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호흡을 할때 산소뿐만이 아니라 공기 자체를 흡입하죠

대기중 산소 농도는 대략 20%지만 질소는 78%나 됩니다

그래서 잠수할때 질소가 상당히 많은 문제를 일으킵니다



일단, 수심이 깊어질술록 수압이 증가하는건 다들 알고 계실겁니다

P = P0 + ρgh (P : 수압, P0 : 대기압, ρ : 밀도, g : 중력가속도, h : 수심)

대충 10미터씩 내려갈수록 1기압씩 높아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평상시에는 호흡흘 통해 체내로 들어온 질소가 아주 쉽게 체외로 빠져나가지만

수심이 깊어 수압이 높은 곳에서 잠수중인 상태에서는 체내로 들어온 질소가 제대로 빠져나가지를 못하고

혈액속에 녹아들게 됩니다. 이로 인해 질소중독이 일어나기도 하며 심할경우 사망하거나 의식을 잃을 수 있습니다

질소중독을 막기 위해 질소농도를 낮추고 아르곤 농도를 높이는 등의 개선을 한것으로 알고 있는데

전공이 아니라 깊게 배우지는 않아서 정확히 모르겠네요



그리고 압력이 높을수록 기체의 용해도는 증가하고 반대로 압력이 낮을수록 용해도는 감소합니다

흔히 사이다 뚜껑을 열었을때 기포가 생기면서 탄산이 빠져나오는것을 볼 수 있죠?

뚜껑을 열때 병 안의 압력이 감소하면서 탄산의 용해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빠져나오는겁니다



사이다 대신 혈액, 탄산 대신 질소를 넣어서 생각해도 똑같습니다

잠수부가 잠수하고 있을때 높은 수압으로 인해 체내에서 빠져나가지 못한 질소가 혈액속에 녹아있습니다

잠수가 끝난 후 물 밖으로 나오면 압력이 급격히 떨어지게되고 그럼 체내에 남은 질소는 어떻게 될까요?

혈액속에 녹아있던 질소가 기체로 변하면서 마치 피가 끓는듯한 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이걸 방지하기 위해 물 밖에 필수적으로 감압 챔버를 준비해두고 잠수부가 나오자마자 감압 챔버에 들어갑니다

챔버 안에 잠수부가 들어가면 챔버의 기압을 잠수부가 작업하던 수심의 수압 근처까지 끌어 올린 후에

서서히 대기압까지 감압을 시키면서 체내에 남아있는 질소를 천천히 빼내는겁니다

이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기포 때문에 매우 고통스럽다고 하네요



지금 구조활동을 하고 있는 곳에 어선이 수십, 수백척이 있더라도 잠수부 투입에는 크게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최소한 감압 챔버가 있는 배가 가야 잠수부 투입이 가능하기에 그렇습니다


거기다가 사고지점 수심이 대략 40미터쯤 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이정도 수심에다 거센 조류, 시야까지 좁기 때문에

흔히 상상하는 산소통 메고 잠수를 하는 스쿠버형태의 잠수는 아주 제한적입니다


40미터면 압력은 대기압의 5배가 되고 그럼 기체의 부피가 1/5로 줄어들죠

하지만 사람이 들이마시는 공기의 양은 일정합니다

얕은곳에서 공기통으로 1시간 호흡할 수 있었다면 40미터까지 내려가면 12분 호흡할 수 있다는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