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카드 소개




겐 그레이메인

 

개전: 내 덱에 비용이 짝수인 카드만 있으면, 내 기본 영웅 능력의 비용이 (1)이 됩니다.

 

중립 카드

전설 등급, 정규전 카드

하스스톤 확장팩 마녀숲 카드팩에서 획득 가능



 2. 카드의 능력 및 성능



자체 능력치는 6코스트 하수인치고는 좀 낮은 편이지만 게임 시작 덱에 짝수 카드만 있을 경우 개전 능력으로 영웅 능력의 코스트를 1로 줄여주는 능력을 가진 카드다.

 


영웅 능력이 1코스트가 되면 플레이를 하는 중간중간 사용하기도 편하고 자주 눌러 줄 수 있기 때문에 생각보다 큰 이득을 볼 수 있다.



 3. 하스스톤 스트리머의 출시 전 평가


크라니쉬-짝수 덱은 성기사나 주술사같이 1코에 영능으로 쉬지 않는 덱을 할 것이다. 카드가 많이 나올수록 활용할 가치가 높아보인다.

 

레니아워-홀수+홀수는 짝수라 마나를 사용하는데 제약이 없으나 짝수덱은 홀수 코스트에는 무조건 영능을 눌러야 한다. 짝수 덱은 기사, 술사 같은 몇몇 직업만 쓸 수 있다. 하스스톤의 마나는 결국 10마나니까 10마나부터는 2코스트로 영능 쓰는거나 마찬가지다. 홀수덱이 좀 더 범용적으로 쓸 수 있기 때문에 바쿠랑 겐을 비교해보면 바쿠가 스텟을 잃는 것이 좀 더 많다.

 

따효니-짝수덱이 뜰게 몇 개 안 보인다. 짝수 주술사 응원한다



 4. 평가 변화 과정 



 *마녀숲 (출시 전)


홀짝 컨셉은 각 직업의 좋은 카드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평가가 좋지 않았지만 겐은 바쿠보다 평가가 더 낮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짝수 컨셉은 카드 코스트 사용에 제약이 많다.

 

홀수+홀수는 짝수이기 때문에 홀수 덱은 짝수코스트에도 카드를 내서 코스트를 전부 사용할 수 있으나 짝수 덱은 홀수코스트에 무조건 영능을 눌러줘야 한다. 1코스트 카드가 없기 때문에 1턴에는 영능을 눌러야 것도 단점 중 하나다.

 


2. 고작 영웅 능력을 1코스트로 만드는데 이런 패널티를 감수해야하는가?

 


바쿠는 강화 영웅 능력을 처음부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잠재력이 높지만, 그냥 영웅 능력을 1코스트로 사용하기 위해서 이런 패널티를 감수할 가치는 없다.



 

 

일부 유저들은 성기사 직업 카드에 좋은 짝수 카드가 많은 것을 보고 짝수 신병 기사를 만들면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으나 대다수의 유저들은 짝수 신병 기사는 홀수 카드인 레벨업 등의 카드를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차라리 그냥 신병 기사를 하는 것이 낫다는 부정적인 의견이 더 많았으며

 


사냥꾼 영웅 능력을 1턴부터 쭉 눌러줄 수 있기 때문에 짝수냥도 괜찮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으나 짝수냥은 사냥꾼의 강력한 3코스트 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지적되었기 때문에 역시 반응이 좀 미적지근했다.

 

 

여담-


성능과는 별개로 와우에서 한 종족의 수장이라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겐 그레이메인이 원작과 상관없는 홀짝컨셉 카드 중 하나로 나온 것에 대해 실망한 유저들도 있었다.

 


이번 확장팩에서는 카드가 턴 마다 변신하는 늑대인간 컨셉도 나왔으니 겐도 이렇게 내줬으면 됐을 거라고 아쉬워하기도 했다.

 

이런 의견에 반대하는 유저들은 모든 카드가 와우의 설정을 따라갈 필요는 없으며 와우에서 나오는 등장인물을 꾸준히 내주는 것만으로도 좋다고 말하기도 했다.



 *마녀숲 (극초기)


 

마녀숲이 열린 후 사람들이 무시했던 홀수 컨셉을 사용한 덱인 홀수냥, 홀수기사, 홀수도적, 홀수전사 등이 꽤 쓸 만하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그 중에서 홀수 기사는 아주 좋은 평가를 받는 덱이었다.

 

바쿠의 평가는 출시 전보다 크게 올랐으나 겐을 사용하는 짝수 덱은 적은 편이었기 때문에 짝수덱은 실패한 컨셉이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



 *마녀숲 (초기)


마녀숲이 출시된 후 시간이 지나자 유저들 사이에서 짝수기사가 홀수기사보다 좋다는 의견이 늘어나기 시작한다. 짝수기사는 홀수기사처럼 영능으로 필드를 많이 늘리거나 신의 은총으로 드로우를 많이 볼 수는 없지만 그 외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그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긴급 소집, 타림 등의 강력한 성기사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2. 영웅 능력을 코스트가 남을 때마다 꾸준히 눌러주는 것이 생각보다 필드에 도움이 된다.

 


3. 필드가 장악당하면 뒤가 없는 홀수 기사와는 다르게 짝수 기사는 평등+신성화 등의 광역기로 필드를 찾아올 수 있으며 긴급 소집을 이용한 필드 전개도 강하다.

 

4. 홀수 기사에게 강하다.

 

 

점차 짝수 기사의 수가 늘어나기 시작하더니 2주정도 지난 후에는 짝수 기사가 홀수 기사의 수와 비슷해지기 시작했으며 



그 이후로 홀수 기사는 몰락하고 짝수 기사가 등급전을 지배하게 되면서 겐 그레이메인을 제작하는 유저도 많이 늘어났다.

 



 

짝수 기사외에 겐을 사용하는 짝수 덱으로는 야생전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이며 최근 정규전에서도 인기가 늘어나기 시작한 짝수 술사와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산거를 3턴에 낼 수 있는 짝수흑마

 


짝수 소집전사 등이 있다.

 

짝수기사와 짝수술사 외의 짝수 덱은 매우 적은 편이다.

 

겐 카드 자체로는 6코스트 6/59코스트 7/8인 바쿠보다는 내기 쉽고, 그냥 내도 그렇게 손해는 안 본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마녀숲 (중기-너프 전)


 

강력한 짝수 기사 카드인 긴급 소집이 5코스트로 너프된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짝수기사의 수는 줄어들고 짝수기사가 약해진 틈을 타 짝수술사가 늘어날 것이란 예상을 하는 유저들이 있다.



 *마녀숲 (중기-너프 전)


자기는 싸우지도 않으면서 중간중간 튀어나와서 말을 걸고 마지막에는 가장 큰 이득을 봤다.

 


얼라이언스가 버린 길니아스를 하가사님이 살렸건만... ㅠㅠ 



 5. 확장팩별 평가 (주관적)


마녀숲 (출시 전)-부정적

마녀숲 (극초기)-약간 부정적

마녀숲 (초기)-긍정적

사용 덱-짝수 기사, 짝수 술사, 짝수 흑마 등 



 6. 대사 및 등장 이펙트



개전 대사-우린 저주를 극복하고 우리의 힘으로 만들었다

등장 대사-저주를 극복한 우리는 더욱 강해졌다

공격 대사-길니아스에 승리를!

 

 

여기서 저주라는건 늑대인간의 저주를 말한다. 언데드 잡는답시고 아루갈을 시켜서 늑대인간을 풀었는데 늑대인간을 통제할 수 없어지자 늑대인간을 죽이기 위해 사냥을 다니던 도중 늑대인간으로 변하는 저주에 걸린 것이다.

 


테스 그레이메인과의 상호대사-테스, 니가 왜 여기 있는거니?

 


테스 그레이메인과 상호대사가 있다는 말이 있는데 음성 파일에는 존재하는 것 같지만 일단 게임내에서는 나오지 않는다.

 


 7. 여담 및 출처와 링크



여담 1-

 


겐 그레이메인은 인간의 7대 왕국 중 하나인 길니아스의 국왕이다. 길니아스는 2차 대전쟁(워크래프트2)때 얼라이언스에서 싸웠지만 전쟁 후에는 오크 수용소의 운영자금을 내기 싫다는 이유로 얼라이언스에서 탈퇴했으며 자기들끼리 살겠다는 의미로 왕국 주위에 장벽을 설치했다. 3차 대전쟁(워크래프트3)때 아서스에 의해 멸망한 로데론의 난민들이 애타게 장벽을 두드렸으나 길니아스는 문을 열어줄 생각도 하지 않았으며 와우 대격변때 포세이큰에게 길니아스를 점령당하자 뒤늦게 얼라이언스에 붙게 된다.

 


그리고 군단 확장팩에서 겐은 바리안 린의 죽음이 호드 탓이라는 거짓말을 했으며 최근 격아에서 이런 언플을 했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된다. 일부 깨어있는 얼라이언스는 안두인 린을 조종하고 있는 겐을 당장 몰아내야 한다.

 

 

여담 2-

 


자신의 땅을 빼앗고 백성들을 죽였으며 사랑하는 아들까지 죽인 포세이큰, 특히 실바나스에게 강한 분노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겐이 하스스톤에 나온다면 실바나스의 죽메 컨셉을 카운터치거나 실바나스와 상호작용 대사가 나올 것이라고 기대하는 유저들도 있었으나 그런 거 없다.

 

여담 3-

 


겐의 아들은 리암 그레이메인, 딸은 테스 그레이메인이다.

 

 

여담 4-

 

0은 짝수로 취급한다



여담 5-



히오스에서도 등장하는데 여기서는 인간 모습이 매우 늙어보인다. 최근 와우에서의 모습을 보면 그렇게 늙진 않았다.



 



다른 게시물을 보시려면 이 링크를 눌러주세요









덱 출처-

http://dda.ac/deck/deckView?id=4579
http://dda.ac/deck/deckView?id=4681
http://dda.ac/deck/deckView?id=4554
http://dda.ac/deck/deckView?id=4336

통계 출처-

https://www.vicioussyndicate.com/vs-data-reaper-report-91/
https://www.vicioussyndicate.com/vs-data-reaper-report-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