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의 사전적 의미

음력으로 다달이 초하루, 보름, 또는 그 밖에 명절이나 조상 생일 등에 지내는 간단한 낮 제사
-국어사전-

유래

경덕왕(景德王)이 즉위한 지 24년 되던 해(765) 삼짇날(음력 3월 3일) 귀정문(歸正門)에 올랐다. 왕이 능력 있는 스님을 데려오라 하자 위의(威儀)를 갖춘 큰스님을 데리고 왔다. 그런데 왕은 자기가 원하는 사람이 아니라며 내쳤다. 다시 스님 한 사람이 납의(衲衣)를 걸치고 앵통(櫻筒) 혹은 삼태기를 걸치고 오는 모습을 보고 기쁜 표정으로 누상으로 인도했다. 왕과 대화가 시작되었다. 
"그대는 누구인가?" "충담(忠談)이옵니다." "어디서 오는 길인가?" "삼화령(三花嶺)에서 오는 길입니다." "무엇하고 오시었소?" "저는 매년 3월 삼짇날과 9월 중양절이면 차를 달여서 삼화령의 미륵세존(彌勒世尊)님께 드립니다. 오늘도 차를 드리고 오는 길입니다." "나에게도 한 잔 주겠소?" "물론이지요."스님이 차를 달여 왕께 드렸는데 맛이 신묘하고 그릇 속에 향기가 그윽하였다. "
-삼국유사-



1. 
차례는 불교에서 유래한것으로 차를 달여 올리는 예식이란 뜻으로
본래는 조상신을 대상으로 하는것이 아니었음

2. 
시간이 흐르면서 본래의 의미에 우리나라 토속신앙과 접목되면서
명절날 신에게 올리는 예식으로 변형되었고 (천신, 토지신, 집안특유의 가택신 등)
후에 유교의 영향으로 그 대상이 조상신으로 확장된것

3.
제사와 차례는 전혀 관계가 없는것이 아니라 간략하게 지내는 낮제사 로서 
제사의 일종이라고 보는게 맞음

4.
본래는 술이 아니라 차를 올리는게 맞지만
조성 영조때 왕명으로 
'귀하고 비싼 차 대신 술이나 뜨거운 물 즉 숭늉'을 대신 쓸 것을 지시한 후부터 차례에 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라고 추정되고 있음
실제 사료에서도 조선시대까지는 차를 올렸다는 기록이 있음

5. 
차례나 제사에 올리는 각종 음식들은 사실 일정한 예법 (홍동백서, 어동육서 등등)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절기에 나는 간단한 과일이나 간단한 음식, 형편이 안되는집은 정화수 한그릇만으로도 되는것이라 함
따라서 차례에는 차와 곁들이는 간단한 다과 한두가지 정도만 올리는게 맞음
추석에는 그해에 수확한 햇과일과 곡식으로 올리고 설에는 저장과일(말린대추, 곶감)과 떡국등이 올랐음

즉, 

이런게 아니라




이런게 맞음


6. 
지방이나 가문에 따라서는 추석과 설뿐 아니라 보름이나 특정 절기 (대보름, 단오, 동지등)에도 지내는곳이 있었음

7. 
현대적으로 말하자면 광복절 기념의식이나 3.1절 기념의식같은 특정 기념일날 행해지는 의식에 가까움
설날은 새로운 한해를 맞이하고 복을 달라는 기원의 의미, 추석은 수확에대한 감사의 의미등
기념일에 나름의 의미를 가진 의식이 기제사와 차이점이며 시대와 가풍에따라 다를수 있음





올 한해는 꼭 애인생기는 오이겔러들 되시길~~~~~

(이성이라고는 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