터 출신 천정희 감독을 영입했고, 한국인 정글러 '부기' 이성엽을 영입했다. 그리고 그리핀 미드라이너 출신 '래더' 신형섭 임대 영입하는 강수를 던졌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래더' 신형섭은 그리핀을 LCK로 올렸던 주역답게 완벽하게 플래시 울브즈에 녹아들었고, 자신의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했다. 정글러 '부기' 이성엽은 기복이 심하다는 단점이 드러났지만, 신예답게 뛰어난 피지컬과 패기 넘치는 플레이가 인상적이었다.

천정희 감독의 리더십도 큰 역할을 했다. 천정희 감독은 선수들에게 소통을 강조했다. 대만인 세 명과 한국인 두 명으로 이루어진 팀이기 때문에 소통에 문제가 생기면 원활하게 경기를 풀어나가는 데 지장이 생길 수밖에 없다. 처음에는 삐걱거렸지만, 소통이 원활해지면서 호흡이 잘 맞는 팀으로 거듭났다.

그렇게 신구의 조화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면서 플래시 울브즈는 시즌 내내 상위권을 유지했다. 막판 순위 경쟁 과정에서 3연패를 기록하며 9승 5패로 매드 팀에게 정규 시즌 1위 자리를 뺏겼지만, 결승전에서 매드 팀에게 3:0 압승을 거두면서 LMS 최강 팀 자리를 지키는 데 성공했다.


진짜 싸움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대부분의 팀이 자국 리그에서만 최고의 팀이 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MSI, LoL 월드챔피언십 등 권위 있는 국제 무대에서 우승컵을 들어 올리는 것이 진정한 의미에서 최고의 팀이 되는 것이다. 2012 LoL 월드챔피언십 우승팀 TPA를 배출한 LMS의 현 맹주로서 플래시 울브즈도 원대한 목표를 갖고 있음에 틀림없다.

플래시 울브즈는 앞서 언급한 대로 2016 LMS 스프링부터 2019 LMS 스프링까지 무려 7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국제 대회에서는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하면서 4대 메이저 지역에서 빠지게 됐다. 플래시 울브즈 입장에서 이번 2019 MSI는 단순한 대회를 넘어 대만의 저력을 보여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인 셈이다.

플래시 울브즈의 상대 베가 스쿼드론은 독립 국가 연합 리그에서 갬빗을 꺾고 2019 MSI에 진출한 팀이다. 지난 플레이 인 스테이지에서 베가 스쿼드론은 변칙적인 전략과 함께 안정감 넘치는 운영까지 선보이며 전 세계 LoL 팬들의 눈도장을 확실하게 찍었다.

물론, 객관적인 전력상 플래시 울브즈의 우세가 예상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플래시 울브즈 선수들도 '하나비'와 '베티'를 제외하면 국제전 경험이 부족하긴 마찬가지다. 또한, 베가 스쿼드론은 바텀 카서스, 하이머딩거 등 다양한 변칙수를 언제든 꺼낼 수 있는 팀이기 때문에 방심은 절대 금물이다. 오랜만에 국제전을 치르는 플래시 울브즈가 다시 한번 비상할 수 있을지 지켜보자.


■ 2019 MSI 플레이-인-넉아웃 스테이지 일정

1경기 팀 리퀴드 vs 퐁 부 버팔로 (오후 5시)
2경기 플래시 울브즈 vs 베가 스쿼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