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옛날 낫비의 중첩 릴리즈 & 드레인 대미지 보너스가 추가된 직후에 오버밸런스라면서 하향됐던 일이 있었지요.
( " : 여러 개의 드레인을 모았을 때 드레인 및 릴리의 대미지 증가량이 소폭 감소합니다." (링크) )

이게 처음 업데이트 안내에 의하면 1~4 개 중첩 시 0% 10% 20% 20% 보너스였는데 (링크) 하향된 이후로 과연 대미지 보너스가 얼마나 되는지 정확한 측정을 하신 분이 여태 없길래 직접 실험해 보았습니다.


결론:

1개 0%
2개 7%
3개 이상 14%

(즉, 처음 알려졌던 값들에 비해 30% 씩 너프되었음.)



근거:

실험에 사용한 도구는 해외 포럼에 올라와 있는 유효 공격력 계산기 입니다.
http://vsnobs.com/topic/391-raw-damage-calculator/
이 계산기는 게임 내에서 측정한 대미지 숫자를 바탕으로 게임 내부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효 공격력을 계산해 냅니다. 영어로 된 글을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통계적 방법이 아닌 수학적 방법을 사용해서 유효 공격력을 찾아내는 방식이기 때문에 통계적인 오차 같은 것은 거의 없고 대미지가 게임 내에서 소수점 이하 내림 되어서 출력되는 것에 의한 오차만 조금 발생합니다. 제 기억이 맞다면 비슷한 방식의 계산기가 3년쯤 전에 인벤에 있었죠.. (유효 공격력은 기존 대미지 공식 대로라면 공격력-방어력+900+6.25*추가피해 입니다. 현재는 대미지 공식 변경으로 인해 방어력이 높을 경우 앞부분이 변형됩니다만 (하지만 위 사이트의 글들에 의하면 공격력>2*방어력인 경우 신규 공식과 기존 공식이 완전히 같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글에 사용된 실험들은 모두 북쪽 폐허 몹들 대상이고, 따라서 기존 공식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계산기의 동작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이 계산기는 북미 서버에 신규 대미지 공식이 적용된 이후 만들어졌습니다.)

어쨌든 이 계산기를 이용한 실험 방식은 아주 간단합니다.
밸런스, 추가피해, 배율 (스킬, 크리 (크리 대미지를 이용할 경우) 효과 포함)을 입력하고 중첩 드레인 대미지를 동영상으로 찍은후 (예: https://www.youtube.com/watch?v=ofh_f_O8DnM) 나중에 대미지 숫자들을 봐가면서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됩니다. 다만 보스몹에게 드레인을 중첩시키면 글씨들이 다 겹쳐져서 보기 힘들어지기 때문에 잡몹을 대상으로 실험했습니다. 잡몹에게는 거의 블러디 스레드 대미지만 보이더군요. 그런데 잡몹은 라이프 스틸이 걸리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어서 4중첩은 실험할 수 없었습니다. 하향 이전에 3중첩과 4중첩의 보너스가 같았는데 하향 이후에 그 둘을 갑자기 다르게 만들었을 이유는 별로 보이지 않으므로 일단 같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다음 표는 위에 설명한 대로 실험해서 얻은 6랭크 블러디 스레드의 1, 2, 3 중첩 시의 배율입니다. 블러디 스레드만 걸었을 경우는 0.24*(1+0.63)=0.3912 배율이고 (EverAfter 님의 자료 참고), 보시다시피 2 중첩에 7%, 3 중첩에 14% 만큼 배율이 증가됩니다. 추가피해가 0과 300일 때 모두 실험했고 결과가 같게 나왔으므로 이 결과에 추가피해에 의한 영향은 없습니다.



이 배율들을 얻기 위해 사용된 실제 대미지 측정 자료는 엑셀 파일 (링크) 로 올립니다.



-------------------

댓글들을 보고 약간 내용을 추가하겠습니다.

예전에 올렸던 DPS 계산기에 의하면 (링크 1) (링크 2) 증댐을 0%/7%/14%로 변경하더라도 기존 최적 말뚝딜 조합 순위에는 큰 변화가 없이 3 중첩이 여전히 2 중첩보다 말뚝딜 DPS가 높습니다. 다만 조합들 간의 차이가 좀 더 줄어드는 결과가 되네요. (이 DPS 계산기는 최근 패치된 신규 공식이 적용되어 있진 않지만 같은 스펙으로 여러 조합간의 비교를 하는 목적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요약하자면,
보통:  34B(2) > 341(1) > 342 > 34 > 다른 조합들
변신/관통각성제: 342 > 34 > 34B(2) > 다른 조합들


다만 이들 조합간의 차이는 5%도 안됩니다. 고로 크라켄 대가리가 아닌 이상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최적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