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마영전을 거의 드문드문 하다가 이번에 다시 좀 하게 되면서

키설정 팁(키설정이 제대로 안되는 문제)을 보니

 

제가 1월부터 테라 최적화 관련 팁을 올리기 전

스트레스 받고 답답했던 것들이 생각이 나서 한번 올려봅니다.

(제대로 키설정이 되지 않는 것 때문에 멋대로 입력되는 키들을 키패드로 봉인해서 해결하기까지

새벽에 4~5시간을 날렸네요 ㅠ_ㅠ)

 

 

 

* UI 반응속도 개선 후 (2014.09.03 01:41 촬영)

https://www.youtube.com/watch?v=Rvdbb6qdyR0

 

- 테라에서 테스트 영상을 찍을때 프레임이 반으로 줄거나 하지 않았는데,

  마영전은 이와 다르게 녹화시엔 프레임이 반으로 줄더군요 ;ㅅ;

  영상에서 보실 것은 고사양이라도 UI 반응속도가 지연되고 생각보다 늦는데

  (PC방 N당 그래픽 카드에서도 늦더군요.)

  제가 이 글에 설명해 놓은 UI 반응개선 팁을 적용한 후 변화된 UI 반응속도입니다.

 

 

* 제 사양과 설정사항들을 괜히 기술해놓은 것이 아닙니다.

  윈도우 최적화 팁, UI 반응속도 개선 팁, 인터넷 대역폭 제한해제 팁, 인터넷 네트워크 최적화 팁은

  사양과 무관하게 다 효과를 볼 수 있는 부분이고, 코어파킹 해제는 멀티코어인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비대칭 랜선 쓰시는 분들은 상대적으로 효과가 적을 수도)

 

  그래픽 카드나 바이오스를 수정해서 오버클럭하거나 절전 or 파워리밋처럼 제한이 원래 걸려나오는 제품들의

  그런 제한을 해제해서 본래의 성능이 나오도록 하는 것

  바이오스 수정에 대한 사전지식확보가 중요합니다.

  (물론, 메인보드 바이오스 수정도 사전지식이 필요합니다.)

  명확하게 알지 못한 상태에서 하면 대참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 UI 반응속도 개선은 1번 팁만 하시면 됩니다.

* 1번 외 2번의 대부분은 윈도우와 네트워크 최적화 팁입니다.

 

 

 

* 올린이 사양

- OS: 윈도우7 64bit Ultimate K

- CPU: i5-760 오버클럭 3.6GHz

- Ram: 오버클럭 2000MHz, 8GB

- 가상 메모리 할당 안함(8GB 이상인 분은 반드시 끄세요)

- GPU: ATI HD 7870 2GB, 코어클럭 1100MHz, 메모리 클럭 1200MHz / 해상도 1920*1080 기준. 

-그래픽 드라이버 버전: 카탈 버전 13.12 (2013. 12. 06일자)

- superfetch, 터보부스트 기능, 스피드스텝과 내장 그래픽카드 끔(메인보드 설정)

- Windows Search 서비스도 끔.

- 오버클럭은 고정클럭 방식임.

- 오버클럭 하셨다면, 고정클럭이 아닌,

  시퓨 수요에 따라 클럭을 조절하는 방법은 코어파킹 해제와 충돌하여 오히려 렉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코어부스트, 스피드스텝-전원관리설정, 터보코어, 맥스코어 이런 기능 끄는 것과 같은 이유)

- ATI 글픽은 마영전 할때마다 라데온프로 라는 프로그램을 같이 쓰지 않으면

  프레임이 반토막 날 수도 있습니다.

  제 인장에서 테라 팁게시글 들어가시면 옵션설명이 있으니 참고.

 

 

- 여기에 있는 팁중, 위험성이 있는것은 그래픽 카드의 바이오스 수정을 통해서, 이미 걸려있는 제한을 풀어서

  제성능을 내도록 하는 것코어파킹 해제인데요,

  코어파킹 해제는 원래 당연히 일해야할 코어가 쉬고 있어서 원래 스펙보다 발열도 적고, 소모전력도 적은데,

  모든 코어를 활성화시키다 보니 발열문제가 있습니다.

  즉, 오버클럭 하신 분들은 CPU 온도와 전압을 확인하시는 것이 좋구요,

  그래픽 카드 바이오스 수정은 잘 알고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가 아래 본내용에서 써놓은 조건에 부합되시는 분만 그대로 하시면 되고,

  어느정도 그래픽 카드 바이오스를 수정하실 줄 아는 분들은 응용하시면 됩니다.

  (자신의 카드에 맞는 바이오스 프로그램과 수정해야할 값과 그렇지 않은 것들을 명확히 숙지 필요)

  자기 카드에 맞지 않는 바이오스를 함부로 적용한다든지, 백업 없이 수정했다가 잘못된 값으로 인해

  모니터로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는다든지,

  정말 아주, 매우 많이 심각할 경우 글픽 카드까지도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조금 있습니다.

 

 

- 마영전도 CPU 영향을 많이 받아서 다른건 좋아도 시퓨 클럭 자체가 낮으면(가령 2.6~8Ghz)

  제가 첨부한 컨피그_머테리얼.txt을 그대로 사용하시면 아마 대부분 오히려 느려질 겁니다.

  이때는 제가 '2-5. 마영전 설정파일'에 걸어놓은 링크그 아래 저사양용 옵션 참고하셔서

  컴터에 맞게 설정하세요.

 

 

 

* 기타 참고글

- Config_Material 새로운 명령어 추가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28&l=31300

 

- 키설정 팁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28&l=30821

 

- 네트워크 명령어 값 참고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28&l=32962

 

 

 

 

* 서론

 

테라 때문에 구글링 할때 보니 마영전도 테라와

똑같은 구형 Autodesk® Scaleform® GFx를 썼다는 것을 봤습니다.

이 구형 프로그램은 UI 편집과 제작(크기와 자유도 등등)이 매우 용이한 반면,

GPU를 놀게해서 CPU에 부담을 가중시키는 버그가 있어서

UI를 켜면 프레임이 심히 하락되는 버그가 있습니다.

물론, 신형은 이러한 버그가 없다고 들었습니다.

 

데브캣이 UI를 개선한다는 기사도 테라 자료 검색할때 봤었는데,

아예 UI를 새로 다시 제작해서 한건지, 여전히 구형 프로그램 틀 안에서 개선을 한 것인지는 모르겠네요.

후자라면 유효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 확인결과 팁 내용이 적용되는걸 보니 기존 틀 안에서 개선한 것 같네요.

 

옛날에 마영전 할때는 왜이렇게 UI렉이 심한건지 몰랐지만..

전 이미 테라를 올해 1월부터 최적화하면서 적용해서,

마영전은 거의 드문드문 하다가 최근에 다시 하게 되어 정확한 효과는 모르겠지만

테라에 적용했을땐 장비 스위칭과, UI 열닫, 인벤창에서 템 보기(마우스 커서 올려서 해당 설명이 뜨기까지의 속도),

인벤창에서 템 옮기는 반응속도 등등이 거의 지연되는 것이 없을 정도로 되는 효과를 많이 봤었습니다.

(전 마영전도 반응속도가 지연되는 것 없이 됩니다.)

 

 

- 2번의 중복되거나 이미 많은 분들이 아실 수 있는 팁은 모르는 분들을 위해, 편의성을 위해서 올렸습니다.

- 링크를 새탭으로 열고 싶으신 분은 마우스 휠 키 클릭이나 Shift+클릭 해주세요.

 

 

 

1. 기존에 없는 팁 - UI 반응속도 개선

 

마영전 UI는 Autodesk® Scalefor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만들었는데,

이 프로그램이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와 쇼크웨이브의 기능을 통해

UI를 렌더링하게 한다는군요.

(이 회사 프로그램으로 만든 UI가 들어간 테라, 마영전 같은 게임이 덕분에 똑같이 UI렉이 심한......)

 

따라서, 이 둘을 최신버전으로 업뎃하세요.

http://get.adobe.com/kr/flashplayer/
http://get.adobe.com/shockwave/

 

설치할때, 무작정 진행하시지 마시고, 설치파일 다운받기 전부터 불필요한 프로그램 설치가 체크박스에 체크되어있으니

조심하시길..으히히히히히.............

 

그 후, 아래 링크로 가세요.

http://www.macromedia.com/support/documentation/en/flashplayer/help/settings_manager03.html

http://www.macromedia.com/support/documentation/en/flashplayer/help/settings_manager04.html

 

아래와 같이 설정해주세요.

 

 

 

- 경로는 마영전폴더/ko-KR/heroes.exe로.

  설정하는 대로 바로 저장되니 찝찝하신 분은 해당 주소로 재접속하셔서 확인해보셔도 무방합니다.

  - 마영전도 경로지정까지 다 해주니 UI 반응속도가 빨라졌습니다.

- 경로로 가셔서 보면, swf만 보이게 되어있습니다. 이걸 exe나 모든 파일로 바꾸시면 heroes.exe가 보입니다.

- 아이템 위에 마우스 커서 올리고 설명뜨기까지의 반응속도, 대화 넘길때와 아이템을 버릴때의 반응속도,

  인벤에서 아이템 옮길때의 속도, UI 열닫 등등 UI 관련 지연이 테라와 마찬가지로 사라짐.

- 익스플로러 7이나 8쓰시는 분들은 익스 버그로 인해 저 설정 이미지가 안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때는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시거나, 익스플로러를 상위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주세요.

- 익스플로러를 언급해서 굳이 적어놓지 않았는데, 생각보다 다른 브라우져 전용 플래시 플레이어에

  적용하시고 마는 분들이 많은것 같네요;; 익스플로러 전용 플래시 플레이어를 업뎃해주시고

  익스플로러로 해당 링크가셔서 적용하셔야 합니다.

- UI 반응속도는 개선되지만, 여전히 UI 버그로 인한 프레임 하락은

  해결이 되진 않습니다.

 

  + 피방에서 할 때, PC방 클라이언트에서 제한을 걸어서 C:₩ 내용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엔, 주소줄에 직접 D:₩, E:₩ 식으로 쳐서 들어가세요. 거기서 마영전 경로를 알아낸 후,

    위의 '전역 보안설정 경로'를 추가할때 입력란에 마영전 Heroes.exe의 경로를 복붙해서 추가하면 됩니다.

     피방에서 마영전 할 때, 이런 경우가 생겨서 올려야겠다 싶어서 추가했네용.

 

 

 

 

 

 

 

2. 기존 팁과 중복되거나 많은 분들이 이미 아실 수 있는 팁

 

2-1. Core-Parking 해제를 통한 멀티코어 모두 가동(윈도우 7이상이신 분들 해당)

 

코어파킹은 쓰지 않거나, CPU의 모든 코어를 쓸 필요가 없는 경우, 불필요한 코어들을 쓰지 않게 하는 기능입니다.

마소가 기본적으로 이것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게 해놨는데, 전원관리 설정창에 안보이게 해놨음.

 

기본적으로 이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있는데, 이것을 설정가능하게 만들고나서 확실하게 UnParking을 하면

멀티코어지만, 코어 1~2개밖에 잘 안돌아가던 겜에서도 농땡이피우는 코어없이, 모든 코어가 열심히 일을 하게 됩니다.

(이미 코어파킹이 해제되어있는 분들은 구하신 윈도우 이미지에 이미 적용되어있는 것입니다.)

코어파킹을 해제하면, 전원관리 기능과, 절전식 기능(ex: 터보부스트, 절전식 CPU오버 등)과 충돌해서 제대로

적용이 안될 수 있으니, 

인텔 CPU의 터보부스트 기능과 내장그래픽 있거나 쓰시는 분들은 꺼주시면 됩니다.

(AMD CPU 쓰시는 분들은 맥스코어, 터보코어 기능을 끄시면 됩니다.)

 

- 우선 전원관리 기능과 절전식 기능(오버를 제외한)만 해보시고, CPU 코어는 해제됐지만,

  로드율이나 마영전을 실행했는데도, CPU 클럭이 현저히 낮은 경우, 오버클럭하신 분들은 고정클럭식 오버,

  혹은 고정클럭(앞서 언급한 터보부스트 같은 기능)로 해보세요.

 

 

* 자동(기존에 올라와 있는 레지파일처럼 똑같이 코어파킹 해제 적용이 되는 프로그램)

http://blog.naver.com/alias_maya?Redirect=Log&logNo=20200031692

혹은, 여기에 첨부한 Configrisk_0412282056Unpark-CPU-App.zip을 받으셔서 Unpark-CPU를 쓰시면 됩니다.

 

Unpark-CPU-App.zip을 받아서 Unpark-CPU.exe를 실행하고, 상태 체크한 후,

Unpark All을 누르시면 끝.

 

  - 잠베지6100(6코어)쓰시는 분의 경우,

    프로그램에서 코어가 3개만 떠서 의아해했는데,

 

    작업관리자>성능탭>리소스 모니터로 보니 코어 3개만 파킹이 안되어있더군요.

    저 플그램은 레지값 확인하고 일치여부를 보고 파킹상태를 알려주는 것 같은데,

    일단 6코어에 대해서도 프로그램이 제대로 인식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 웬만하면 프로그램으로 '자동'으로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코어부스트, 스피드스텝-전원관리설정, 터보코어, 맥스코어 등이 확실히 해제되어 있어야 잘 적용이 됩니다.

   

 

 

* 수동

시작 누르시고, 실행에 regedit를 입력하시고, 아래 경로로 찾아가세요.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Power/PowerSettings/

54533251-82be-4824-96c1-47b60b740d00

 

그리고 거기서 또 아래의 하위 폴더를 찾으세요.

 

0cc5b647-c1df-4637-891a-dec35c318583
3b04d4fd-1cc7-4f23-ab1c-d1337819c4bb
447235c7-6a8d-4cc0-8e24-9eaf70b96e2b
5d76a2ca-e8c0-402f-a133-2158492d58ad
a55612aa-f624-42c6-a443-7397d064c04f
ea062031-0e34-4ff1-9b6d-eb1059334028

 

여기서 해당폴더를 누르시면 우측에 Attributes라는 이름을 가진 레지값이 보이는데, 더블클릭해서 0을 입력.

그러면 제어판/전원옵션-고급 전원관리 옵션의 프로세서 전원관리에

Core-Parking과 관련된 세부 설정들이 보이게 됩니다.

(아래 값들은 위의 자동으로 하는 방법에서 프로그램으로 코어파킹을 해제한 후,

전원관리 옵션에 적용된 값을 그대로 옮겨온 것입니다.)

 

- 프로세서 성능 코어 파킹 최소 코어 설정값을 0%

- 스로틀 상태 허용을 해제

- 프로세서 성능 코어 파킹 성능 상태는 기본설정없음

- 프로세서 유휴 상태 사용 안 함

- 프로세서 성능 코어 파킹 코어 재정의 사용

- 프로세서 성능 코어 파킹 최대 코어 100%

 

* 참고: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no=13478

 

 

 

2-2. 인터넷 대역폭 및 속도 향상시키기

 

- 이것은 설정을 안하신 분들을 위해 추가로 넣었습니다.

http://dellservice.co.kr/196938529

 

- 네트워크 속도 최대한 성능 내기

장치관리자>네트워크 어댑터

 

기가빗 자동 비활성화(절전)-> 사용안함

IPv4, IPv6 체크섬 오프로드-> 사용안함

TCP, UDP 체크섬 오프로드(IPv4, IPv6)-> 사용안함

  -> 오프로드들은 사용하고 있는 랜카드가 좋을 경우 오히려 이걸 사용하는게 성능면에서 좋습니다.

     저가형 랜가드는 처리하는 성능이 좋지 않아서 오히려 렉을 유발시킵니다.

     내장 랜카드는 대략 10만원대 메인보드를 쓰는 컴터라면 오프로드를 켜주는게 좋습니다.

     물론, 최종적으로 테스트를 해보고 맞는 값을 쓰시면 됩니다.


WOL 및 종료 링크 속도->속도 저하 안함(컴터 사양이 좋을시)

매직 패킷 웨이크 온->사용안함

속도 및 이중->고정 속도옵션에서 가장 큰 수치

  - 1기가랜 회선이 안깔려있거나, 공유기에서 1기가 랜이 지원 안되는 등,

    이 둘중 하나라도 1기가랜이 지원 안되면 1.0Gbps 속도(이론속도)를

    발휘할 순 없으며, 회선에 맞는 속도로 선택해주세요.

인터럽트 완화->테스트 해보고 적용

절전형 이더넷, 점보프레임, 흐름 제어-> 사용안함

  - 점보프레임은 데이터 송수신시, 데이터량을 더 올려서 다운받을땐 더 빨라지나, 핑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사용안함으로..

- 웬만하면 어댑터 속성에서 제가 언급한 확실해보이는 것들만 설정하세요.

 

* ch9ok님인터넷 끊김 및 랙 현상 해결팁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152&l=15370

  - 네트워크 어댑터에 나오는 옵션들을 일일히 찾기 귀찮아서 위에 적은 내용만 적용하고 있었는데,

    ch9ok님이 올려주신 팁을 보니 거의 대부분의 옵션에 대해서 적어놓으셨더군요.

  - 따라서, 보다 자세하고 많은 옵션에 대해 설정하고 싶으신 분은 링크타고 가세용~

 

 

 

 

 

- 윗내용보다 더 자세한 옵션 참고 (2016.01.11 추가)

    (출처: http://jenas.tistory.com/69)

 

 

[+] 랜카드 설정


<> 제어판 > 시스템 > 하드웨어 > 장치관리자 >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 :
   "Network Controller"의 속성 > 고급 탭에서 설정합니다.


- 체크섬 오프로드(Checksum Offload) : 활성화

IPv4, IPv6, TCP, UDP 관련 체크섬 오프로드를 활성화합니다.
오프로드 기능은 체크섬을 CPU에서 계산하지 않고
네트웍 카드에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CPU의 부담을 줄이고
네트웍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입니다.
오프로드 엔진의 성능에 따라 패킷 처리율이 달라집니다.
구형 랜카드의 경우 오프로드 엔진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세그멘테이션 오프로드(Segmentation Offload) : 활성화

전송할 데이터를 MTU 사이즈로 분할하는 작업을
하드웨어에서 담당하게 하여 CPU의 부담을 줄입니다.

 

 

- 전송 버퍼(Tx Descriptor) : 64~2048
- 수신 버퍼(Rx Descriptor) : 64~2048

메모리에서 추적할 수 있는 패킷의 수를 조정합니다.
커널 메모리 사용량도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32bit OS에서는 기본값 위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TCPIP Tuning을 하지 않았을 경우나 장거리 고속 전송이
아닐 경우, 실제로 큰 값이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 수신측 배율(Receive Side Scaling) : 활성화
- 수신측 배율 대기열(Receive Side Scaling Queue) : 최대값

듀얼 코어 이상의 CPU에서 패킷을 여러 코어가 나누어서 처리할 수 있도록 조절합니다.
고급 랜카드에는 CPU Core 뿐만 아니라, 멀티 CPU에도 패킷을 분산 처리시킬 수 있습니다.
고급 랜카드에서 수신측 배율 대기열의 갯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저가형 랜카드에는 대부분 이 기능이 없습니다.

 

 

- 인터럽트 완화(Interrupt Moderation) : 활성
- 인터럽트 조절 속도(Interrupt Throttle Rate) : 적응

CPU 외부의 주변기기에서 CPU에 자료 처리를 요구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 인터럽트입니다.
내부 자료를 처리하는 것보다 우선 순위가 높기 때문에 CPU에서는 먼저 응답하게 됩니다.

CPU는 고속으로 동작하지만 주변기기의 속도는 상대적으로 초저속이기 때문에, 실제로
자료를 처리하는 시간보다 자료를 인계받으면서 소비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됩니다.

CPU에서 처리할 수 있는 인터럽트 양보다 많은 인터럽트가 발생하게 되면, CPU는 처리하던
작업을 멈추고 내부 레지스터를 재정비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되고, 인터럽트 자료를
인계받는 시간 또한 인터럽트 양에 비례하여 커지게 됩니다. 결국, CPU의 연산능력을 다른
곳에 쓸 수 있는 여유가 없어지게 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실행시간이 모자라
버벅임을 경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터럽트 처리 방식과 성능은 시스템의 효율에 지대한 영향은 미치게 됩니다.

인터럽트가 빠르게 걸리도록 하면 그만큼 반응속도는 높아지지만, 그 횟수가 많아지면
시스템에서 오버헤드가 커지게 되므로, 인터럽트가 뜸한 상황에서는 빠르게 걸리도록
설정하고, 인터럽트가 많이 몰리게 되면 일정량 이상 걸리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인터럽트 완화는 인터럽트 횟수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더 이상 인터럽트가 많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기능입니다. 인터럽트 적응 속도는, 평상시에는 인터럽트가 빨리 걸리게 하고,
인터럽트가 몰리는 상황에서는 인터럽트 횟수를 줄이도록 자동조정하는 기능입니다.

인터럽트 성능은 시스템의 패킷 처리율을 높이는 굉장히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구형 랜카드에는 이 기능이 없을 수 있습니다.
저가형 랜카드에서는 인터럽트 조절 성능이 우수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기가빗 이더넷에서 인터럽트 완화가 지원되지 않으면 패킷 처리율이 많이 떨어지게 됩니다.

 

 

- 흐름 제어(Flow Control) : 비활성화

패킷 충돌이 발생했을 때, 전송을 일시 중지하도록 요청합니다.

 

 

- 최적화(Optimize for) : 처리 성능(Throughput)

CPU의 부하를 줄일 것인지, 전송 처리율을 높일 것인지 결정합니다.
CPU 점유율을 낮게 하는 것보다, 처리 성능을 높이는 것을 선택합니다.

 

 

[+] 고급 랜카드의 기능


고급 외장형 랜카드는 Offload 엔진이 우수하고, H/W 암호화나 가상화, 멀티코어 지원,
iSCSI Boost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합니다. 저가형 랜카드에는 없는 기능입니다.
칩셋 내부에 처리할 수 있는 Queue나 버퍼 사이즈도 크기 때문에 성능이 우수합니다.
무엇보다도, CPU의 부하를 낮추고 분산시키는 기능이 있어서 기가빗에서 그 빛을 발합니다.

 

- Receive Side Scaling

랜카드에서 들어오는 패킷을 Multi-Core, Multi-CPU에 분배하여 부하를 분산시킵니다.

- Message Signaled Interrupt-eXtened

인터럽트를 모아서 여러 CPU Core에 보냄으로써 충돌을 방지하고 시스템 부하를 낮춥니다.

- Virtualization

가상화 환경에서도 네트웍 패킷 처리시 CPU의 부하를 줄이도록 합니다.

 

 

 

 

 

- 시작 -> 실행 -> gpedit.msc를 여셔서 [여기서부터는 인터넷 대역폭 제한을 해제하고 변경하는 팁입니다]

 

 

저걸 더블클릭하시고, 사용으로 하신 후에, 대역폭 제한을 0으로 적용하세요.

 

 

 

- 시작 -> 실행 -> cmd(관리자권한으로 실행)

regsvr32 actxprxy.dll 이걸 입력하시고 엔터치세요.

 

아직 닫지 마시고,(이제 할 것은 업로드 제한 푸는 것입니다.)

netsh interface tcp set global autotuninglevel=highlyrestricted 를 입력하시고 엔터치세요.

 

* 오히려 수정 후 속도 저하가 나타나시는 분들은,

  C:>netsh interface tcp set global autotuninglevel=

   뒤에 highlyrestricted, restricted, experimental, normal, disabled 값 중 하나를 선택 후

   변경해가면서 최적의 값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건 컴터마다 다를 수 있으니 더 맞는걸로 하세요. 더 빠른 걸로 하시면 됩니다.)

 

그 후 부팅하신 후에 cmd에서

netsh int tcp show global 이걸 치시고 적용여부를 확인하세요.

이건 자동수신레벨을 최대한 지양하는 걸로 설정하는 겁니다.

어렵거나 복구나 궁금하신 분은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gothink.tistory.com/452

 

 

- 이건 기본적으로 윈도우에서 제한하고 있는 인터넷 대역폭을 해제하는 것입니다.(윈7 기준)

- 시작 -> 실행 -> regedit를 여시고,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Multimedia/SystemProfile]

로 들어가셔서

NetworkThrottlingIndex값을 더블클릭, 단위를 10진수로 하시고 값 데이터를 70으로 두시면 됩니다.

 

 

 

2-3. 기타 윈도우 팁

 

* 윈도우가 깔려있는 드라이브와, 마영전이 깔려있는 드라이브의 속성으로 가서 모두 해주세요.

  거기서 '이 드라이브의 파일 속성 및 내용 색인 허용'을 체크해제.

 

 

* 램이 8GB이상이신 분들은

컴퓨터>속성>고급 시스템 설정>성능의 설정>고급탭>가상 메모리 변경>페이징 파일 없음으로 하시고 설정 클릭.

확인을 누르시고 재붓하시면 됩니다.

 

  - 웬만한 프로그램들 거의 대부분은 램 8기가라면 충분합니다. 가상메모리 기능은

    물리적인 램이 부족해서 하드 일부분을 가상메모리로 할당시켜서 메모리처럼 쓰는 기능입니다.

    그런데, 하드는 메모리보다 속도가 훨씬 느립니다. 원래 속도가 빠른 메모리에 용량이 부족해서

    메모리보다 훨씬 느린 하드를 임시방편식으로 이어붙인 것입니다. 속도는 당연히 저하돼죠.

 

    램8기가인데, 배필4처럼 메모리(시스템 램 뿐만 아니라 그래픽 카드 램도)

    사용량이 무지막지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기존 램8기가로는 부족해

    에러화면을 출력하는 것입니다. 즉, 필요한 메모리 공간이 부족해 추가램을 장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임시방편책으로 가상메모리로 부족한 만큼의 공간을 확보해야 에러가 안뜹니다.

 

    다시말해, 제성능을 내고 싶으신 분들은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램을 추가장착하시는게 답입니다.

    그리고, 윈도우 최적화를 통해 불필요한 프로그램이 램에 상주해서 자리를 차지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생각보다 메모리 공간관리에 주는 영향이 큽니다.

 

 

* 윈도우 서비스 최적화

http://sungtg.tistory.com/723 참고.

 

  + superfetch를 사용안함으로.

    (이론에 비해 실제로 얻는 효과도 적고, 오히려 이 기능으로 인해

    효율적이지 못한 방법으로 계속 파일을 읽어들여서 컴터 속도가 저하됨)

  + Windows Search도 사용안함 or 수동으로.

    불필요하게 쓰지 않을때도 파일을 계속 읽어들입니다.

 

  - 서비스 항목쪽은 긴가민가 하시다면 웬만하면 수동으로 두시는게 좋습니다.

     아예 사용안함으로 하면 필요한 걸 사용안함으로 할수도 있기 때문이죠.

     간혹 수동만으로는 안되고 자동으로 해주어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무선 네트워크 쓰시는 분들은 WLAN AutoConfig, Wired AutoConfig는 최소 수동으로 하셔야 합니다.

    자주 쓰시는 분들은 자동으로 하시는게 편하구요. 이걸 만약 사용안함으로 하시면 무선 인터넷 안됩니다;;

 

 

 

* DNS 캐시 삭제로 인터넷 속도 개선(마영전과는 무관한 팁)

 

  컴터를 오래 사용하다보면 인터넷이 느려지는 경우가 있죠?

  딱히 아무이유도 없이 느려지거나 먹통이 됐다면 인터넷 임시파일들이 쌓여서 느려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말 너무 느려졌다 싶은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 DNS 캐시 삭제(cmd에서 입력)

      ipconfig/flushdns

    - 저장되어있던 DNS 캐시를 보고 싶으시면 마찬가지로, cmd에서

      ipconfig/displaydns

 

    - 단, DNS 서버를 임의로 기본설정과 다르게 조정하신 분들이나

      다른 환경에서 인터넷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효과가 없을 수 있습니다.

 

     - 'Windows ip 구성 dns 확인자 캐시를 플러시했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정상적으로 캐시 삭제된 것.

 

 

 

 

2-4. 그래픽 카드의 봉인~해제!!

 

 

 

그래픽 카드의 파워세이브 기능이나 파워리밋 설정을 변경해서 성능제한 봉인해제.

(이건 정확하게 알고 하셔야 합니다. 꼭 해당되는 그래픽 카드의 바이오스만 수정하시길. 백업은 필수입니다.)

 

- 우선,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프로그램에서 절전기능을 사용하고 있는지, 제어판>전원관리에서

   PCI 익스프레스에 절전기능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해주세요. 노트북 쓰시는 분들은 절전기능 쓰시는걸 추천.

   (노트북은 휴대용이니까요..배터리가 중요하죠!)

 

 

- 그리고, 그래픽 카드 바이오스를 수정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예시는 라데온을 예시로 들었는데,

   자신의 그래픽 카드가 제가 예시로 올린 카드들처럼 절전이나, 파워리밋 등으로 기본적으로 성능이 제한되는

   카드들인 경우에만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이외에 성능을 올린다고 하면 오버클럭이죠.

   모두 바이오스 수정을 통해 가능합니다. 오버클럭은 CPU나 램 오버클럭과 비슷하니 해보신 분들은 아실겁니다.

   너무 큰 단위로 조정하면 안된다는 것을..너무 작거나 큰 값으로 조정해도 안된다는 것을..

   또, 오버클럭은 프로그램으로도 가능하며, 바이오스보다 안전합니다. 그만큼 바이오스는 정확한 값을

   입력해야 되기 때문이죠.

  

  절전이나 파워리밋 등으로 제한 걸려있는 카드인 경우에만 관련 내용을 검색하셔서 명확하게 숙지하신 후

  하시는 걸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저는 이렇게도 할 수 있다는 방향성을 제시한 겁니다.

  컴터부품마다 다 설정과 변경할 수 있는 설정이 다르듯이, 완전히 상통하는 옵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옵션도

  있기 때문입니다.

 

- 예:

데스크탑용(LE제외) 라데온 HD 77xx / 78xx / 79xx 바이오스에서 Power Limit 수정

(팁에 올린 프로그램 버전에서 지원되는 그래픽 카드)

 

보니까 다른 겜 하실 때도 일정수준(4~50퍼 정도)의 로드율만 나온다면,

그래픽 카드 자체 바이오스의 파워제한을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마영전도 테라처럼 구형 AutoDesk ScaleForm Gfx에서

제작한 UI의 프레임 하락 버그로

(CPU에게 부담을 가중시키고 GPU는 놀게 되는 문제)

큰 성능 향상은 가져오지 않으니 필수로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http://www.techpowerup.com/forums/attachments/radeon-hd-7000-bios-editor-v0-42-zip.51177/

 

기존의 라데온 바이오스 에디터(RBE)는 아직 이들 그래픽 카드의 정보가 업뎃이 안되어

수정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이건 2014년 3월에 테라 인벤에 올린 팁으로, 현재는 호환되는 그래픽 카드가 추가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 라데온 HD 4~5천대 그래픽 카드도 기존 RBE 프로그램이 지원합니다.

  파워리밋과 같은 설정을 건드는 것도 있구요.

  제가 현재 HD 7870를 쓰는데 이거 바로 전에 쓰던게 HD 5770 였구요,

  저는 예전에 RBE 프로그램으로 바이오스를 수정해서 오버클럭을 했다가

  중고판매를 위해 다시 초기화시켰습니다.

  여기에 링크 올려드린 건 딱 저 카드들 전용이니 그 외의 카드는 RBE 1.26~1.28이나 이후 버전에서

  지원이 될거에요. 똑같이 파워테크 프로그램이니까 해당되는 버전 찾아서 쓰시면 됩니다.

 

GPU-z도 여기 테크파워업에서 받으실 수 있는데, 거기서 아래 사진과 같이

 

빨간 박스한 곳을 누르시면 현재 적용되어 있는

그래픽 카드의 바이오스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저장하신 바이오스를 링크해놓은 에디터를 실행하셔서,

메뉴 바로 아래에 있는 그래픽 카드 시리즈 중 본인 카드로 고르시고,

파워리밋만 수정하시면 됩니다.

 

50%까지밖에 없는 이유는

이거 만든 사람이 파워 제한 100퍼일때랑 차이가 없어서 그렇게 했다는군요.

 

이제 ATI윈플래시로 플래싱을 해주면 됩니다.

제가 첨부한 것중 용량 큰것이 그것인데요,

수정한 바이오스 이미지 파일을 불러와서 가운데의 '프로그램' 버튼을

누르시면 되는데.....

 

만약!! VBios 이미지를 찾을 수 없다고 나오는 경우엔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셔서,

ATI WinFlash를 압축 푼 폴더로 가셔서

(적용할 바이오스 파일도 같은 위치에 두세요)

 

atiwinflash -f -p 0 저장하신 바이오스 이미지 파일명.rom

 

입력하시고 엔터치시면 됩니다.

 

- 그래픽 카드가 원래 파워리밋이 걸려있지 않은경우에는,

  자신의 그래픽 카드를 지원하는 바이오스 에디터로 오버클럭을 해주시면 됩니다.

  바로 적용하면 위험하므로, 먼저 MSI 애프터버너와 같은 프로그램+OCCT 테스트로

  안정적인 오버수치를 알아내신 후, 그래픽 카드 바이오스에 적용하시면 됩니다.

 

  아무래도 그래픽 카드 바이오스 수정이기 때문에, 확실하게 그쪽에 대해서 모르시는 분은

  바이오스 수정은 하지 마시고, MSI 애프터버너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오버클럭 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 그리고 저기 GPU-z에서 PCI 속도가 x16@x16인지 확인하시고 만약, x16@x8이라고 되어있으면

대역폭이 반쪽난 채로 돌아가고 있는것이니 메인보드 설정(바이오스)에서

터보 USB 3.0이런거 꺼주세요. 그래야 x16으로 돌아갑니다.

 -> 그래픽 카드에 쓰이는 대역폭의 일부를 USB 3.0에 쓰는 메인보드가

    있습니다. 주로 구형 보드인데, 꼭! 꼭! 확인하세요.

 

 -> 아무것도 안킨 상태에서 배수가 낮은경우,

     아이들 상태인 경우가 많습니다. 무거운걸 돌려보시거나,

     그래픽 카드를 테스트하는 걸로 테스트해도 여전히 낮은배수라면,

     제가 바로 위에 언급한 것과 비슷한 상황이니 한번

     메인보드 바이오스를 확인해보세요.

 

 

 

2-5. 그래픽 카드 전원옵션

 

- 쓰시는 그래픽 카드 프로그램에서 전원관리 기능이 있는 분들이 계실겁니다.

  데스크톱 쓰신다면 그걸 해제하세요.

 

- 윈도우에서 관리하는 것도 있습니다.

  제어판>전원옵션>설정변경>고급 전원 관리 옵션 설정 변경>PCI Express>절전>해제 로 수정후

  확인 누르시면 됩니다.

 

 

2-6. 마영전 설정파일 팁

 

- 최신 명령어 적용Config_Material 새 명령어 추가 를 참고하세요!!

 

- 참, 컨피그_머테리얼.txt를 변경하는건 워드패드에서 하시거나,

   메모장으로 하신다면 그 기괴한 문자들 패턴 있죠? → 검은 직사각형 안 동그라미 있는 그런 문자

   띄워져 있는 공간은 탭키로 한 것들입니다.

   이 패턴대로 맞게 하셔야지 그냥 메모장에서 편집하시면 제대로 적용이 안됩니다.

   예: 메모장에서 보면, 

   "명령어"(여기 공간은 스페이스 바가 아닌 탭키 2번)"값"이상한 문자(여기 공간은 탭키 1번)

 

- 그리고, 메모장에서 열어서 원래 있던 컨피그 파일에,

  제가 올린 파일에서 일부를 복사해 넣는 식으로 하고 수정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안하고 그냥 다운받은 파일을 수정하면 제대로 적용이 안됩니다.

 

 

   실제로, 제가 해보니까 이렇게 메모장에서 수동으로 힘겹게 하든지,

   워드패드에서 해야 제대로 적용이 되더군요.

   (메모장에서 파일을 불러왔을때 이상한 문자가 같이 나오는 상태에서

    일일히 수정하시는 것을 가장 추천합니다. 워드패드에서 불러온 것처럼 이상한 문자 없이

    깔끔하게 나오는경우 그냥 복사, 붙여넣기하면 잘 적용이 안될수도 있어요.)

 

   귀찮으신 분들은 제가 올린거(수동 전체화면 모드)

   마영전/ko-KR/bin에 받아서 교체하시고 읽기전용으로 하세요.

   (단, DeviceID, VendorID 값, 해상도, tickrate, cl_cmdrate, cl_updaterate,

    cl_rate, sv_cmdrate, threads-하이퍼쓰레딩 기능 지원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등은

    본인에 맞는 값으로 하셔야 합니다. 이외 그래픽 옵션도. ID는 원본파일에 나와있어요.)

 

    제 파일에는 안티 8배(mat_antialias), 이등방성 16배(mat_forceaniso)가 적용돼 있습니다.

 

   최소 거의 제 사양과 비슷하신 분들만 첨부한 컨피그_머테리얼.txt를 그대로 적용하세요.

   첨부해놓은건 거의 값이 고퀄로 설정되어있습니다.

   때문에, 첨부한 파일 그대로 쓰시면, CPU 클럭이 저보다 낮아도 렉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때는 설명을 보시고 사양에 맞게 값을 조절하셔야 합니다.

 

 

- config_material.txt 참고: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28&l=30589

  파티 최적화 명령어를 적용시키니 핫탐때도 배무 돌때 다 끝나고 전투완료가 바로 눌러지고,

  맵이동간 로딩도 빨라졌네요 헠헠(전 최대값인 200으로 했습니다)

  기존에 팁 올려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

 

 

 

[Config_Material.txt 저사양용 옵션]

 

mat_shaderlevel은 0 or 1,
mat_antialias는 0 or 4,
mat_specular는 0 or 1,
mat_hdr_level은 0 or 1,
r_shadowrendertotexture는 0 or 1,
mat_motion_blur_enabled는 0,
r_waterforceexpensive, r_waterforcereflectentities 두개 다 0 or 1,
cl_cloth_physics_mode는 1,
cl_particle_limit은 1 or 2, (그래도 심하면 0)
mat_vignette_effect는 0,
npc_player_costume_quality는 0,
effect_visible_self와 effect_alpha_control_self, effect_alpha_control_other는
컨피그_머테리얼.txt 수정시 참고하라고 올린 링크 참고하셔서 낮추세요.
그리고, 숫자 200인 값이 5개가 있어요. 그걸 모두 100~128 정도로 바꾸세요.
r_rootlod는 1, 2(0: 높음, 1:보통, 2: 낮음), r_lod는 1~10.


첨부파일 받아서 이렇게 수정하시면 퀄을 낮추고 성능을 올리게 됩니다.

 

 

 

 

P.S. 예전에 테라 인벤에 올린 제 글을 가져와서 수정+추가 했습니다.

      마영전 키설정 하느라 오른 열(?)을 잠시 식히고자 작성했는데,

      생각보다 오래 걸렸네요;; 첫 글 작성에만 1시간 정도 걸린 듯 ;ㅅ;

 

 

P.S. 화면이 물결치는 상태로 쓰시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은 것

      같아서 수직동기화 프로그램(D3D_RTSS.zip)도 첨부합니다.

      (D3D_RTSSATI RBE.zip에 있습니다.)

      사용법은 안에 제가 넣어놨구요, 이걸로 하시거나,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설정에서 수직동기화를 적용시키시면 됩니다.

      (겜 옵션으로 수직동기화를 걸면 부하가 더 걸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