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 스마일게이트 노동조합이 윤석열 정부의 노동시간 유연화 정책 대응 토론회에 참가한다. 두 게임노조는 오는 13일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비례)이 주최하는 정책 토론회에 나서 게임 개발 노동자의 현장 목소리를 낸다.

관련해 게임산업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는 "게임산업에 주 52시간제를 탄력적으로 적용하겠다"라고 밝힌 바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도 "주 52시간제 유연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한국게임산업협회는 정부에 주 52시간제 완화를 요청한 상태다.

게임업계 사측과 노동계가 주 52시간제를 두고 서로 입장이 갈린 상태다. 게임노조는 "직원들은 52시간을 넘어 일하고 싶어 하는데 법 때문에 못 한다"라는 주장을 확인하기 위해 노동자를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질문 내용은 △본인 회사 근로자 대표 제도를 아는가? △본인 회사의 근로자대표는 회사가 노동자의 불이익을 강요할 때 단호히 거부할 수 있을 거로 생각하나? △법정 최대 근로 시간(1주 52시간)은 어떻게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나? △월평균 52시간, 1주 최대 92시간 근무 가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IT업계 및 사무연구직 대상으로 포괄임금제는 폐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나? 등이다. 게임노조는 13일 간담회 때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배수찬 넥슨 노조 지회장은 "열심히 일한 만큼 쉴 수 있는 제도는 지금도 있다. 그런데 그걸 더 유연하게 바꾼다고, 일의 총량이 줄어들고 우리의 휴식시간이 정말 늘어날 수 있을까?"라며 "과로방지의 핵심은 연장근로가 회사의 부담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더 이상 부담되지 않는다면, 크런치는 필연이다. 정말 저녁이 있는 삶을 원하면, 포괄임금제부터 폐지하자"라고 말했다.

신명재 스마일게이트 노조 수석부지회장은 "업계의 문제를 다룰 때 기업의 입장 외 노동자(당사자)의 이야기도 좀 들으라"며 "절대다수 IT 노동자는 노동 유연화를 반대한다. 그 목소리(설문 결과)를 모아서 이야기하겠다"라고 전했다. 이어 "경쟁력을 높이고 싶으면 과거처럼 노동의 양을 늘리는 게 아니라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자"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