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주 화요일이면 새롭게 갱신되는 프리 로테이션 가이드.

이번 9월 첫째주 화요일에도 새로운 10인의 챔피언이 정의의 전장을 찾았습니다.

 

 

특히 이번 주에는 로테이션에 참가한 챔피언들의 몸값이 비싼 것이 특징이며

상한가 6300 IP 챔피언들이 무려 7명이나 포진, 풍족한 한 주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물론, 몸값과 성능의 관계는 무관하다는 의견이 들리기는 합니다만,

어찌되었든, 9월 첫째주의 로테이션 가이드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Darius(다리우스)Ryze(라이즈)Lux(럭스)Rengar(렝가)Lulu(룰루)

Vayne(베인)Sejuani(세주아니)Alistar(알리스타)Caitlyn(케이틀린)Talon(탈론)

▲ 초상화를 클릭하시면 공략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메이지 계열

 

 방랑 마법사, 라이즈 [260 RP or 450 IP]


 

Ryze(라이즈)◀ 챔피언 정보 보러가기

 

포지션 : 캐리형 AP딜러     주요 라인 : 미드 라인

 

 

라이즈 다른 메이지형 챔피언들과 달리

주문력이 아닌 마나량으로 피해를 주는 챔피언으로

각 스킬들의 단일 대미지는 그렇게 높지 않지만 재사용 대기시간이 짧습니다.

 

 

더군다나 기본 패시브로 그 짧은 재사용 대기시간마저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누킹 보다는 지속적인 화력을 내는 AP딜러입니다.

 

 

라이즈는 정상적으로 성장할 경우 높은 체력과

화력을 모두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강력한 후반 캐리형 AP딜러로 손꼽힙니다.

 

 

하지만 초반, 아이템이 갖춰지기 전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플레이가 요구 됩니다.

 

* 이상적인 스킬 콤보

  Overload(과부하) ▶ Spell Flux(주문 흐름) Overload(과부하) Rune Prison(룬 감옥) Overload(과부하) Desperate Power(필사적인 힘) Overload(과부하)

 

* 현실적인 스킬 콤보

  Rune Prison(룬 감옥)  Overload(과부하) Spell Flux(주문 흐름) Desperate Power(필사적인 힘) Overload(과부하)

 

* 콤보 사용시 여유가 된다면 기본 공격을 섞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관련 아이템

 

일반적으로 메이지형 챔피언은 얼어붙은 심장을 자주 사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라이즈와 같은 탱키한 AP챔피언에게 얼어붙은 심장은 상당히 유용합니다.

 

얼어붙은 심장은 그 자체의 효율이 좋을 뿐더러, 라이즈의 특징인

마나를 이용한 화력, 잦은 스킬 사용 그리고 탱키함에 완벽하게 부합됩니다.

 

그러므로 많은 라이즈 유저들은 얼어붙은 심장을

애용하고 있습니다.

 

 

 

 

◆ 라이즈의 카운터는?

 

일반적으로 라이즈는 라인전이 강하지 않고

후반에 캐리하는 유형의 챔피언이기 때문에

초반에 지나친 견제를 당하면 정상적으로 성장하기 어렵습니다.

 

카시오페아는 라인전에서 굉장히 강하고

대부분의 스킬이 라이즈의 그것보다 긴 사거리를 갖습니다.

 

그러므로 카시오페아는 라이즈와의 피 교환에서 유리하고

초반에 맞딜을 해도 카시오페아의 강력한 화력을 라이즈가 견뎌내기 어려우므로

카시오페아는 라이즈를 일정 영역 카운터할 수 있습니다.

 

 

 

 

◆ 라이즈의 마니아는 누가 있을까?

 

 

 

◆ 이런 소환사에게 추천합니다!

 

탱키한 마법사형 챔피언을 원하시는 분

 

라인전을 안정적이게 이끌어 나가시는 분

 

초반의 약함을 딛고 후반을 캐리할 의지를 지니신 분

 

 

 

 

 

 

 

 광명의 소녀, 럭스 [975 RP or 3150 IP]


 

Lux(럭스)◀ 챔피언 정보 보러가기

 

포지션 : 누커형 AP딜러 주요 라인 : 미드 라인

 

 

 

럭스는 스킬 사정거리가 긴 챔피언으로
기본 스킬로 아군에게 쉴드를 걸어줄 수 있고 적을 속박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종종 서포터로 활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메이지 딜러로 활용됩니다.


럭스의 모든 스킬은 사정거리가 1000에 육박하고
AP계수가 상당히 높아 견제와 암살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쉴드를 제외한 모든 스킬이 논타겟팅형이기에 숙달된 컨트롤이 요구되기도 합니다.


럭스의 스킬들은 사정거리가 길고 AP계수가 높아 일단, 맞추면 상대방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지만,

투사체의 속도가 느리고 모든 스킬이 논타겟팅 스킬이기에 적중시키는 것이 쉽지만은 않습니다.
그렇기에 적을 묶어둘 수 있는 Light Binding(빛의 속박)(Q)스킬, 빛의 속박은 럭스 콤보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Light Binding(빛의 속박)(Q)스킬, 빛의 속박의 적중을 통해 일단 적을 움직일 수 없게 만든다면,
Lucent Singularity(광휘의 특이점)(E)스킬, 광휘의 특이점Finales Funkeln(최후의 섬광)궁극기, 최후의 섬광을 손쉽게 맞출 수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 필킬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럭스의 특징으로 꼽히는 또 다른 요소는 궁극의 사정거리와 재사용 대기시간입니다.
럭스 Finales Funkeln(최후의 섬광)궁극기의 사정거리는 3000으로 굉장히 멀리서 사용할 수 있어
적은 피로 도망가는 상대를 암살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3레벨까지 찍으면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40초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아이템을 맞춰 준다면 팀파이트시 두 번까지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관련 아이템

 

 

뛰어난 사정거리, 높은 주문력 계수를 가진 럭스의 약점은 마나소모와 긴 쿨타임 입니다.

최근 럭스의 상향 패치로 인해 스킬들의 마나소모량이 전체적으로 감소하긴 했지만,

여전히 스킬을 난사하기에는 마나가 부족하고, 쿨타임이 길어 한타에서 화력발휘가 어렵습니다.

 

이러한 럭스의 고민을 모두 해결해줄 수 있는 아이템이 바로, 아테네의 부정한 성배입니다.

조화의 성배에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이 아이템은, 마나부족을 해결해주는 것만이 아니라,

 

킬/어시스트 확보시 전체 마나의 12%를 회복하는 고유 지속 효과 옵션을 통해

적과의 대치/포킹시 줄어든 마나를 교전시 빠르게 확보할 수 있게끔 도와줍니다.

 

또한, 악마의 마법서를 통해서 확보하게 되는 쿨타임 감소 15%의 효과 역시도

럭스의 다른 약점을 보완해주기 때문에, 최근 아테네의 부정한 성배를 빠르게 확보,

지속적인 스킬 활용과 견제를 하는 플레이스타일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 럭스의 카운터는?

 

일반적으로 럭스는 라인전에서의 견제를 긴 사거리의 스킬에 의존해야 하고

한타에서의 화력지원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성격의 챔피언이기 때문에

이러한 럭스의 스타일을 카운터 할 수 있는 챔피언에게 약한 면모를 보입니다.

 

 

긴 사정거리 견제를 기동력으로 피해낼 수 있는 카사딘Kassadin(카사딘)이 궁극기를 확보하게 되면

럭스의 사정거리 밖에서 순식간에 접근, 침묵을 동반한 데미지를 퍼부은 이후

유유히 빠져나가는 것이 가능합니다.

 

 

 

 

 

 

◆ 럭스의 마니아는 누가 있을까?

 

 

 

 

 



◆ 이런 소환사에게 추천합니다!

 


스킬 사정거리가 긴 챔피언을 선호하시는 분

논타겟팅형 스킬 사용에 조예가 깊으신 분

여러분이 바라시던 마리사가 왔습니다~

 

 

 

 

 

 

탱커 계열

 

 

 혹한의 서릿발, 세주아니 [975 RP or 6300 IP]


 

 

Sejuani(세주아니) ◀ 챔피언 정보 보러가기

 

포지션 : 돌진형 탱커  주요 라인 : 정글

 

 

세주아니는 거의 모든 종류의 스킬에 군중제어 기능이 포함 되어 있는 파워 CC기 형 탱커이며
동시에 높은 습격 능력을 보유한 위협적인 정글러이기도 합니다.

세주아니는 군중 제어 능력이 포함된 돌진형 스킬인 Arctic Assault(혹한의 맹습) (Q)스킬, 혹한의 맹습을 사용 할 수 있고

그것과 연계 하여 상대방의 움직임을 현저히 느려지게 만드는 Permafrost(만년 서리)(E)스킬,만년서리를 보유하고 있어,
강한 라인 습격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순간적으로 복수의 대상을 완전히 결빙시킬 수 있는 Glacial Prison(빙하 감옥) 궁극기, 빙하감옥 덕분에
한타 싸움에서 강한 모습을 보이는 챔피언 입니다.

 

 

 

 

◆ 관련 아이템

 

세주아니는, 주력 딜링인 Northern Winds(매서운 북풍) (W)스킬, 매서운 북풍이 세주아니가 확보한

최대 체력에 비례한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체력을 높여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다수의 교전에서 적의 피해를 받아내는 탱커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방어력/마법저항력을 높이는 아이템을 장만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세주아니의 필요에 완벽하게 어울리는 아이템이 바로 태양불꽃 망토입니다.

체력과 방어력을 동시에 증가시키면서, 주변의 적에게 마법 지속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적진의 가운데로 돌진해서 광역 피해를 입히는 세주아니에게 최상의 효율을 보입니다.

 

 

 

 

 

 

◆ 세주아니의 마니아는 누가 있을까?

 

 

 

 

※ 2000점 이상 랭커 5명이 확보되지 않은 챔피언은, 전체 랭킹 기준으로 소개됩니다.

 



◆ 이런 소환사에게 추천합니다!

 

군중제어기가 많은 챔피언을 하고 싶으신 분

한타유발과 라인 습격을 좋아 하시는 분

소주와 너비아니의 맛을 아시는 분

전속력으로! (☜ 클릭)



 

 

 

 

원거리 딜러 계열

 

 필트오버의 보안관, 케이틀린 [975 RP or 6300 IP]


 

Caitlyn(케이틀린) ◀ 챔피언 정보 보러가기

 

포지션 : 원거리 AD     주요 라인 : 봇 라인

 

 

케이틀린은 긴 사거리가 특징인 원거리 AD 챔피언으로

이 사거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초반에 특히 강력한 위용을 보여주는 챔피언입니다.

 

 

다른 원거리 AD 챔피언보다 긴 사거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대와의 딜 교환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특히 수풀 플레이에 유리하여

상대의 성장을 원천 봉쇄할 수도 있습니다.

 

 

케이틀린의 Headshot(헤드샷: 카운트)패시브 헤드샷: 카운트 역시 이에 어울리게 특화되어 있어

기회가 있을 때마다 적에게 명중시키는 플레이가 중요합니다.

 

 

Yordle Snap Trap(요들잡이 덫)(W) 스킬, 요들잡이 덫으로 적 정글러의 라인전 개입을 파악한 뒤

초반부터 강력하게 압박하여 적 챔피언들이 타워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플레이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후반 활약이 다른 원거리 AD에 비해 떨어진다는 평이 높은 케이틀린이기에

초반에 이득을 봐 적 원거리 AD와 격차를 벌여두지 않으면 후반으로 갈 수록 다소 힘들어 집니다.

 

 

90 Caliber Net(90구경 투망)(E) 스킬, 90구경 투망은 얇은 벽을 넘어다닐 수 있는 만큼

스킬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 수록 생존률이 높아지며

때로는 추격/회피 모두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케이틀린의 스텟

 

케이틀린의 스텟에서 가장 큰 특징은 역시 사거리!

18레벨인 트리스타나와 W스킬을 사용한 코그모를 제외하면 최고의 사거리입니다.

이 사거리가 케이틀린의 존재 이유이자 강점이지요.

 

 

 

 

 

 

◆ 케이틀린의 마니아는 누가 있을까?

 

 

 

 

 

 

◆ 이런 소환사에게 추천합니다!

 

긴 사거리를 이용해 적을 디나이하고 싶으신 분

 

초반 라인전에서 큰 이득을 취하고 싶으신 분

 

수색할 시간이군요.

 

 

 

 

 

 

 어둠 사냥꾼, 베인 [975 RP or 6300 IP]


 

Vayne(베인)◀ 챔피언 정보 보러가기

 

포지션 : 원거리 AD 주요 라인 : 봇 라인

 

 

베인은 극 후반 캐리형 원거리 AD로 정상적으로 성장할 경우

그 어떤 챔피언보다 강력한 화력을 낼 수 있습니다.

 

 

베인은 주된 딜링을 스킬이 아닌 일반 공격으로 하기 때문에

아이템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1레벨 체력이 낮은 편이기에 초반에 상대적으로 매우 약합니다.

 

 

하지만 잘만 사용하면 논타겟팅 스킬들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는 Tumble(구르기) (Q)스킬, 구르기

적을 멀리 밀어내는 Condemn(선고) (E)스킬, 선고 덕분에 안정적으로 운영하면 충분히 적의 견제에 대응할 수 있고

아군 정글러의 라인 습격으로 상대 원거리 AD보다 킬을 먼저 챙겨

아이템상 앞서 나가기 시작하면 스노우볼 효과를 낼 가능성도 있습니다.

 

 

 

 

 

◆ 관련 아이템

 

베인은 기본 패시브 스킬 덕분에 같은 대상을 타겟으로 한

세 번째 공격으로 고정 대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공격 속도의 비중이 큰 챔피언이라

베인의 아이템 빌드에 유령무희는 빠지지 않고 등장합니다.

 

하지만 선 유령무희 빌드는 일반적으로 인식이 매우 좋지 않습니다.

 

 

 

 

 

◆ 베인의 스텟

 

베인의 1레벨 체력은 베이가 보다 조금 좋은 수준입니다.

역시, 일정 부분 아이템이 갖춰지기 전에는 체력 교환을 하지 않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 베인의 마니아는 누가 있을까?

 

 

 

 

 

◆ 이런 소환사에게 추천합니다!

 

후반 캐리형 챔피언을 선호하시는 분

 

스타일리쉬한 전투를 즐기시는 분

 

잘 구르Tumble(구르기)Tumble(구르기)Tumble(구르기)시는 분

 

산탄사격과 연막탄을 구르기로 피하시는 분

 

 

 

 

 

서포터 계열

 

 

 요정 마법사, 룰루 [975 RP or 6300 IP]


 

Lulu(룰루)◀ 챔피언 정보 보러가기

 

포지션 : 서포터     주요 라인 : 봇 라인 or 미드

 

 

룰루는 공격성과 기능성을 고루게 갖춘 서포터로

Glitterlance(반짝반짝 창) (Q)스킬, 반짝반짝 창을 이용해 적을 견제하고 슬로우 효과를 걸 수 있으며

Whimsy(변덕쟁이) (W) 스킬, 변덕쟁이를 이용하면 적의 공격을 봉쇄하고 아군의 이동 속도를 올릴 수 있습니다.

룰루는 이런 스킬들을 이용해 적을 견제하고 공격을 봉쇄하는 형식으로 아군을 지원합니다.

 

 

룰루의 Glitterlance(반짝반짝 창) (Q)스킬은 Help, Pix!(도와줘, 픽스!) (E)스킬, 도와줘 픽스!와 함께 사용하면 굉장히 먼 거리에 있는

적을 압박할 수 있으며 Whimsy(변덕쟁이) (W)를 이용해 아군을 가속하거나 적의 공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궁극기 스킬 Wild Growth(급성장) 급성장은 적절한 상황에 사용하면 많은 적의 행동을 제한할 수 있어

종종 오리아나, 오공과 함께 에어본 조합으로도 활용 되기도 합니다.

 

 

다만, 룰루의 스킬들은 마나 소모량이 큰 편이기 때문에 Glitterlance(반짝반짝 창) (Q)를 너무 많이 사용할 경우

라인이 밀리고 마나가 금방 동나는 상황을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룰루의 Whimsy(변덕쟁이) (W)를 이용한 적군 변이는 이동 속도에는 큰 영향을 줄 수 없으므로

근접 챔피언에게 사용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효과가 떨어집니다.

 

 

룰루는 생존기, 군중 제어기, 보호막, 공격력을 두루 갖춘 챔피언으로

서포터 외에 미드 라이너로 운영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룰루의 스텟

 

룰루만 하면 마나량이 부족해 허덕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었습니다.

마나가 없는 챔피언들을 제외하면 타릭 바로 다음으로 마나 회복량이 적은 챔피언 룰루!

여러분이 마나 관리를 못하는게 아니라 애가 원래 이런겁니다!

 

 

 

 

 

◆ 룰루의 마니아는 누가 있을까?

 

 

 

 

 

 

 

◆ 이런 소환사에게 추천합니다!

 

공격적인 서포터를 좋아하시는 분

 

견제 플레이에 능하신 분

 

마나 관리를 잘하시는 분

 

주거라! (☜ 클릭)

 

 

 

 

 

 

 미노타우로스, 알리스타 [585 RP or 1350 IP]


 

Alistar(알리스타)◀ 챔피언 정보 보러가기

 

포지션 : 탱커형 서포터     주요 라인 : 봇 라인 or 정글

 

 

알리스타는 탱커로 설계되어 북미에서 로밍형 챔프로 자리를 잡고

EU스타일이 활성화 되며 전문 서포터로 전향, 그리고 최근에는 정글러로도

종종 사용되는 챔피언입니다.

 

 

강력한 CC기를 두 개나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공격적인 서포터로 많이 활용되고 궁극기Unbreakable Will(꺾을 수 없는 의지) 꺾을수 없는 의지를 사용하면

그 기간 동안 탱킹이 가능하여 타워 다이브시 원딜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알리스타의 Flash(점멸) 점멸 Pulverize(분쇄) 분쇄(Q) Headbutt(박치기) 치기 (W)는 가장 대표적인 스킬 연계로

잘 활용하면 아군 원딜에게 쉽게 킬을 먹여주는 상황을 만들어주기도 합니다.

 

 

다만, 알리스타는 공격적인 챔피언이고 먼저 달려들어야 하는 유형의 서포터이기 때문에

뛰어난 상황 판단력이 요구되며 라인전에서 원거리 서포터에게

견제 공격을 당할 수 있으므로 그 부분을 조심해야합니다.

 

 

점멸 (Q) 콤보시 그 사이에 스킬 발동 딜레이가 신경쓰이신다면

(Q)를 먼저 사용하고 점멸을 쓰는 콤보 연습을 하시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 알리스타의 마니아는 누가 있을까?

 

 

 

 

 

◆ 이런 소환사에게 추천합니다!

 

공격적인 서포터를 선호하시는 분

 

팀파이트시 아군 원거리 AD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싶으신 분

 

정글과 서폿을 소화하고 싶으신 분

 

꺾을수 없는 의지Unbreakable Will(꺾을 수 없는 의지)를 가지신 분

 

 

 

◆ 최신 스킨

 

 

 

 

 

 

 

근접 딜러 계열

 

 

 녹서스의 실력자, 다리우스 [975 RP or 6300 IP]


 

Darius(다리우스) ◀ 챔피언 정보 보러가기

 

포지션 : 근접 딜러 주요 라인 : 탑 라인 or 정글

 

 

다리우스는 매우 독특한 궁극기를 가지고 있는 근접형 챔피언으로
등장 직후 OP 논란에 휩쌓였을 정도로 강력한 챔피언이었으나
최근에는 몇 번의 밸런스 패치와 함께 파해법이 알려져 상대하기 쉬워진 편입니다.

 


전형적인 딜탱형 챔피언으로 주로 탑라인에서 활동하며
패시브 스킬인 Hemorrhage(과다출혈)과다출혈의 중첩 대미지가 초반 라인전에서 엄청난 효율을 보여
섣불리 대미지 교환을 시도했다가는 금방 회색화면을 보게 되기도 합니다.

 


반대로 말하면, 다리우스 유저는 비록 근접 챔피언이지만 꾸준히
상대를 공격하여 출혈로 인한 대미지를 쌓아줄 필요가 있습니다.

 


Decimate(학살)(Q)스킬, 학살은 최대 사정거리에 있을 때 최고의 대미지를 줄 수 있어
스킬의 사거리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원숙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돌진 스킬이 없는 대신 범위안의 적을 모두 끌어오는 Apprehend(포획)(E)스킬, 포획
사정거리 안에만 있다면 숫자에 상관없이 적 챔피언을 끌어당기기 때문에
아군 챔피언을 보호하는 등 특별한 상황에서도 요긴하게 쓸 수 있고
부족한 사거리를 어느 정도 보완해주는 스킬이지만, 스킬 재사용 시간이 상당히 길고
생각보다 짧은 사거리를 가지고 있어 신중하게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Crippling Strike(마비의 일격)(W)스킬, 마비의 일격은 평타 모션을 초기화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적절하게 사용한다면 빠르게 과다출혈 중첩을 쌓을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됩니다.

 


다리우스를 플레이할 때에는 특히 과다출혈의 중첩에 신경을 써야 하는데
이에 따라서 다라우스의 Noxian Guillotine(녹서스의 단두대)궁극기, 녹서스의 단두대 피해량이 엄청나게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고정 대미지에 이 스킬로 적을 처치할 경우 재사용 대기 시간 초기화 효과도 있어
상황만 따라준다면 그야말로 적을 도륙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챔피언이기도 합니다.

 


단,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별다른 돌진기가 없고 생존기가 없어
적의 라인 습격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다리우스의 스텟

 

놀랍게도, 다리우스는 초반 1레벨 기준의 스탯이 매우 강력한 캐릭터입니다.

 

특히, 물리피해와 관련된 방어력, 그리고 체력 재생 수치에 있어서

전체 챔피언 중에서 각각 2위, 4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캐릭터의 특징을 살려 게임 초반부터 견제/딜교환을 자주 시도하는 것이

라이엇이 생각하고 있는 다리우스의 컨셉으로 보여집니다.

 

 

 


▲ 람머스를 제외하면 1레벨 방어력 최고

 

 

 


▲ 너프가 예견된 다이애나를 제외하면, 체력 재생 역시도 사실상 3위에 랭크


 

 

◆ 다리우스의 마니아는 누가 있을까?

 

 

 

 

 

 

◆ 이런 소환사에게 추천합니다!

 

 

널뛰기에 탁월한 재능이 있으신 분

 

남자라면 도망 따위는 치지 않는다!

 

남자에게 힘보다 중요한 게 어딨나!

 

 

 

 

 

 

 

 추적하는 사자, 렝가 [975 RP or 6300 IP]


 

Rengar(렝가) ◀ 챔피언 정보 보러가기

 

포지션 : 근접 딜러 주요 라인 : 탑 라인 or 정글

 

 

가장 최근에 등장하여 논란의 중심에 있는 챔피언입니다.
다른 챔피언들과 달리 야성이라는 독특한 매커니즘을 사용하는 챔피언으로
매 스킬 사용시마다 쌓이는 야성에 따라 스킬이 강화됩니다. 

 


기본적인 콤보는 야성이 4중첩된 상태에서

수풀에서 Unseen Predator(보이지 않는 포식자) 패시브 스킬, 보이지 않는 포식자로 뛰어 나가면서
스킬로 피해를 준 뒤, 바로 연속해서 스킬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야성이 스킬로만 쌓인다는 제약에 따라,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의 야성 수치를 적절히 유지하기 위한 노하우가 상당히 필요하며
야성으로 인한 다른 스킬의 효과들까지도 잘 이해하고 있을 필요가 있습니다.

 


야성 5중첩 추가 효과는 Savagery(포악함)(Q)스킬, 포악함의 경우 피해량/공속증가의 상승이지만

Battle Roar(전투의 포효)(W)스킬, 전투의 포효의 경우에는 자신의 최대 체력의 15%에 해당하는 양을 회복하며,

Bola Strike(올가미 투척)(E)스킬, 올가미 투척은 슬로우 효과에 추가로 대상에게 속박효과까지 적용됩니다.

 

 

다만, 야성 5중첩의 활용은 한 번의 전투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렝가의 특이함을 잘 파악해서, 상황에 맞는 스킬 및 순서를 잘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 하나의 특징으로는 Thrill of the Hunt(사냥의 전율)궁극기 사냥의 전율을 들 수 있는데,
순간적으로 은신과 함께 이동속도가 늘어나고 야성이 회복되어
적이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의 습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관련 아이템

 

렝가는 게임에서 두번째로 출시된, 전용아이템을 가지고 있는 챔피언입니다.

다만, 빅토르와는 달리 처음부터 가지고 출발하는 것이 아닌,

상점에도 별도의 골드를 지불해서 따로 구입해야 합니다.

 

뼈이빨 목걸이는 렝가 전용의 스택 아이템으로써

해당 아이템을 소지한 상태에서 적을 처치하거나 어시스트를 할 경우
전리품이 생기면서 해당 아이템의 효과가 계속하여 강화됩니다.


전리품을 쌓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지만
14개의 전리품을 쌓은 렝가는 궁극기 강화는 물론 야성 수급이 훨씬 원활해져
급격히 강력한 모습을 보일 수 있게 됩니다.

 

다만, 투자금 800 골드를 이득으로 바꿔야 하는 부담은

렝가 플레이어로써 해결해야 되는 숙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렝가의 마니아는 누가 있을까?

 

 

 

※ 2000점 이상 랭커 5명이 확보되지 않은 챔피언은, 전체 랭킹 기준으로 소개됩니다.

 

 

 

◆ 이런 소환사에게 추천합니다!

 

아무도 개척하지 않은 곳을 탐험할 용기를 가지신 분

 

에일리언 VS 프레데터를 좋아하시는 분

 

....7연패의 아픈 여정을 함께 하셨던 분

 

 

 

 

 

검의 그림자, 탈론 [975 RP or 6300 IP]


 

Talon(탈론)◀ 챔피언 정보 보러가기

 

포지션 : 암살형 안티 메이지 딜러 주요 라인 : 솔로 라인 or 정글

 

 

탈론은 순간적으로 적에게 접근하여 방해효과와 함께
순간 화력을 폭발시킬 수 있는 챔피언으로 은신스킬까지 갖추고 있는 암살형 챔피언으로
대부분의 메이지 챔피언들을 카운터할 수 있는 안티 메이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광역 슬로우와 함께 대미지를 주는Rake(갈퀴손) (W)스킬, 갈퀴손으로 라인 파밍과 견제를 동시에 할 수 있고
상대방에게 순간이동해서 침묵과 함께 추가 대미지 디버프를 주는 Cutthroat(목 긋기)(E)스킬, 목 긋기
강력한 추가 물리 대미지와 함께 출혈을 일으키는 Noxian Diplomacy(녹서스식 외교)(Q)스킬, 녹서스식 외교까지 연계하면
쿨타임이 다소 긴 메이지 챔피언들을 손쉽게 사냥할 수 있습니다.


Shadow Assault(그림자 기습) 궁극기, 그림자 기습(R)은 물리 대미지와 함께 탈론을 은신시켜 주기 때문에
공격용으로도 생존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엄청난 순간 폭딜 능력대신 암살자다운 약한 체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타싸움이 시작되면 진입하는 타이밍과 다시 빠져나오는 타이밍이 정말 중요합니다.

 

 

 

◆ 탈론의 마니아는 누가 있을까?

 

 


 

 

◆ 이런 소환사에게 추천합니다!

상대 메이지 챔피언을 카운터치고 싶으신 분

암살형 캐릭터를 좋아하시는 분

어쎄신 크리드를 해보셨던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