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노가 첫번째 한바퀴 돌때를 보면 태양을 중심으로한 타원궤도를 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지구에서 로켓을 쏴서 저궤도 대기궤도를 거쳐 동기 대기궤도에 올려놓은다음 그곳을 태양을 중심으로한

타원궤도의 근일점으로, 위에 Deep Space Maneuver (DSM) 라고 하는곳을 원일점을 하는 타원궤도를 그리도록

먼저 추진력을 올립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첫번째 한바퀴에 해당하는 궤도를 DSM 궤도라고 합시다.


만약 비교적 지구에서 가까운 곳이라면 예를들어 화성이라면 DSM 지점으로 지구 동기궤도에서 추진력으로

바로 속도를 올려 도달할수 있겠지만 목성은 너무 멀어 추진력을 올리는데 너무 많은 연료를 소모하게 됩니다.


그래서 Gravitational Slingshot 이라고 하는 새로운 추진동력을 이용하는데 마치 야구공을 앞으로 직접 던지지 않고

해당방향으로 가는 자동차에 공을 던져 튕겨나오도록해 공이 나아가도록 하는 원리와 같습니다.

이때는 공의 운동량과 자동차로부터 빌어온 운동량이 더해집니다. 즉 되돌아온 주노의 운동량에 지구로부터

튕겨져 나오면서 받는 운동량이 더해지면서 새로운 추진력을 얻습니다. 


이 다음 단계 즉 첫번째 바퀴보다 더 크게 도는 두번째 바퀴의 경우도 DSM 궤도를 만드는 원리와 같습니다.

이번에는 태양을 중심으로 해서 지구를 근일점으로 하고 목성을 원일점으로 하는 타원궤도가 그려지게 됩니다.

이런식으로 목성에 도달하게 됩니다. 물론 타이밍을 잘 맞춰야겠죠. 

여기서 만약 목성이 없다고 가정하고 현재의 목성궤도에 주노가 목성과 같이 공전하려면 거기서도 추진을 통해

다시 현재 목성이 공전하는 수준만큼의 속도를 올려야 합니다. 하지만 주노는 목성과 같은 공전궤도를 도는 것이 아니라

목성의 위성처럼 목성을 돌아야 하기 때문에 이때는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물론 실제 추진하면서 얻게되는 위에서 설명한 궤도는 타원궤도는 아니고 쌍곡선궤도입니다.


이해하기 편하도록 타원궤도로 설명을 드린거고 속도를 줄이는 방식은 크게 천체의 대기의 마찰력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고 자체 추진력으로 반대방향으로 역추진을 통해 줄이는 방식이 있는데 주노는 후자의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우주선의 여행방식은 행성이나 달과 같은 위성에 도달하기 위한 모든 우주여행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됩니다.

달과 같이 가까운 곳이라면 전문적인 용어로는 호만전이궤도라고 하는 위와 같은 방식이 이용되고 목성과 같은 외행성

지역을 가려고 할때는 Gravitational Slingshot 과 같은 다른 행성의 운동량을 빌어서 추진력을 얻는 방식을

혼용해서 이용합니다.

이 모든 것을 고려하여 계산하여야 하며


(한줄 요약) 졸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 라게 어려운 거다.

(두줄 요약) 항공우주공학 분야에 인류 최고급의 천재들이 몰려있는 게 괜히 그런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