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챔피언십 결승전 대진이 MVP Ozone vs 나진 실드로 확정되었다.

준결승전에서 SKT T1 #2를 만나게 된 MVP Ozone은 빈틈 없는 운영을 선보이며 두 경기 내내 SKT T1 #2를 압도했다. SKT T1 #2는 역전을 만들어내기 위해 경기 내내 종횡무진 노력했지만, MVP Ozone은 빈틈을 보이지 않았고 2:0 스코어로 승리한 MVP Ozone이 결승전에 진출하게 되었다.

나진 실드는 MVP Blue와의 준결승전에서 2:1 스코어로 승리하며 결승전 진출을 확정 지었다. 준결승전에서 탄탄한 운영을 선보였던 나진 실드는 2경기에서 MVP Blue에게 역전을 허락하며 3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하지만 3경기에서 놀라운 경기력을 선보이며 MVP Blue를 압도. 결승전행 티켓을 손에 넣었다.

각 준결승전 종료에 따라 AMD 챔피언십 결승전에서는 MVP Ozone과 나진 실드가 맞붙게 되었다.






■ MVP Ozone vs SKT T1 #2

■ 1경기 1세트 - MVP Ozone 승


★ 경기 결과 상세 데이터 보기 [클릭] - 모바일용


완벽한 운영으로 MVP Ozone 1경기 승리!

SKT T1 #2는 경기 초반부 인베이드를 통해 MVP Ozone의 레드 버프를 스틸한다. 버프 스틸 여부를 확인한 MVP Ozone의 리 신, 자이라는 그대로 SKT T1 #2의 레드 지역으로 이동해 맞 스틸을 하는 데 성공한다.

버프 몬스터 수급면에서는 팽팽한 상황. 쉔으로 SKT T1 #2의 탑라이너인 케넨을 상대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한 MVP Ozone은 봇과 탑라인을 스왑하여 불편한 라인전을 피한다.

라인 스왑에 따라 두 팀의 탑라이너는 2:1 교전을 벌이게 된다. 케이틀린과 자이라라는 타워 철거면에서 강한 봇듀오를 선택한 MVP Ozone은 보다 빠르게 SKT T1 #2의 탑라인 타워를 파괴하고 다시 봇라인으로 이동한다.

빠른 타워 철거를 통해 시야 싸움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MVP Ozone, SKT T1 #2는 이런 MVP Ozone의 움직임에 유동적인 대응을 하지만 타워를 먼저 잃었기 때문에 경기 분위기 자체는 점차 MVP Ozone에게 유리한 형국으로 돌아간다.

MVP Ozone의 타워 철거 운영에 걸려든 SKT T1 #2은 경기 초반부에 네 개의 타워를 잃고 휘둘리기 시작한다. 시야 면에서 얻은 이득으로 SKT T1 #2의 멤버들을 끊어먹은 MVP Ozone은 잦은 상대팀 버프 스틸과 드래곤 사냥으로 이득을 극대화 하고 챔피언간 성장 면에서 계속 우위를 점한다.

경기 중반부, SKT T1 #2은 MVP Ozone의 계속되는 압박 플레이 속에 어느정도 화력을 갖추긴 했지만, 라인 상황은 SKT T1 #2에게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SKT T1 #2는 미드라인 강가에서 자르반의 궁극기를 이용한 대규모 팀파이트를 시도한다. 하지만 이미 너무 잘 성장한 MVP Ozone의 케이틀린이 좋은 포지션에서 프리딜을 하였고 이에 따라 오히려 에이스를 당해 전황은 더욱 암울해졌다.

결국, 후반 마지막 교전에서도 압도적인 차이로 승리한 MVP Ozone은 그대로 SKT T1 #2의 본진으로 돌진, 넥서스를 파괴하며 1경기 승리를 거머쥐었다.





■ 1경기 2세트 - MVP Ozone 승


★ 경기 결과 상세 데이터 보기 [클릭] - 모바일용


라인전 단계에서 압살! MVP Ozone 결승전 진출!

양 팀은 경기 초반, 서로의 버프 지역에 와드를 설치해 라인 스왑에 대비한다. 이런 와드 싸움의 영향인지 2경기는 1경기와 달리 특별한 라인 스왑 없이 라인전 단계에 돌입한다.

라인 스왑이 없었기 때문에 양 팀의 정글러들은 더블 버프 획득 후, 선취점을 얻어내기 위해 각 라인으로 갱킹을 다닌다. 먼저 갱킹을 시도한 것은 MVP Ozone의 정글 자르반이었다. SKT T1 #2의 피들 서폿이 체력 교환에 실패한 틈을 노린 자르반은 봇라인에 위협적인 갱킹을 한다. 이것을 보고 SKT T1 #2의 정글 엘리스도 빠르게 역갱킹을 오지만 이미 선취점은 발생한 후였다.

MVP Ozone은 선취점 수급 후 빠르게 맞라이너를 압박하기 시작한다. 선취점의 주인공이었던 MVP Ozone의 정글 자르반은 매번 날카로운 갱킹을 시도했고 라이너들의 호응 덕에 유효한 킬을 계속해서 얻어냈다. 2경기는 라인 스왑과 인베이드가 진행되지 않았지만, MVP Ozone은 라인전 단계에서부터 SKT T1 #2을 압도하기 시작했다.

라인전 단계에서의 우위는 자연스럽게 타워 싸움에서의 승리로 이어졌다. 라인전 단계에서 상대방을 강하게 압박한 MVP Ozone은 빠르게 타워를 철거하고 그것에 맞춰 유동적인 라인 스왑을 감행했다.

라인전 단계에서 손해를 본 SKT T1 #2는 이어서 MVP Ozone에게 맵 장악을 당해 계속해서 휘둘리는 상황에 직면한다. 초반부터 계속 이득을 누적해온 MVP Ozone 높은 성장치와 시야 싸움에서의 우위를 바탕으로 승기를 잡는 데 성공한다.

계속되는 압박 속에 SKT T1 #2는 암살 조합의 이점을 살려 후반 교전에서 이득을 취해 역전의 발판을 마련하는 듯하였다. 하지만 이런 역전의 발판은 바론 사냥이라는 다소 무리한 움직임으로 무산되고 말았다. 한 번의 승리 이후 바론 사냥을 시도한 SKT T1 #2. MVP Ozone은 이런 움직임을 감지하고 곧장 바론 사냥 저지에 나선다.

이 마지막 바론 싸움에서도 MVP Ozone이 에이스를 달성하며 2경기는 MVP Ozone의 승리로 마무리되었다.






■ MVP Blue vs 나진 실드

■ 2경기 1세트 - 나진 실드 승


★ 경기 결과 상세 데이터 보기 [클릭] - 모바일용


나진 실드, 노련한 운영으로 1경기 승리

경기 시작과 함께 양 팀은 상대진영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와드 싸움을 벌인다.

초반 탑 라인에서 각 팀의 탑 라이너와 정글러간의 교전이 이루어졌다. MVP Blue의 라이즈는 딜 교환을 하던 도중 타워로 돌아가는 나진 실드의 카직스를 제거, 선취점을 통해 초반부 우위를 가져간다.

하지만 나진 실드는 곧바로 반격에 나선다. 나진 실드의 카서스는 궁극기를 활용해 봇 라인의 이즈리얼을 잡아내고 드래곤까지 잡는 데 성공. 선취점의 격차를 줄여 나간다. 또한, 이후 벌어진 미드라인 교전에서 MVP Blue의 오리아나와 자르반까지 모두 잡아내 글로벌 골드면에서 MVP Blue를 앞서 나가는 데 성공한다.

이후에도 나진 실드의 우위는 계속됬다. 경기 초반부 미드 라인에서 벌어진 5대5 대규모 교전에서 카직스의 활약으로 나진실드가 에이스를 달성. 블루팀의 미드 2차 타워까지 철거해낸다.

경기 중반부, MVP Blue는 라이즈의 활약으로 나진 실드의 미드 2차 타워 철거에 성공하지만, 다시 벌어진 한타에서 나진 실드의 카직스가 크게 활약. 오히려 큰 손해를 보고 바론 까지 빼앗기게 된다.

초중반부 이득을 바탕으로 나진 실드는 본격적인 스노우볼링을 시작. 높은 성장치를 통해 봇라인 대규모 교전에서 다시 한 번 블루팀을 모두 잡아내는 데 성공하고 미드 라인 억제기를 철거에 성공한다.

이후, MVP Blue는 후반부 한타에서 역전을 노려보지만 벌어진 격차를 줄이지 못하고 나진 실드의 케이틀린이 쿼드라킬을 만들어내며 1경기 승리는 나진 실드의 손에 넘어가게 되었다.





■ 2경기 2세트 - MVP Blue 승


★ 경기 결과 상세 데이터 보기 [클릭] - 모바일용


놀라운 코그모의 화력! MVP Blue 2경기 승리!

다시 한 번 케이틀린과 소나 봇듀오 조합으로 경기를 시작하는 나진 실드와 후반 캐리력이 좋은 코그모를 선택한 MVP Blue.

경기 초반 1세트와 달리 라인 스왑을 시도한 나진 실드는 케이틀린과 소나의 강력한 라인 푸시 능력을 활용해 탑 라인의 쉔을 강하게 압박하며 빠르게 탑 1차 타워를 철거한다.

또한, 이후에 벌어진 봇 라인 교전에서 나진 실드는 자크의 패시브와 라이즈의 순간 이동을 활용해 쓰레쉬와 누누를 잡아내는 데 성공하며 점차 격차를 벌려간다.

글로벌 골드에서 약간 우세를 점한 나진 실드는 탑에서 이득을 취한 케이틀린과 소나 조합을 봇 라인으로 이동시키고 이블린의 갱킹과 함께 MVP Blue의 코그모와 쓰레쉬를 모두 잡아내고 이후 드래곤까지 손쉽게 가져가며 좋은 분위기를 이어갔다.

하지만 경기 중반부 드래곤을 두고 벌어진 한타에서 MVP Blue는 누누의 버프를 받은 코그모의 활약으로 한타에서 크게 승리. 벌어진 격차를 줄여나간다.

양 팀은 드래곤 한타 이후 서로 견제하며 소규모 교전을 이어간다. 이 와중에 MVP Blue는 미드 라인에서 벌어진 한타에서 승리하고 전리품으로 바론까지 획득하는 데 성공. 역전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승기를 잡은 MVP Blue는 나진 실드의 미드와 봇 라인 2차 타워까지 철거하는 데 성공하고, 이후 다시 한 번 바론앞에서 벌어진 한타에서 완벽하게 승리한다.

이후 MVP Blue는 강하게 전 라인을 압박하고 탑에서 벌어진 마지막 한타에서 나진 실드 선수들을 모두 처치하는 데 성공, 2세트를 승리하며 승부를 다시 원점으로 돌리게 된다.





■ 2경기 3세트 - Najin Shield 승


★ 경기 결과 상세 데이터 보기 [클릭] - 모바일용


라이즈의 대 활약! 나진 실드 결승 진출!

2세트 승리의 주역이었던 코그모와 누누 조합을 다시 한 번 선택한 MVP Blue는 2세트와 똑같은 라인업인 쉔과 오리아나, 쓰레쉬 조합으로 경기를 시작한다.

경기 초반, 나진 실드의 리 신은 MVP Blue의 봇라인 갱킹을 시도한다. 마침 MVP Blue의 코그모가 라인을 비운 상태였기에 리 신의 갱킹은 유효타가 될 수 있었다. 리 신의 첫 갱킹으로 나진 실드의 케이틀린은 MVP Blue의 쓰레쉬를 잡아내고 우위를 선점하는 데 성공한다.

나진 실드의 우위는 계속된다. 봇에서 발생한 교전을 통해 나진 실드의 케이틀린은 다시 한 번 코그모를 잡아내는 데 성공. 이 이득을 바탕으로 나진 실드는 봇라인을 강하게 압박해 간다.

경기 중반, 미드 라인 교전에서 나진 실드의 라이즈가 크게 활약. MVP Blue의 오리아나를 잡아내는 데 성공한다. 이후 라이즈는 봇 라인 지원을 통해 MVP Blue의 코그모까지 잡아내 양 팀의 격차는 점차 벌어지게 된다.

경기 후반부, 탑에서 벌어진 대규모 교전 역시 승리한 나진 실드는 곧바로 바론까지 획득. 글로벌 골드 차이를 만골드까지 늘리며 승기를 잡는 데 성공한다.

격차를 좁히지 못한 MVP 블루는 방어하는 데 급급하며 끌려가게 된다. 최후에 벌어진 교전에서 나진 실드는 MVP 블루팀을 모두 잡아내는 데 성공하며 결승전에 진출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