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두달간 많은 화제의 중심에 있었던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가
5월 19일 토요일, 그 대단원의 막을 내리게 됩니다.


국내에서 최초로 진행되는 공식리그의 최종전에 많은 관심이 모이고 있는 가운데
양 팀 중 최종 우승의 영광을 거머쥐게 될 팀은 어느 쪽이 될 것인지 사람들의 관심이 큰 지금,
지금까지의 기록으로 통해서 어느 쪽이 그 주인공이 될 것인지 예측해 보겠습니다.




Frost vs Blaze 종합 팀 기록





결승전에 오른 양팀은 아직까지 서로 간에 공식전 전적 기록은 없으며
MiG Frost는 본선동안 Little Hippo, MKZ, Najin e-mFire, Xenics Storm와 총 10회의 전적이 있으며
MiG Blaze는 본선동안 Hunters, StarTale, CLG, TeamOP와 총 8회의 전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MiG Frost는 총 10회의 대전동안 7승 3패를 거쳐 결승에 진출했으며
MiG Blaze는 총 8회의 대전동안 7승 1패의 결과로 결승전에 진출했습니다.


결승에 오른 팀 답게 대부분의 기록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두 팀이지만,
몇가지 항목에서는 주목할만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게임시작후 20분 시점까지 기록된 20분 평균 팀CS의 경우,
MiG Frost가 MiG Blaze에 비해 약 44정도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 반면
게임 전체를 놓고 평균 분당 CS는 되려 MiG Blaze가 26.38을 기록
MiG Frost가 기록한 24.37에 비해 2정도 더 높은 기록을 보여줍니다.


이 기록을 통해, MiG Frost가 초반에 파밍위주의 안정적인 경향을 가진데 반해
경기 후반에서는 파밍보다는 한타 위주의 공격적인 플레이를 보여준다는 점과


MiG Blaze의 경우 경기 초반의 CS를 포기하더라도 이득을 가져가는 대신
게임후반까지도 파밍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체적인 전투력에 대해서도 약간은 상반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체 팀 KDA를 살펴볼 때, MiG Blaze가 5.82를 기록해 MiG Frost의 4.75보다
확실히 앞서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마는.


게임 초반의 유불리를 가르는 퍼스트킬의 비율에 있어서는
MiG Frost의 70% 기록에 비해 MiG Blaze는 38%를 기록,
초반에 상당히 약한 모습을 보여준다
는 점을 주목할만 합니다.



게임의 흐름을 뒤바꾸는 두 가지의 몬스터, 드래곤과 바론에 있어서는
MiG Blaze가 MiG Frost에 비해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습니다.


MiG Frost의 드래곤 획득률이 58.33%, 바론 획득률이 60%임에 비해
MiG Blaze의 드래곤 획득률이 80%, 바론 획득률이 88.89%라는 점을 미루어볼 때


MiG Blaze는 전반적인 팀 전략에서 드래곤과 바론에 큰 가치를 두고 있으며,
불리한 상황에서도 최대한 에픽몬스터만큼은 상대에게 넘겨주지 않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rost vs Blaze, 챔피언 기록 분석





지금까지 진행된 경기에서 선택되거나 밴 당한 챔피언의 집계를 통해
양팀의 주력 챔피언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 대전 상대가 양팀에게 금지 시킨 챔피언 밴 리스트 ]





MiG Frost에서 2회 이상 BAN(금지)당한 챔피언은
케넨, 쉔, 문도, 우르곳이며, 특히 이 중 케넨은 각각 6회와 5회로
높은 금지율을 보여줍니다.



반면에 MiG Blaze의 경우에는 집중적으로 견제받은 챔피언이 없습니다.
쉔, 우르곳, 카사딘, 잔나, 블라디미르 등등 다양한 챔피언을 금지당했으나
쉔과 우르곳만이 3회 밴을 당했을 뿐, 나머지 챔피언들은 2회에 그쳤습니다.



MiG Frost에서 케넨 피금지율이 높은 것은, 탑라이너인 MiG GunWoong의 주력챔피언이라
상대방의 입장에서 되도록이면 케넨과의 대결을 꺼리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최근 필밴리스트에 오른 쉔의 피금지율이 높은 것은,
블루팀/선픽 상황에서 MiG Frost는 쉔을 가져갈 수 있도록 먼저 밴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방의 입장에서 어쩔 수 없이 쉔을 금지하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이에 비해 MiG Blaze는 밴리스트에 뚜렷한 특징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필밴리스트인 쉔이 3회에 불과하다는 점은, MiG Blaze는 쉔을 반드시 가져가려 하지 않으며
블루팀/선픽인 상황에서도 쉔을 직접 밴하는 경향이 있음을 재확인할 수 있습니다.





[ 3회 이상 선택된 챔피언 리스트 ]




챔피언 선택 경향을 확인할 수 있는 챔피언 픽리스트를 통해서는
양 팀의 확실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MiG Frost의 경우, 3회 이상 선택된 챔피언의 숫자가 총 7개이며
MiG Blaze의 경우는 3회 이상 선택된 챔피언의 숫자가 총 5개입니다.
이 리스트에서 MiG Blaze의 챔피언 숫자가 더 적은 것은 MiG Blaze가 MiG Frost에 비해
챔피언의 선택폭이 더욱 넓기 때문에, 특정 챔피언에 집중된 경향이 적게 나타납니다.



MiG Frost와 MiG Blaze 양 팀 모두, 라이즈그레이브즈에게 높은 전략적 가치를 부여하지만,
MiG Frost의 경우 잔나/알리스타를 더욱 선호하는 대신, MiG Blaze는 룰루/소라카를 선호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rost vs Blaze, 라인의 우위는 어느 쪽에?





다음은 각 포지션별 라이너의 비교입니다.






탑 라이너의 경우, MiG GunWoong이 MiG FantasyStar에 비해 전반적으로 우위를 보여줍니다.


MiG FantasyStar가 게임 전체적으로 골드를 더 많이 확보하는 편이지만,
게임 초반의 CS집중력, 전반적인 전투력, 전투기여도 등등은 MiG GunWoong이 더욱 높습니다.


MiG GunWoong의 경기당 데스가 1.2로 대단히 낮으며,
MiG GunWoong의 경기당 어시스트가 경기당 킬과 거의 1:1의 비율인데 비해
MiG FantasyStar의 경기당 어시스트가 경기당 킬의 2배에 달한다는 점은


MiG GunWoong이 라인전에서 솔로킬 위주의 높은 전투력을 보여주는 데 비해
MiG FantasyStar는 한타에서의 활약을 통해 팀에 기여하는 방식을 택하는 것으로
양 선수의 성향에서 두드러진 차이가 드러나는 부분입니다.







정글러의 경우, MiG CloudTemplar에 비해 MiG Helios가 전반적으로 우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MiG CloudTemplar의 높은 20분 CS기록을 통해 볼 때, MiG Helios에 비해
게임 초반 파밍에 좀더 치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반면,
전반적인 전투능력 및 팀 기여도에서는 MiG Helios가 더욱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경기당 킬/어시스트 모두 MiG Helios의 기록이 좋지만, 이중에서도 눈여겨볼만한 부분은
정글러임에도 불구하고 엄청나게 낮은, 1.0에 불과한 경기당 데스의 기록입니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KDA에서 MiG Helios는 11.5를 기록,
3.96을 기록한 MiG CloudTemplar에 비해 전적상 큰 우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드라이너의 경우, MiG RapidStar에 비해 MiG Ambition이 전반적으로 좋은 기록을 보여줍니다.
10초당 골드, 초반 20분 평균 CS모두 MiG Ambition이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체적인 전투능력인 경기당 킬/데스/어시 및 KDA까지도 MiG Ambition이 우위를 보여줍니다.


다만, MiG RapidStar의 경우 무려 83.3%에 이르는 전투기여도를 보여주며,
이는 미드라인에서 파밍에만 몰두하는 대신, 적극적으로 다른 라인으로의 로밍/지원을 통해
소환사의 협곡 전반에 대한 높은 장악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봇라인 AD의 경우, MiG LocoDoco에 비해 MiG Captain Jack이 모든 면에서 우위를 보여줍니다.


10초당 골드, 20분 평균 CS등 전체적인 파밍에서도 큰 차이로 앞서고 있으며
전체적인 전투력을 보여주는 KDA에서도 8.42를 기록, 4.85를 기록한 Locodoco에 비해
우월한 전적을 나타냅니다.


또한, MiG Captain Jack은 총 77.69%에 달하는 높은 전투기여도를 기록,
70.29%를 기록한 MiG LocoDoco에 비해 팀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더욱 크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팀 전체를 보살피는 서포터의 경우, MiG MadLife가 MiG Lustboy에 비해 모든 면에서 우위를 가집니다.


서포터 플레이의 핵심인 와드/오라클의 구입/해제 여부를 기록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역할과 활약에 있어서 정확한 분석을 하기는 어렵습니다마는,
전투참여를 통해서 보여주는 모든 기록에서 MiG MadLife는 서포터중 최상급의 기록을 보유,
MiG Lustboy를 모든 면에서 근소한 차이로 앞서고 있습니다.




다만, 전체적인 골드획득량에 있어 MiG LustBoy가 미세하게 높은 것은
팀의 승률이 높아서 전체적으로 벌어들인 골드수입의 비중이 컸다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서포터의 활약이 직접적으로 기록되는 어시스트의 경우, 미세하게 MadLife가 높으며,
이러한 우세는 킬 기록 및, CS등에서도 조금씩 더 높은 기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팀이 일궈낸 전체 킬에서 얼마만큼을 관여했느냐를 보여주는 전투기여도 부문에서는
MiG MadLife는 85.5%를 기록해 86.87%의 NaJin MOKUZA, 86.49%의 CLG SaintVicious에 이어
8강 이상 진출팀 전원 중에서도 3위에 올라 있으며, 서포터 중 1위를 기록했습니다.








기록을 통해 살펴본 결과, 탑라이너, 서포터에서는 MiG Frost의 우세가
미드라이너, 정글러, AD에서는 MiG Blaze의 우세가 드러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LOL은 팀게임인만큼 개개인의 역량을 뛰어넘는 팀으로써의 시너지효과가
승패를 가르는데 있어 더욱 종요한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에 그야말로 승패는 장담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어느 팀의 우위를 예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