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가해돌라는거 다 넣다 보니까 그냥 탑으로 쓸수 있는 챔피언이 뭐 있는지 정리하는것처럼 돼 버렸는데

댓글에도 이거 말고 탑솔이 더 있냐라는 반응이 나올정도로..

그냥 신경쓰지말고 봐주세요 헤ㅎ헿헤헤


라이엇이 opop하다는 챔피언을 지속적으로 너프하면서
요즘 탑이 춘추전국시대 마냥 왠만한 챔피언은 다 나올만하다고 생각함

티어는 플1로 별로 높은편은 아니지만 탑이 주라인인 플레이어로써 주관적인 견해를 써봄

음슴체인건 존댓말로 적기가 귀찮아서에요 이해좀 부탁드립니다

아 그리고 팁게에 올렸었는데 탑게에 올리는게 더 맞는거 같아서 걍 둘다 올리겠습니다 ^오^ 


제가 본캐, 부캐 솔랭에서 자주 나오면서 꽤 괜찮다라고 생각하는 챔피언 다 적어봤는데 이래도 안 나오는 

챔피언은 정말 고인임 ㄹㅇ

물론 특정 챔피언(=고인)을 많이 해서 그 챔피언만의 특징을 살려서 플레이 하는 노하우가 있다면 모를까 아니라면 

정신건강에 해로우니까 안하는걸 추천함

예를 들어 우르곳같은 탑 챔ㅍ


제가 설명충이라 괜찮은 탑캐들 왜 괜찮은지 설명좀 해봄

순서는 상관없음 그냥 위에 써진대로 차레차례 적을꺼임




*대회에 자주 등장하고 솔랭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증명된 명실상부한 OP챔피언들



1. 카사딘 


Kassadin(카사딘)


얘는 미드에서 너프먹고 탑으로 올라왔는데 너무 좋아서 또 너프먹고 또 너프먹고 또 인벤글보니까 

너프하자는 글이 있던데

그만큼 스킬셋이 OP임 쓰레쉬처럼

R 스택 적용시간이 20초 되면서 옛날처럼 한타에서 슝슝 날아다닐수는 없지만 

엄청난 사거리의 딜 + 이동기는 아직도 카사딘이 OP다

라는 말이 나오는 원동력이고 패시브와 Q실드로 AP상대로는 라인전에서도 준수한 모습을 보이고 

W로 마나수급도 가능함

한타에서는 일단 RQEW로 한명 딜하고 존야로 버티고 R로 나왔다가 다시 R로 들어가는 식으로 한타를 하는데

진짜 짜증남 범위 슬로우에 이동기까지 있고 딜도 후반가면 미쳤는데 보통 궁의 정신나간 마나소모를 커버치기 위해서

여눈을 코어로 뽑기 때문에중반에 딜로스가 심한게 단점이라면 단점임



2. 사이온 

Sion(사이온)


사이온은 리메이크 되고 나서 탑에 올라온 챔피언인데 리메이크 전에도 올라오긴 했었지만 그때는 정말 노답이였음
물론 궁의 미친듯한 피흡은 좋았지만 그것도 붙어서 평타를 쳐야 좋은거지 돌진기도 없고 이속증가도 없고 스턴 사정거리도 짧으며 심지어 스턴시간도 긴편이 아니였음 거기다가 ad계수 스킬은 하나도 없음


그래서 미드에서 빠른 라인푸쉬, 좋은 라인전, 로밍능력을 믿고 ap로 쓰긴했지만 한타에서의 

존재감 부재때문에 사장되다시피 했는데


리메이크후 탑챔으로 날아올랐음 일단 탑 사이온은 e로 무지막지한 사거리의 견제를 할수있음
그냥 e를 챔피언한테 날리면 짧고 방깎효과가 있지만 미니언에 날리면 미니언이 이즈리얼 큐정도 거리를 관통하면서
데미지를 줌 e로 견제능력도 상당하면서 w 패시브에 리메이크전 사이온의 e패시브가 붙어있어서 

적을 처치하면 체력이 올라감
w실드를 터트리면 주변에 상대체력 비례 딜을 줌 q는 차지 시간에 따라서 에어본이나 슬로우가 붙어있고
라인전에서는 ew로 엄청난 속도의 라인클리어가 가능하고 궁이 cc면역에 이속증가라 궁이 온 일때는 갱면역임 
한타에서는 궁 + 란두 + 정당한 영광으로 먼 거리에서 이니시 걸기도 수월함
패시브 딜과 w딜이 엄청나서 탱만 올려도 딜이 어느정도 되는 준op쯤 되는 좋은 챔프

괜히 시즌2 이렐 잭스, 시즌3 레넥 쉬바나가 지금은 나르 사이온이 됐다 라고 하는게 아님
그만큼 지금 나르와 사이온이 정말 좋은 픽이라는거 
 

 
3. 마오카이

Maokai(마오카이)


세계수는 op임 갓계수

대회에서도 자주 나오는 퓨어 탱커로써 ad보다는 ap상대로 강력한 면모를 보임 

정령의 형상을 코어템으로 올리면서 패시브가 효율이 좋아지고

스킬을 자주 발동할수록 패시브가 잘 차기 때문임


영겁의 지팡이가 코어템인데 라인전에서 선 로아를 올리면 딜도 되면서 라인유지력도 같이 올라감
패시브로 라인전은 물론이고 한타에서도 버티는 능력이 상당하고 범위 에어본 + 슬로우, 확정 속박 cc로 

원딜을 괴롭힐수 있음

궁으로 데미지 흡수를 할수있어 팀파이트시 엄청난 존재감을 드러냄 소나무 메타 이후로

소는 w평이 안되게 너프되면서 도축당했지만

나무는 아직까지도 아주 좋은 픽임

 

4. 케일

 
Kayle(케일)

 


일단 라인전 구도에서 라인푸쉬가 1렙 때 진짜 좋음 최강이라고 봐도됨 일단 선2렙이 확실화되기 때문에 이걸 이용해서 정글 콜로 카정을 가든 역갱을 치든해서 2:2를 하면 이득볼 가능성이 매우 크고 궁과 w의 유틸성 라인전에서도

갱 회피에 좋지만 한타에서 빛을 발함

원딜캐리 메타에서 왜 케일이 탑으로 나옴? 바로 궁과 w때문임 비슷한 예로 룰루가 있겠지만 룰루는 나중에 다루고
한타 구도시 w로 힐 + 이속증가 시켜주고 또 적 ad캐스터나 브루져가 물 때 무적으로 딜을 한번 씹어주는게

원딜에게 얼마나 큰건지 원딜을 해본사람은 다 알거임 

그리고 일단 코어템이 공속템이라서 스플릿 구도에서 타워 철거가 빠르고

w힐로 합류도 나름 괜찮고 궁으로 적 깡딜을 한번 씹을수 있어서 탑 1:1시에 잘 밀리지 않음
추가로 패시브에 마저깎 방깎이 있는데 e를 키고 평타를 치게 되면 범위로 깎이기 때문에 더더욱 

원딜 위주 메타에 부합하는 탑 챔프임

 

5. 룰루 

 

Lulu(룰루)


룰루도 방금 케일과 비슷하지만 좀더 서포팅에 치중되 있는 챔피언임
원래 서포터 였다가 버프이후 미드 ,탑으로도 쓰이게 된거니까 당연함
라인전때 eq로 라인푸쉬 속도가 빠르고 w로 갱 회피가 용이하고 er의 실드, 피뻥으로 솔킬도 잘 안당할뿐더러 

평타에도 ap딜과 계수가 있어서 eq평으로 짤짤만 하다가 w로 도망가는 졸렬한 챔피언임
ㄹㅇ 핵 졸렬

한타 구도시에는 wer로 원딜을 서폿팅 해주면서 q의 범위 슬로우로 원딜러가 딜을 넣기 편하게 해줄수 있음

리치베인과 패시브로 의외의 강력한 평타딜이 나옴



6. 문도

 

Dr. Mundo(문도 박사)

 

 

문도는 일단 라인전은 졌음
ㅇㅇ 졌음 이길 생각을 갔다가 쳐 버리는게 정신건강에 좋음 이기고 싶으면 레넥톤 같으거 해 문도 하지말고
문도로 이길 생각하다가 게임 터지니까 
진짜로 자기 스킬 쓰는게 체력을 소모하는걸 좀 깨닫고 문도를 했으면 좋겠다
니가 반피 이상있고 상대는 피가 없어서 킬각이라고 rweq 쓰면서 들어가는 순간 너도 킬각이야 니 피도 같이 단다고
막 나서스 같은거 말고는 상대의 손가락이 너보다 적으면 몰라도 이기기 힘든건 알아둬야됨

라인전 때는 cs를 상대가 먹으라고 하면 평타로 먹으면 되는데 그럴일 없으니까 그냥 큐로 먹으셈
큐로 먹고 텔로 버티고 궁으로 버티고 갱 호응 좀 해주고 계속 하다가 2코어 넘어가면
한타에서의 존재감이 상당함  

일단 탱만 갔는데 qwe로 딜이 잘 박히는거 자체가 상대방 입장에서는 귀찮음 w에 강인함 붙어있어서 더 귀찮음
쳐도 잘 안다는데 은근 아프니까 상대가 나를 치면 좀 맞다가 반피때 궁을 뙇! 키면 체력이 달지 않는 마술을 볼수있음
물론 포커싱 맞으면 죽으니까 막 드가지 말고 아슬아슬하게 거리재면서 플레이 하는게 중요함
카이팅 알지 카이팅 원딜이 하는거
큐로 카이팅 해 너도 할수 있어

 

7. 나르 

 

Gnar(나르)

 

 

나르는 op챔피언임 
처음 나왔을때는 뭔 이런 병신 캐릭터가 있지 했는데 
역시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가 좋아야한다는 말이 있듯 잘하는 사람이 잡으니까 정말 좋더라
라인전에서는 큐로 슬로우 걸고 w터트리고 자기는 빨라지면서 큐받고 다시 던지고 짤짤ㅉ짤짤하면서 빡쳐서 싸우자하면 e로 도망갔다가 변신해서 

체력 증가! 다시 딜교검 퍼킹요들 이런게 일방적인 딜교환 아님? 더 너프좀 이기적인 새끼
얘는 탱템만 갔는데 미니 나르에서 딜은 딜대로 나오고 메가나르로 변하면 탱은 탱대로 되면서 강력한 범위 cc를 넣을수 있는 씹사기 챔이라

계속 칼질 당하는 중이지만 아직도 좋은듯


물론 분노 조절 장애가 있어서 분노 조절을 잘해야되기 때문에 챔피언 이해도와 손이 있어야됨 

손 없어도 할 수는 있지만 추천은 안하겠음
특히 한타각일때 분노조절 정말 중요함
내가 한타 시작했는데 분노가 없다? 그토록 눈물날때가 없었음 앞에서 부메랑만 날리다가 란두인만 키고 죽었는데 

그 다음 부터 나르 봉인함 
일단 나르를 잘 쓸수 있다는 가정하에 한타가 일어났을때 플만 있다면 나르는 적 이니시에이터를 느려지게 만들면서 

분노 채우고 유지하면서

거리를 잰 다음 3-5명한테 5초정도의 범위 cc를 걸수있는 한타 파괴자임
잘 쓸수만 있다면 정말 좋은 챔프

 

8. 리산드라

 

Lissandra(리산드라)

 

 

 

리산은 탑에 올라올 챔프는 아니였음
미드챔인데 사거리가 너무 짧다고 천대받다가
메타의 순환과 라이엇의 탑 챔프 관짝에 집어넣기 패치로 인해서 탑으로 올라온 챔프임
qwe가 다 범위라서 3렙 이후 라인푸쉬가 엄청나게 좋아지고 패시브로 인한 마나관리도 나쁘지 않음
라인전에서 큐평으로 짤짤하다가 오면 w로 속박넣고 또 큐로 견제하다가 속박넣고 갱오면 e로 도망가는
정말 짜증나는 챔프임 거기다가 q에 슬로우 까지있다고!

엿같음 진짜


이동할수 있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텔포 메타에도 잘맞고 
한타 때는 e로 가서 rqw로 한명 포커싱 해서 죽이고 존야로 버티거나
그냥 ewq쓰고 r을 자기한테 써서 범위딜 주고 다시 존야써서 어그로 끄는 식으로 하는데
진입각만 잘 재면 정말 좋음

컨트롤 보다는 상황판단이 더 필요함 
 

 

9. 럼블

 

Rumble(럼블)

 


럼블은 대회에서도 조합만 맞추면 앞라인과 뒷라인을 같이 조져버릴수 있는 파괴력 때문에 자주 등장함
그냥 마관템만 맞추고 뒷라인에 궁 깔면 방템 없는 딜라인은 걸어오다가 아파서 죽거나 아니면 선을 넘지 못하고

앞라인 다 짤릴때까지 기다려야됨

즉 럼블의 정체성은 앞 탱라인과 뒷 딜라인을 분리시켜서 앞에서부터 살살 녹이겠다는 것 


궁이 강력한 만큼 궁 의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궁을 얼마나 잘 쓰느냐가 중요하고
그 때문에 어디서 싸우느냐, 어떤 조합으로 럼블을 뒷받침 하느냐가 중요함 

자르반 같은 가두는 지형을 가지는 챔피언이랑
조합을 짜면 효율이 좋고 아니면 그냥 좁은 정글 길 같은 좋은 지형에서 싸우면 더 좋음


라인전은 꽤 고통스러울 꺼임
보통 럼블은 라인전이 강한데 왜 고통스러울까
일단 럼블은 씨에스 먹기가 힘듬 평타모션은 답이 없고 화염방사기로 먹을려면 운에 맡겨야 되기 때문
그래도 많이 해서 숙련도가 있으면 수월해짐


제일 큰 이유는 바로 빌어먹을 정글러 때문임

얘는 견제하면서 라인을 밀수 밖에 없어 어쩔수가 없음 태생상 그렇기 때문에
그렇다고 아군 정글러를 항상 탑에 불러서 역갱을 치라고 할수는 없기 때문에

라인전에서 물론 열을 다음 사용 스킬에 따라 조절하는것도 중요하지만 럼블에게 제일 중요한건 

열관리가 아닌 와드라고 해주고싶음
일단 갱오면 빈약한 도주기인 w로는 도망 가기 힘듬
플을 쓸수밖에 없는데 노플이면 그냥 죽거나
발악해서 한명 잡으려고 노력하다가 죽거나 어쨌든 죽어야됨 잡으면 좋지만

한타 구도에서는 궁을 뒷라인에 잘깔고
원딜 무는 브루져한테 슬로우걸고 태우거나
존야가 나왔다면 궁깔고 적 뒷라인을 태우다가 존야로 어그로를 끄는 한타 방식을 할수있음
숙련도가 필요하지만 라인전에서나 한타에서나 강력한 챔피언임

 


10. 제이스 


Jayce(제이스)


제이스는 일렙때 스킬이 세개임 스킬의 숫자를 바탕으로 매우 강력한 라인전이 가능하고 심지어 선여눈을 가도 쌤

스킬셋상 일방적인 딜교환이 가능함 캐논에서 qe 평 w 평평평 상대가 들어오면 rwe 하면 

돌진기가 두개있는 피오라같은 챔말고는 대응하기가 껄끄러움

한타구도에서 제이스의 존재는 한 단어로 설명가능함 포킹

ㅇㅇ 포킹을 할거란거임 일단 이 챔을 탑으로 가져온 시점부터 포킹조합이 되는거고

궁이 아무무같은 한타파괴자처럼 임팩트가 없어서 슈밤쾅 하고 붙으면 질수밖에 없음 무조건 포킹하고 싸워야됨 

또 딜탱이 아니라 순수딜러기 때문에

정글러를 좀 단단한걸로 해야 한타가 좀 할만해짐 조합을 잘 생각하고 가져가야됨 

정글러가 극딜카직스에 탑제이스에 미드가 제라스같은거라 하면 포킹은 좋겠지만 물리는순간 다 뒤짐 

적팀이 정글판테온 원딜시비르같은 돌진조합 가져가는순간 겜터짐 진짜..


------------------------------------------------------------------------------------------------


*대회에 자주 등장하는 op 는 아니더라도 좋은 챔피언들 



11.니달리

Nidalee(니달리)


얘는 뫼비우스의 띠도 아니고 애초에 기획상으로는 ap챔으로 만들었는데 ad로 쓰니까 진짜 너무 좋은거임

그래서 라이엇이 야 이상하게 쓰지말고 우리의 컨셉에 맞게 쓰란말이야! 하면서 ad너프 시키고 ap로 만들어서 ap로 썼음

그런데 ap도 너무 좋은거야 그래서 아 안되겠다 그냥 리메이크를 해버리자

ap창딜이 너무 쌔니까 너프하고 창 폭도 줄이고 힐량하고 계수도 너프하는 대신에 컨셉에 맞게 뛰어난 돌진능력을 주자

해서 리메이크 했는데 ad 니달리가 엄청난 op가 되서 탑 생태계를 다 쳐 부셔버림 그러자 

라이엇이 아.. 안되겠다 다시 ad를 너프하고 ap로 만들자 !

그게 지금의 니달리임 뭐냐 이게

그래서 결국에는 ad 계수가 너프타고 딜이 다 ap로 들어가게 바뀌면서 트포 스태틱을 올리면서

평타딜러 겸 브루져로 썼었던 리메이크 직후와는 다르게 ap 탑달리로 많이 쓰고 있음
비록 창이 폭은 좁아져서 맞추긴 힘들지만 맞으면 뼛속까지 아프고 

1레벨 부터 궁을 쓸수있게 변경된 이후 라인전이 정말 강력함
너프됐지만 아직도 미친 힐량과 점프 거리가 늘어나는 패치로 한타나 라인전이나 좋은 모습을 보여줄수 있음
한타 때는 큐를 날리며 아군을 힐로 서포팅하다가 표식이 적 뒷라인에 붙으면 w의 긴 사정거리로

들어가서 eq 리치베인을 터트리면서 한명을 죽이고 존야로 버티고
초기화된 w로 나온후 re로 체력을 채우며 도주하는 식의 플레이를 하는데 포킹메타와 돌진메타가 

맞물리는 지금 괜찮은 픽이라고 생각함 

 


12. 이렐리아 


 Irelia(이렐리아)


항상 무난하고 이기지는 못해도 지지는 않는 챔임 딱히 상성이라는게 없고 오히려 특정챔피언을 압도할수있음

라인전에서 밀려도 w로 체력수급이 잘되고 q초기화로 파밍이 수월하며 e로 다이브를 막을수있고 

r로 밀리는라인을 클리어하며 피수급이 가능함

무난하게 버티며 트포를 뽑았다면 정말로 강한 타이밍이 옴 짧은 큐쿨로 한타에서의 

임팩트는 크지않으나 도망가는 딜러진을 정말 잘 물고늘어질수있음 

레넥 렝가 쉬바나 문도만 나왔던 시즌3 동물농장 메타를 제외하고 항상 보통이상은 했던 좋은 챔임 

결국 4개 다 너프당해서 다시 나올만함




13. 블라디


Vladimir(블라디미르)


시즌2 때 특성이 블라디한테 되게 좋았고 또 파밍하다가 한타를 보자! 하던 때라서 

블라디의 후반왕귀력이 빛을 보던시기였지만

요즘은 워낙 게임이 빨리빨리 진행되고 또 돌진기 부재 때문에 안쓰였었음 심지어 이속증가기도 없음 

w쓰면 처음에 살짝 이동속도가 늘어나긴 하는데 그거 체감됨? 지금 이거보고 몰랐다가 아는 사람도 많을껄

최근 블라디는 쿨감을 올리는 식으로 많이 하는데 쿨감올려서 적 뒷라인에서 reqw eq 존야 eqw하면 10초는 버틸수있음

왠만한 탱커도 버티기 힘든 시간인데 블라디는 원딜을 죽일수있는 딜까지 넣으면서 버티니까 

한타구도에서 정말 좋은 챔임

뚜벅이라는 한계 때문에 뒷라인으로 진입하기 힘들고, 또 라인전이 약하기 때문에 성장하기가 힘든편이지만 

공격적인 챔피언들이 칼질당하면서 잘 안나오고 최근 메타가 탑이 버티면서 텔레포트로 이득 보면서 

5:5한타를 보는 메타기 때문에 블라디가 라인전이 힘들지만 버틸수 있고 

현 대세픽인 나르나 리산드라와도 충분히 할만하고 시간이 갈수록 압도하는 구도가 나올 수 있음

또 시비르, 쓰레쉬, 자르반같은 돌진하면서 블라디에게 도움이 되는 챔피언이 대세 픽이라서 충분히 좋다고 생각함


14. 모르가나 


Morgana(모르가나)


대회에서도 한번..이 아니라 두번 나왔던 모르가나 탑인데 두번다 창동갓이 썼음

한정적이긴 하지만 이용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함 예전에는 미드로 쓰였던 챔들이 탑에 올라오는것 처럼

모르가나도 상대가 AP라는 전제하에 후픽으로 가져오면 라인푸쉬해서 포탑으로 밀어넣고 상대CS 못먹게 압박하면서 

한타때 궁존야로 존재감을 드러낼수 있는 좋은픽임

일단 저는 안해봐서 평가를 못하겠지만 블랙실드로 갱킹 회피가 용이하고 라인푸쉬력도 좋고 한타존재감이야 

시즌 2 유저들은 다 알테지만 굉장함




15. 리븐

 

Riven(리븐)

 


리븐은 내가 플레 상위티어로 올라가게 해준 원동력임
한 500판 했는데 플레 1이라는게 나의 손가락에 문제가 있는거 같기도 한데
일단 좋음


예전에는 쉬바나한테 털리고 레넥톤한테 털리던 암흑기가 있었지만
모두가 너프를 받을때 리쁜이는 너프를 안당했기 때문에 
통계적으로도 전 티어 구간에서 승률 50프로를 넘는다는걸 보면 얼마나 좋은지 알수있음
인벤에서는 너프를 하니 마니 하고있는데
일단 현 상태에서 너무 좋은것도 맞고 딴 애들이 다 너프를 먹으니까 얘도 좀 까여야 밸런스가 맞을거 같기도 함 


스킬셋 자체도 좋고 이동기 순간누킹 라인푸쉬 다 되는 만능형 챔피언임
언뜻보면 완벽한 챔피언이다 저건 너프를 먹어야 한다 씹 op다 실드를 ap계수로 바꿔라 라고 하는데

리븐이라는 챔피언에 대해서 설명을 좀 해보자면 
얘는 챔피언 이해도가 높을수록 많을걸 할수 있는 챔피언임
잘 몰라도 1인분을 할 수 있는 챔피언이 있는가 하면
리븐은 모르면 1인분도 못하지만 많이 해서 숙련도가 높고 이해도가 높다면 그 이상을 할수 있는 챔피언이라는 거임


본론으로 들어가서

리븐은 생각보다 라인전이 강하지 않음

1렙때 왠만하면 e를 찍고 사리는게 좋음 라인전이 지옥같은 나르, 리산드라랑 만나면 하루종일 쳐맞고 있어야됨
6렙찍어도 계속 쳐맞고 있어야됨 지니까 하지만 체력상황이 좋다면 플래쉬로 킬각 잡아봐도 됨 그럴리는 잘 없겠지만
나르나 리산이랑 라인전 할꺼면 차라리 텔드는걸 추천함
그나마 할만해짐


q찍고 딜교 걸어도 되는건
지가 리븐 카운터라고 나대는 레넥톤
레넥톤은 w를 찍든 q를 찍든 e(?)를 찍든 맞딜 하면 1렙때 리븐을 못이김
레넥톤은 생긴거와 다르게 졸렬한 챔피언이니까 졸렬하게 안하면 못하는 레넥톤임
자기가 리븐 카운터라고 당당하게 맞딜 신청하면 ㅈ밥이니까 그냥 개털어주셈
이후 라인전이 편해지면서 6렙때 킬각도 노려볼수 있음


평q나 평w 하고 살살살 미니언 어그로 관리하면서 빼는 레넥톤은
따라가다가 미니언 맞고 딜교손해보니까 이럴때는 e를 찍는게 현명함
레넥톤이 잘한다면, 이기기는 힘드니까 사리다가 갱콜해서 6렙때 킬각 한번 노려봄직함

나머지는 그냥 e찍는게 편함

짜피 3렙 되서 qwe찍으면 왠만한 상대 라이너는 다 할만해지고 6렙되면 왕칼로 킬각도 잴 수 있으니까

꼭 1렙때 큐평큐평큐평 해야된다는 생각은 버리는게 좋음
누가 리븐 일렙 때 최강이다 라고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1렙 최강은 갱플랭크임 모두 잊었겠지만..

콤보같은거는 리븐 공략 인벤에 좋은거 많으니까 그런거 보고


한타 구도에는 뒷라인으로 진입하는게 좋음 리븐은 잘 진입하면 말그대로 뒷라인을 터트려 버릴수가 있음
그렇다고 깡으로 erqqq하면 가다가 죽으니까 조심해야됨

들어가기는 힘들지만 진입하면 정말 강한 모습을 보여주는게 리븐인데
리븐은 피오라나 트린다미어와 다르게 무적기나 제드나 탈론과는 다르게 확실하게 긴 근접기나 도주기가 없지만 

근접 딜러기 때문에 신중하게 진입해야 할 필요가 있음 뒤로 돌아가면 좋겠지만 

한타전에 와딩해놔서 각 안나오니까 각을 잘 봐야됨

하지만 플래쉬 있으면 그렇거 필요없음 그냥 er 플 w 평 히드라 r q평 q 평 q평하면


펑펑 터짐

개사기


챔피언 이해도만 있다면 정말 괜찮은 챔피언임
제드가 사실상 관짝행이 확정된걸로 봐서
제드 친구인 리븐도 으리로 너프 되야 되긴 하는데
일단 라이엇 맘이니까 기다려봄 수치상으로만 따져보면 너프회피가 불가능 할거같은데 갠적으로 너프 안하면 좋겠



16. 쉔 

 

Shen(쉔)

 


쉔은 우주 쓰레기였다가 엄청난 버프패치로 전성기를 누렸지만 다시 도발판정 너프등등의 너프로 모습을 감췄는데
클템 해설도 최근에 쉔은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것보다는 훨씬 좋습니다 라고 말한게 
맞는 말인게 요즘 메타가 텔메타로 고정 되어 있기 때문에 압박 받을수는 있어도
솔킬을 따이거나 씨에스도 못먹을 정도로 디나이 당할일은 잘없음
그리고 모두가 쉔의 궁때문에 라인전 약캐다 라고 생각하는데 의외로 1, 2렙 라인전이 정말 강력함
쉔은 점멸은 고정스펠로 쓰고 텔포나 점화를 유동적으로 쓰는데 점화를 왜들죠? 

궁쓰고 텔포로 복귀하는게 훨씬 좋을거 같은데라고 많이 하던데
원래는 그게 맞지만 쉔 좀 해본 사람들은 상대 챔피언에 따라 1렙 도발을 찍고 패시브 충전해서 

툭툭 치는게 좋다는걸 알꺼임
생각외로 정말 아파서 점화들면 솔킬 까지 노려볼만함


라인전 때 쉔은 시간이 가면 갈수록 점점 약해지면서 6렙 때 정점을 찍을 정도로 약해짐
왜냐면 상대 궁극기는 맞다이에 도움이 되는데 나는 도움이 하나도 안되거든
쉔 일단 문도 처럼 라인의 주도권을 쥘수는 없지만 라인 유지력이 좋고 잘 안밀리니까 
그냥 큐로 짤짤ㅉ짤짤 하고 평타치면서 체력 채우다가 각나오면 ew 패시브 평평 큐 평평
으로 딜교해주면 되는데 도발은 기력이 매우매우 많이 들면서 쿨도 길고
유일한 갱 회피기이기 때문에 최대한 아끼는게 중요함

쉔은 특성상 유연한 스플릿 푸쉬가 가능한 유일한 챔피언이였는데
탑챔들이 다 텔들면서 그런거 없어짐
요즘은 다 그냥 밀다가 합류할수 있어서 쉔이라는 챔피언에 메리트가 없으니까 요즘은 잘 안쓰는듯
하지만 텔을 들었을때 합류기가 두개라는건 상당한 메리트임 나는 2번 합류할수 있으니까
이전 한타때 나는 궁으로, 상대는 텔로 합류해서 5:5로 슈밤쾅하고 붙었다면
상대가 노텔일때 5:4한타를 열던가 아니면 5:4로 대치하면서 라인으로 이득을 볼수가 있음


마지막으로 쉔은 피지컬 보다는 상황판단, 맵리딩이 더 중요함
내가 저기에 가서 보는 이득과 라인 상황에 따른 손해도 잘 생각해봐야되고
또 궁쓸 사람도 잘 생각해야됨 
진입하는 아군 탱커한테 써야할지 아니면 원딜이 물릴걸 대비해서 원딜한테 써야할지

쉔하다보면 다 죽어가는 아군 살린다고 궁써서 아군 죽고 합류 못한적 많을꺼임
내가 가면 이기는 한탄데 못가서 지는 상황이 많이 나올텐데 이런 실수가 제일 안좋음 

정말 마지막으로 쉔은 도발이 전부임 도발을 못맞추면 그냥 잉여일 뿐이니까
도발 점멸을 하든 뭘하든 해서 도발만 잘맞추면 됨
qwr? 다 타겟팅이고 그냥 누르면 써지니까 그냥 궁 타밍 잘타고 도발만 신중하게 잘써도 갓쉔이 될수있음

 


17. 레넥톤

 

Renekton(레넥톤)

 


레넥톤은 라인전이 정말 강력함 
사실상 정통적인 근딜 탑 챔피언 중에서는 다리우스를 제외하고 최강이 아닐까함 하지만 

퍼킹 졸렬한 나르나 룰루같은 요들한테는 이기기 힘드니까 뽑지마셈


레넥은 생긴게 남자의 다이다이 챔피언 처럼 생겼지만 아까 리븐에서 언급했듯이 존나 졸렬한 챔피언이니까 

졸렬하게 해야됨 

물론 퍼킹 요들들 보단 덜 졸렬함
남자의 챔피언은 트린다미어임 트린다미어 하셈 특성 공 30 올공룬 트린다미어 꿀잼


라인전이 강력하다고 언급한것 처럼 이걸 이용해서 스노우 볼 굴리는 운영이 대회에서도 많이 나왔지만
텔포가 상향먹으면서 텔메타로 바뀌어서 라인전이 쌔다라는 장점을 빼고 한타 잉여, 후반 잉여에다가 탱보조 스킬도 별로 안좋은 레넥은 사장됨
허나 그건 대회 얘기고 솔랭은 걍 라인전 개털면 장땡임 
라인전을 개텁시다 라인전 개털면 운영이고 자시고 상대 멘탈 깨져서 미픈 미픈! 

나 안함 우리 탑 노답 개트롤을 외치게 될꺼임

레넥은 라인전 기본 가이드는 e평wqe를 이용한 개 졸렬한 딜교환임
이 개 졸렬한 딜교환을 하면서 큐로 졸렬하게 체력을 채우고 ee로 갱을 그냥 회피할수 있음
e가 쿨이 장난아니게 기니까 딜교환 할때 아낄 필요성이 있긴 하니까 적 정글러가 탑에 있을거 같으면 

wq로만 딜교 하는게 좋음


레넥톤의 한타는 그냥 앞에서 궁키고 란두인 쓰고 q로 체력채우면서 어그로를 끌면됨
얘는 딜템에 투자한만큼 딜이 나오는 정직한 챔피언이기 때문에 

탱템만 올려서는 문도처럼 원딜을 박살낸다거나 그런건 못함
애초에 챔피언 특성상 한타가 안좋으니까 라인전에서 승부를 봐서 챔피언의 스킬이나 성능 ㅈ까고 

상대보다 우월한 템으로 한타를 하면됨 


18. 쉬바나

 

Shyvana(쉬바나)

 

 
쉬바나는 예전에는 e가 방깎은 있었지만 관통안되는 호구 챔피언이였지만 리메이크 후 관통이 되고 

체력 퍼뎀이 붙으면서 라인전, 스플릿, 한타, 원딜물기가 다 되는 십사기 챔피언이 되어서 돌아옴

그래서 너프를 먹을수밖에없음 다 쉬바나만 했거든 아니면 렝가나
너프 후 안 좋아진건 당연하지만
아직도 w의 클리어랑 req의 한타파괴력과 범위딜링은 무시할 수 없음

라인전 때는 e로 견제하면서 wq로 딜하고 빼는 형식인데
스킬상 짤챔한테 정말 약함 그래서 잘 안나오는듯
돌진기가 없어서 나르나 리산드라같은 챔피언한테 이길수가 없음
그래도 노코스트고, e로 cs수급이 가능하고 r의 한타파괴력을 생각하면
충분히 좋은 픽이라고 할수 있음


19. 렝가

 

Rengar(렝가)

 


렝가는 관짝 브레이커라는 별명이 있는데
op와 병신 왔다리 갔다리 하는 이상한 챔피언임
분명 처음 나올때는 어쩔수도 없는 병신이였는데
라이엇이 조금 조정하니까  딜이면 딜 탱이면 탱 다되는 뭔 십 op가 되서 돌아옴 

이 때 야성 5스택 w의 체력회복량이 전체체력의 15%였음

뭐? 15%?

그니까 1렙 체력이 700이면 100정도가 차고

만렙 3500기준으로 400이 넘게 차는 정신나간 힐량임


딜탱렝갓이 원딜을 다 찢어버리고 앞에서 체력을 채우며 탱킹을 하니까 라이엇이

ad 스킬 데미지와 w 힐량을 너프했음 

그래도 탱렝가는 야성 w 전체체력 10% 회복으로 꿀빨았었고

누가 발견한진 모르겠지만 ap 렝가를 발견했는데 r 데파 ww로 원딜이 죽고 주변 딜러들 

반피가 되는 마법같은 딜량을 보여줬음

막눈이 한번 대회에서 보여준걸로 기억함


그래서 또 한번의 너프를 먹음 이제 야성 w가 고정체력 회복을 가지며, w계수가 너프됨

너프 이후 사람들의 관심에서 벗어난 렝가는 관짝에서 잠을 자다가

cvmax 라는 천상계 플레이어가 천상계에서 탱렝가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사람들이 어 야 저거 너프되도 좋은데? 하면서 사람들이 관짝에서 렝가를 깨우기 시작함

이후 다시 탱렝가로 op가 되서 대회와 솔랭에서 탑을 휘어잡으면서 활약을 하게 된다      

서로 스킬을 다쓰면서 딜교는 분명 비슷하게했는데 렝가는 ww로 체력이 참
그리고 w로 라인을 밀고 견제를 하고 딜교하면 다시 체력채우고 그냥 노답이였음 
이걸 보다 못한 라이엇이 너프너프 세례를 받아서 재차 관짝에 들어갔다가
결국 리메이크를 하게 됨 리메이크 직후 잠깐 하향세였다가 요즘은 정글로써 준수한 활약을 하고있음


e가 논타겟스킬로 바뀌고 부쉬가 애매해지면서 탑 라인전이 렝가에게 힘들어 진건 맞지만

w선마를 하면서 탱렝가로 간다면 아직 궁을 이용한 어그로와 스플릿푸쉬는 쓸수있는 좋은 플레이고
5스택 궁 점프 e을 이용한 짤라먹기나 한타에서의 기습 이니시도 렝가의 장점으로써 충분히 나올수 있는 픽임


딜렝가는 라인전은 매우매우 힘듬
사실상 이길수 있는 챔피언이 거의 없다고 봐도됨
초반에 퍼블을 따도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라인전을 압도 당함

아프리카의 어느 비제이는 딜렝가로 라인전 압도하고 잘만 하더만 내 손이 문젠가..
어쨌든 이렐리아를 솔킬따고 씨에스도 앞서가는데 지고 리븐한테도 지고 잭스한테도 지고

라인전을 이겨도 딜렝가는 맞다이를 이기기가 힘들기 때문에
상대탑은 라인밀게 내버려두고 딴라인스플릿 푸쉬를 하면서 5스택 궁 점프 e로 적 미드나 원딜을 짤라먹는
플레이를 합시다


그리고 궁이 없으면 팀이 한타를 하든 말든 신경쓰지말고 라인을 밀면서 짤라먹을 포지션을 잡는게 좋음

짜피 노궁 딜렝가는 도움이 안되니까

 


20. 자르반 

 

Jarvan IV(자르반 4세)

 

 


자르반은 너프 전에는 딜이 안박히는데 상대가 뜨는 이상하게 좋은 에어본 판정을 가지고 있었는데
e에 붙어있던 방어력 오오라가 없어지고 판정자체가 심하게 안좋아지는 너프패치 이후 안쓰이다가

딴 정글러들이 너프를 먹는데 자르반은 패시브 딜 증가라던지 w실드량 증가와 같은 

지속적인 소소한 버프를 먹어서 다시 1티어급 챔피언으로 등장하기 시작함


정글로써도 매우 좋지만 탑으로도 좋음 근데 정글이 더 좋으니까 아군이 자르반 정글을 원하다면 주는게 나음
라인전 때 플라스크 스타트해서 q로 무난하게 견제를 하면서 딜교 이득을 볼수있음 마나 코스트라는 단점이 있지만
q의 깡딜과 패시브 덕에 라인전이 상당히 강한편이라서 q로 견제하다가 eq평로 킬각을 잡을수도 있음
또 갱호응이 매우 좋기 때문에 w 평평 하다가 상대가 도주기가 빠졌을때 eq로 들어가면 

아군 정글러와 확실한 킬을 노릴수있음

텔포를 들었을때 eq플r로 도약거리가 매우 길기 때문에 존재감도 상당하고
한타 때 자르반의 한타력과 강제이니시는 다들 알겠지만 매우 좋음

 


----------------------------------------------------------------------------------------------------


*자주 보이는건 아니지만 충분히 괜찮은 챔피언들

 

21. 말파이트 

 

Malphite(말파이트)

 

 


말파는 라인전이 강한편이 아니기 때문에 할때 상대 챔피언에 따라 짤짤이를 하고싶으면 q선마
상대가 평타위주 챔피언이라 딜교할때 우위를 점하고 싶으면 e선마를 해서 무난하게 버티며 

궁으로 갱호응을 해주다가 한타 페이즈 시에 딴건 필요없고
궁 란두인 e를 적 원딜을 포함한 딜러진에게 맞추는게 중요함
영혼을 걸고 궁을 맞춰서 상대 뒷라인의 딜로스를 발생시키면서 아군이 정리할 시간을 벌어주는게 말파이트 픽의 의미임
 


22. 자크

 

Zac(자크)

 


자크는 전성기 때 쉔이랑 놀던 애라서
라인전은 강한편이 아니고 그냥 그렇지만
패시브로 유지력이 좋고 q로 견제력이 괜찮고 w로 라인푸쉬가 좋음

자크의 장점은 e로 긴 거리에서 갱호응이 된다는 점임

탑이 자크면 갱좀 많이 가주셈 갱호응 좋음


이 갱호응이 좋다는 장점은 한타에서 장거리 이니시에이팅이 된다는 점으로 이어짐
사실상 판테온이나 트페같은 시전시간이 있는 글로벌을 제외하고 자크처럼 먼 거리에서 

이니시에이팅을 걸수 있는 챔피언은 없다고 봐도 무방함
eqwr로 한타 진형을 파괴하면서 패시브로 어그로 끌수도 있는
전형적인 탱커지만 w퍼뎀이 은근히 아픔 마관셋팅만 좀 하면 원딜도 녹여버릴수 있는 숨겨진 딜을 가지고 있음
한타 구도로만 끌고가면 좋은 챔프임


23. 다리우스 

 

Darius(다리우스)


다리우스는 태생부터 라인전을 위해 모든걸 다 버린 캐릭터임 그만큼 라인전 만큼은 정말 강력함 

처음 나왔을 때는 깡딜이 너무 쌔고 궁의 초기화 방법이 상대를 어떻게든 죽이면 된다 였고

궁이 완전 초기화여서 죽이고 집 갔다 오면 또 죽이고 갱오면 다 죽여서 밴까지 당하는 탑의 패왕이였음

그러니까 다리우스가 qe평w평qr 점화를 썼는데 어떻게든 버텨서 도망갔는데 점화 막틱에 죽었음

그럼 궁 완전초기화임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면 또 똑같은 콤보에 죽는 미래가 보일꺼임

아아.. 그 때 탑 유저분들은 모두 집 갔다오면 계속 대가리를 찍히는 공포를 아실꺼임

지금은 궁으로 막타를 쳐야지 20초간 한번 더 쓸 수 있는 조건부 초기화인데 하늘과 땅차이임


다리우스의 스킬 셋을 보면 qwer이 모두 딜을 넣는데는 도움이 되지만 접근하는 방법은 도무지 알수가 없음

이동속도 증가기가 없는 모데카이져급 뚜벅이임

그나마 얘는 패시브 채우면 이속이 증가하고 당기는 거라도 있지

모데카이져는 리메이크가 필요함 e맞추면 이속증가하는거라도 넣어줘라 진짜.. 리메이크를 하던지

라이엇이 관심이 아예없는듯 


어쨌든 다리우스는 라인전에 쌔고 한타는 설명할 필요도 없음 걍 답도없음

레넥톤도 한타가 별로지만 다리우스는 그냥 답이 안보임 뭐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음 

점멸이 있으면 점멸 e로 뭐라도 해보지만 당겨봤자 상대도 도주기나 맞점멸로 빠져나갈꺼임

그냥 상대 원딜과 서폿의 카이팅을 맞다가 아오 ㅆ바ㅏㅏㅏㅏㅏㅏㅏㅏㅏㄹ! 을 외치며 이 챔피언 매커니즘을 짠 

라이엇 제작자를 저주하면서 허공에 q를 쓰면서 뺑뺑이를 돌다가 죽을꺼임

레드가 있다면 아오 레드 ㅁ친 슬로우 개사기! 를 외치면서 더 잔인하게 죽을꺼라 확신할테니까

다리우스를 픽할꺼면 탱킹 관련 스킬이 전무한 챔피언으로 한타때 자기가 아무것도 안하고 맞기만 

하더라도 상대 탑 보다 더한 존재감을 드러날 수 있을 정도로 상대 탑의 대가리를 깨부셔놔야됨

 

 

24. 케넨 

 

Kennen(케넨)

 

 

케넨은 얘도 그냥 퍼킹 요들임

요들은 다 졸렬함 룰루 나르 티모 케넨 ㅇㅋ? 럼블은 뭐 이상한거 타서 크기가 요들이 아니니까 제외하자


케넨은 시즌2 흡총 사기시절에는 흡총을 가서 큐로 견제를하면서 체력이 차는 사기성을 가지던 때가 있었지만

뭐 그때는 케넨이 좋은게 아니라 흡총이 사기였던 시절이라서 

럼블도 라인유지력과 견제를 위해서 e선마 흡총트리를 타고

아리도 라인유지력을 위해서 흡총가고 그랬었음


흡총은 항상 1200원이였는데 그 당시 흡총의 스탯은 40ap, 주문흡혈 15퍼에 광역딜시 1/2 주문흡혈 

지금은 40ap에 12퍼 광역딜시 1/3 주문흡혈이니 거의 반토막이 났다고 보면됨

가격은 똑같은데 성능이 반토막..

흡총이 너프를 받았지만 미드 탑 2 흡책 트리를 타는 전략같은걸 찾아 선보이면서 

타개책을 찾아보려했지만 라이엇이 흡책을 고유지속효과로 바꾸면서 사장되고

지금은 블라디미르나 카시오페이아 같은 챔피언들 밖에 안감


흡총이 너프타면서 각광받았던게 초반에는 ap가 아닌 ad템을 올리면서 졸렬하게 평타 라인견제 능력을 늘려 

평ㅍ평평평qw 평ㅍ평평평qw 같은 짓을 하면서

라인전때 강하게 가다가 중반 타이밍에 마관신 가면등의 마관템과 존야를 올리면서 궁의 딜을 늘리고 

존야를 이용한 어그로와 패시브의 CC기로

한타를 지향하는 케넨이 핫했었고 대회에서도 주류픽으로 나오던 때가 있었음 

라인전때 상대를 말린다음에 기가 막힌 e 앞점멸 w 궁 존야로 캐리한 탑 플레이어들도 많았음


기막힌 한타를 보여주며 팀을 캐리한 플레이어는 플레임이 떠오르지만 

역시 케넨하면 건웅이 제일먼저 떠오름 

로코도코가 나가고 샤이를 영입하면서 건웅이 원딜로 가고 탑은 샤이가 가게되지만

그 전까지 건웅이 보여줬던 라인전을 터트려버리는 건웅갓의 탑 ad 케넨은 아직도 레전설급


이 때는 정글템인 랜턴의 스펙이 워낙 좋아서 탑도 가고

정글은 당연히 가고 가끔 베인으로도 갔었음 

싼가격에 방어력 + 생흡 + 와드 1개 무한설치라는 미친 스펙을 가졌는데

이 때문에  케넨으로 도란검과 랜턴을 선템으로 가면서 상대를 디나이하는 장면이 나왔고

막눈의 랜턴올라프 vs 건웅의 정석 쿨감 올라프 같은 장면도 나왔음 자세한건 나중에 올라프 할때 씀

랜턴이 사라지고 케넨이 너프를 타고 잠적했다가 도란검의 변경이 케넨에게 버프로 다가오고

딴 챔피언들이 사장되면서 다시 2도란검을 스택 후 ap템을 가는 케넨이 활약하게 됨


대회나 솔랭에서 흥하자 또 연달은 너프를 받았지만 상대를 말리게 할 수 있다는 장점때문에 

가끔 대회에서 픽되는 모습을 보였었으나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었고 또 망령의 두건이라는 아이템이 나오고 

ap짤챔의 암흑기인 동물농장 메타가 도래하면서 렝가 쉬바나 레넥톤 문도가 탑을 지배했고 케넨은 사장됐음


물론 아직도 평타나 스킬을 이용한 견제능력은 상당하고 궁으로 한타능력도 준수하지만 

챔피언 성능자체가 대세픽한테 많이 밀려서 추천은 안하는 챔임

근데 왜 추천글에 쓰냐고?


그러게.. 쨌든 그렇게 나쁘지는 않음



25. 티모

 

Teemo(티모)


하하핳! 후후하핳 하하핳!


티모도 자잘한 너프를 당하다가 버섯 계수가 반토막 나는 큰 너프를 당하면서 

하던 사람들도 안하던데 그래도 장인(?)들이나 즐겜러들은 자주 픽하더라


티모는 티확찢! 찢어줘야 제맛이지만 라인전이 강해서 짜증나는 챔임 근딜로 이길수가 없음 이 졸렬한..

사실 티모가 시즌 5 되면서 더 너프 됐어요 바위게가 버섯을 다 부셔버림(ㅂㄷㅂㄷ..)

티모는 .. 일단 조합을 대치 조합으로 짜서 티모가 스플릿 푸쉬를 해도 라인을 버틸수 있게 해야되는데

스플릿 푸쉬할꺼면 제드나 리븐같은 op챔 있는데 그럴꺼면 딴거 하지 티모 왜함 하지마셈 ㅅㄱ 


그리고 조합을 짜야 그나마 괜찮은거지 솔랭에서 조합은 무슨 탑이 티모고 막 정글도 딜이고 미드도 딜이면서

미드가 아칼리나 카타리나같은거라서 클리어가 아예 안된다면 티모가 스플릿하면 미드 고속도로 날테고

합류하면 티모가 0.345인분을 할테고 상대 탑은 1인분을 할테니 게임이 안됨


하지만 티모만의 메리트가 있음 그거슨 재밌다는 것!

아니 이게 아니고 버섯! 티모의 존재이유!

상대를 유인해서 버섯을 밟게하면 마방템없는 딜러진은 한순간에 리안드리 + 독뎀으로 반피가 되는데

그걸 5명이서 급습해서 잡으면 된다! 

근데 플레만 와도 핑와나 렌즈로 다 지우더라고요

부들부들.. 

그래도 버섯을 잘 깔아서 딸피인 상대를 다 조져버립시다


어쨌든 티모의 한타능력은 쓰레기입니다

진짜 어떤 탑챔보다도 쓰레기라고 자부할수 있을 정도의 쓰레기 한타력임 

라인전이야 원거리 평타짤 하고 실명이라는 특수 cc때문에

평타딜러가 대부분인 ad탑솔들을 카운터 칠수 있고 버섯 덕분에 갱에서도 약간 자유로운 면이 있기 때문에

갱오면 더블킬 하는 멋진 장면도 나오지만

한타에서는 원딜보다 짧은 사거리 쓸모 없는 r, w에 ap인데 누킹도 안됨

 

그러니 여러분들은 티모를 멀리하시고 나르나 하시면 됩니다

둘다 요들인데 나르가 더 귀엽고 한타도 더 좋고 라인전도 더 좋음 ^오^

근데 이걸 왜 여기 쓰냐고요

그러게요..

그냥 티모는 재미로 하세요

재밌으면 됐음

 

+) 사실 지금 티모가 숨겨진 op입니다 너프 되기전에 지금 꿀빠세요 ㄱㄱ
저만 꿀빨려고 안 좋게 적어놓은 거임

 

 

26. 트린다미어 

 

Tryndamere(트린다미어)


남자의 챔프 트린다미어죠

트린다미어 하면 쎈자류 트린다미어가 제일 먼저 생각남 

룬이 심플하게 +공 30밖에 안 적혀있는 올 공룬에다가 30 0 0의 특성은 당시 골론즈였던 나를 충격먹게 만듬

안 그래도 라인전 약캔데 저걸로 라인전이 돼?

진짜 경악이였음


각설하고 트린다미어는 예전에 정화가 op였던 시절에 다 썰고 다녔다고 하네요 

저는 시즌2 중반부터 시작해서 잘 모르겠음

그리고 ap를 올려서 q의 미친듯한 힐량으로 라인전을 하면서 e의 계수로

범위딜을 넣고 5초동안 무적이 되는 궁으로 한타에서 정신나간 존재감을 보여주던

개op일 때가 있었지만 그건 사도임 사도! 정도가 아니라고

친구가 ap 트린으로 다야 5 수문장에서 3까지 올라갔다가 너프타고 다시 5로 내려간걸 보면 얼마나 사긴줄 알수있음

트린은 항상 후반가면 좋다 후반가면 궁때문에 1:1 질 사람이 없다는 평은 많았지만

별로 안썼었음 후반으로 가기가 힘든 부분이 있어서였지


라인전 때는 그냥 파밍하다가 분노 채워서 평타 맞딜 좀 해주면서 계속 싸우면 지니까 e로 빠지면서 e를 맞추는게 중요함

그리고 싸울때 w에 슬로우 말고 상대 공격력 감소도 있으니까 갱와서 호구인 척 할때는 몰라도 무조건 써주는게 좋음

또 상대랑 다이다이 할때 아니면 분노 필요없고 서서히 감소하니까 q로 체력채워주고

트린다는 한타 하려면 못할것도 없음 그렇게 나쁜것도 아니라서

분노 채워서 상대 딜러진 궁쓰고 유체화 or 점멸 쓰면서 물면됨


하지만 스플릿 푸쉬로 돌리는게 효율이 더 좋음 e가 평타 쳐서 치명타가 뜨면 쿨이 줄기때문에 라인푸쉬에도 좋고

도주에도 좋으면서 궁과 w로 1:1 스플릿시 왠만해서는 지지 않음

공속과 공격력을 올리면 챔피언이니 만큼 타워철거 속도도 엄청 빠르기 때문에 고속도로 뜷으면서 어그로 끄는 사이 아군이 이득을 볼 수 있는 부분이 많음 

숙련도에 따라서 영웅이 될수도 있고 무쓸모가 될수도 있는 양극을 달리는 챔피언임

그 예로 궁도 못쓰고 죽는 지린다미어를 들수있음

정말 무쓸모더라고 

크흠


27. 헤카림

 

Hecarim(헤카림)


탑 헤카림은 그렇게 좋았던 적이 없는거 같음 그냥 출시이후 계속 무난하지만 약간 안쓰이는 비주류 느낌

정글로써 좋았었지만 라이엇의 지속적인 마나 소모량 너프 쿨타임 너프로 정글러로써 사장됐다가 

정글이 완전히 개편되면서 정글링이 힘들어서 더 이상 안쓰는듯 

하지만 시즌이 넘어가다가 다시 버프를 받았기 때문에 탑으로써 괜찮은 부분이 많다고 생각함 

헤카림은 트포를 코어로 가면서 쿨감을 이용한 지속적인 w의 피흡으로 한타를 해가는 방식인데

ad니달리와 비슷한 코어템을 올림

트포, 프하, 정령등이 체력보다는 스탯위주의 템들

니달리의 경우 힐, 헤카림의 경우 w로 피흡이 좋기 때문에 피통을 늘리기보다는 피1의 질을 늘리는게 훨씬 좋음


일단 라인전의 경우에는 헤카림의 1렙 라인푸쉬력은 예상을 뛰어넘기 때문에

라인을 밀고 qe를 찍은상황에서 부쉬를 이용해서 차지를 하고 eq평 넉백으로 이기적인 딜교환이 가능함

또 큐의 쿨타임이 상대방을 맞춰서 스택을 쌓을때마다 줄어들기 때문에

미니언에 몇번 돌린 다음에 상대랑 다이다이하는게 중요함

그리고 궁은 무조건 상대의 뒤로 쓰는게 맞음 내 라인쪽으로, 아군이 있는쪽으로 밀어내야되기 때문에 

상대의 뒤에 궁을 박아야됨


헤카림으로써는 상대 이니시를 받아쳐서 궁으로 상대 딜러진으로 진입하는게 베스트지만

그래도 필요할 때는 과감하게 궁니시 해주는게 좋음


한타시에는 e를 키고 달리면서 방금 언급했듯이 궁을 상대의 뒤에 박아야됨 

박으면서 이속이 충분히 증가된 e를 상대 딜러한테 쓰는 순간 w를키고 q를 막돌리면서 q평q평으로 평타를 터트리면 됨

일단 헤카림의 패시브가 이속이 증가할때마다 공격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e를 아슬아슬하게 까지 채우면서 상대한테

순간적으로 ewq를 하면 e증가 평타데미지 + 트포데미지 + q,w데미지가 들어가면서 미드나 원딜의 경우 빈사상태까지 

이르게 될수 있음 


헤카림의 특색이자 제일 op 스킬인 w는 범위 내에 초당 ap 데미지를 주면서 자기나 아군이 상대에게 데미지를 입히는것에 비례해서 자신의 체력이 차는데 언제 w를 키느냐? 가 헤카림이라는 챔피언의 숙련도를 나타내는거 같음

보통 e로 찍기 직전에 ewq로 자신의 e데미지 + q데미지로 자체 피수급을 하는게 제일 무난한데

우리팀 미드나 원딜의 진입타이밍을 볼수있는 능력이 된다면 w를 아껴놨다가 죽을듯 말듯할때 켜주는것도 좋음

왜 eqw가 무난하다고 하냐면 사실 나도 한타하다보면우리팀 뒷라인이 뭐하는지도 모르겠고 

언제 들어올지도 모르겠거든 적 딜라인 죽이기 바쁘기 때문에 하하..


w의 사기성이 드러나는게 우리팀 미드나 원딜의 진입각만 맞춰서 잘 키면 풀피가 됨

내가 경험했는데 트포 + 정령 + 헤르메스 + 자벨로 상대팀 아리랑 나 잡아봐라하다가 원딜과 서폿의 극딜로 

피가 한 200정도 되서 도망가는데 우리팀 카타가 들어오길래 w를 켰더니 카타가 트리플 악셀을 하는 순간 풀피가 됨

ㅇㄱㄹㅇ임

잘만키면 진짜 사기임 


28. 잭스 

 

Jax(잭스)


잭스는 예전에는 회피라는 시스템을 채용해서 

일정확률로 상대방의 평타를 무시하는 스킬이 있었는데

지금은 닌자의 신발에 평타데미지 감소가 붙어있지만 그 때는 회피율 상승이 붙어있었음

그래서 잭스가 닌탑을 가면 원딜이나 상대라이너의 평타를 다피하면서 일방적으로 때리는 장면이 많이 나왔었음

당시 블레이즈 탑라이너인 래퍼드 복한규가 이 잭스로 하드캐리하는 장면을 보여줬었음 

그 이후로 회피라는 매커니즘이 사라지고 잭스의 스킬 구성이 약간 바뀜


잭스는 근접챔 상대로 1렙이 강력함

상대 평타는 무시하고 자기는 평타를 치면서 데미지 + 스턴을 주는 듣기만 해도 정신나간 스킬을 가지고있음

이걸 잘 이용해서 카운터라고 불리는 레넥톤이나 많은 사람들이 힘들다고 하는 리븐과의 1렙 딜교환에서 

우위를 가져갈수 있고 이는 곧 라인전이 편해지고 6렙을 찍기가 수월해짐을 말함


잭스의 라인전 구도는 간단함 

파밍을 하다가 e와 w를 키고 딜교환 각나오면 큐로 추노 & 도주

e의 마나소모량과 쿨타임이 어마어마하니까 잘 생각하고 써야됨

궁을 찍었다면 미니언에 평타를 2번치고 궁을 발동시켜서 q w 평으로 톤즈 오브 데미지를 뽑아낼수있음

한타 구도에서는 e로 최대한 많은 적에게 스턴을 걸거나

원딜을 물때 e를 최대로 돌리면서 평타를 다 무시하고 들어가면 원딜이 아오 저 개 사기 스킬을 외치면서 

머리가 터지지 않기를 기도할꺼임


잭스의 사기성은 궁에서 드러나는데 

궁의 3타 추가데미지는 적 딜라인에게 공포스러운 딜량이고

궁을 키면 공격력, 주문력에 비례해서 방마방이 증가함

그래서 트포, 몰락만 나왔는데  궁과 높은 깡스텟 때문에 잘 안 죽으면서 딜은 쌔서 원딜을 미쳐버리게 만들었었음

그래서 궁의 추가 방마방과 깡스텟을 너프하면서 요즘 잘 안보이긴하는데

아직도 잭스의 후반 왕귀력은 딜탱포지션중 상위권에 있다고 생각하고

또 후반 스플릿 구도에서 1:1을 한다면 1위를 다툴정도로 뛰어난 다이다이 능력을 가지고 있음 


29. 아칼리

 

Akali(아칼리)


아칼리는 6렙이 되는 순간 진화하는 다이애나같은 챔피언인데

6렙전에는 계속 맞으면서 평타와 큐로 파밍만 해야하지만 6렙이후로는

확실한 킬각까지 노릴수 있을정도로 강력해짐


아칼리는 자잘하게 변경된 얘기를 안할수가 없는데 예전에 내가 아칼리를 처음 접했을때는

쌍패라는게 있었음 지금은 패시브가 변경되서 처음부터 추가 주문력과 생명력 흡수 효과를 받지만 

그 때는 주문력과 공격력이 일정량 이상 올라가야 패시브 효과가 발동했기 때문

룬과 특성을 전략적으로 맞춰 ad와 ap를 적정량 찍음으로써 1렙때부터 패시브 효과를 

두개다 발동시키는걸 쌍패라고 했었음

지금 생각해보니 추억돋네요


그 외에도 큐가 평타에만 터지다가 e에 터지게 바뀌고

w에 추가 방어력과 마법저항력이 붙어 있다가 자신은 이속증가, 상대는 슬로우로 스킬이 개편됐고

또 w에 시야를 주면서 wr로 벽을 넘을수 있게하는 자잘한 패치가 아칼리를 좋다라는 소리를 듣게 만들었음 

아칼리는 분명히 초반에 약하고 약점이 확실하며 리스크 있는 챔피언이지만  

한번 크기 시작하면 막을수 없는 힘을 가지고 있음 

라인전에서도 한번따이면 무한 솔킬각이 나와서 cs먹기도 힘들고 

한타에서도 한명 따이면 궁스택이 계속 1씩 차기때문에 정신나간 궁 사거리로 날아와서 다 죽이고 감 


하지만 이제 과거형임 우리는 그녀를 놓아줄때가 된거같음 

pbe가 그대로 적용된다면 아칼리의 궁사거리 너프에다가 q가 더이상 e에 안터지게 되는데

궁사거리 너프는 그렇다 치더라도 e를 줬다가 뺏어가는건 너무하다 다시 q평q평 해야됨 ㅠㅠ


제드도 사실상 너프가 확실시된 상황에서

쉔 아칼리 제드 케넨이 다 op에서 추락하는걸 보면

라이엇이 닌자를 싫어하나 봅니다..


30. 볼리베어
 
Volibear(볼리베어)
 
 
드디어 대망의 30이네요
이제 슬슬 손가락이 아프고
뭐라 써야될지 생각이 안나네요
음..

콜라곰은 일단 탑보다는 정글러로써 활약하는 모습을 더 많이 보여줬는데
w로 빠른 정글링을 할 수 있고 e공포로 인한 피관리가 가능하며
패시브로 인한 정글러끼리의 싸움 우위, 2:2 싸움 우위등의 여러 이유가 있었음
정글이 바뀌고 뚜벅이라는 한계가 더욱 부각되면서 점점 안쓰이게 되어 요즘은 보이지도 않지만
탑에서는 아직도 상대만 맞게 뽑으면 괜찮다고 생각함

리산이나 나르같은 개졸렬한 챔피언은 못이기니까 절대 선픽하시면 안됨
이 엿같은 졸렬한 챔피언들은 키보드에서 큐를 빼지 않는 이상 이길 수 가 없음
볼베는 서로 근딜이라는 가정하에 남자의 다이다이를 할 때 패시브와 qwe가 이루어져서 강력한 1:1을 할 수 있음
졸렬한 놈들은 뚜벅이라서 잡기가 너무 힘듬 그냥 상대보고 뽑으셈
궁은.. 궁은 왜 있는지 모르겠음 그냥 큐로 달려가면서 대충 키면 될듯 은근히 추가딜이 쌔기 때문에
사실상 가렌급 쓰레기 궁인거 같음

콤보는 대충 q(r) 로 달려가면서 e로 슬로우 걸고 넘긴다음 평펴ㅍㅍㅍ평펴평 하면서 w점화로 콰직!
하면 됨 w는 상대의 체력이 낮을수록 추뎀이 들어가고 쿨타임이 미친듯이 길기때문에 최대한 아꼈다가 
마지막에 넣어주면 됨

이렇게 라인전을 개 턴다음에 한타가면
나는 뚜벅입니다 나는 뚜벅입니다 뚜벅이라 행복합니다를 부르면서
큐로 뛰어가다가 상대의 카이팅 + cc기를 다 쳐 맞으면서 패시브로 어그로를 끄는 고기방패로 전직함
짤라먹기는 좋지만 한타 성능 자체는 좋지 않으니까 라인전에서 본 이득으로 템빨 한타를 하면 됨
그래도 다리우스나 모데카이져 보다는 좋으니까 만족하는 겸손한 태도를 가지자
하지만 역시 레드를 든 원딜러를 만난다면 날뛴다고 해도 미물인 곰이 총을 든 인간을 어떻게 이길쏘냐
영원한 슬로우 지옥속에서 죽을 것이노라 그러니 당신은 가시갑옷과 란두인을 빨리 뽑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31. 가렌

Garen(가렌)

가렌은 우월한 기본스탯과 패시브로 인한 좋은 라인 유지력
Q의 이속증가와 슬로우 제거 때문에 최하위권을 면하는 돌진능력을 가지고 있음

최하위권이 뭐냐고
음 이동기는 켜넝 이속증가기도 거의 없다고 봐도 되는 다리우스나 
그 다리우스 마저 부러워해야하는 진짜 아무것도 없는 모데카이져?

그나마 하위권의 돌진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q 하나만으로 혹독한 탑에서 살아남기는 힘듬
리산드라와 나르는 쿨타임 2초 대의 딜도 ㅈ같으면서 슬로우가 붙어있는 q를 쳐 날려대는데 
이 새ㅡ끼들은 키보드에서 q를 뽑지않는 이상 이기기가 매우매우 힘듬

가렌을 하다보면 마조히스트가 되는 느낌인데 맞을때 w를 쓰면 좀 덜아프니까 애용해주고
부쉬맨이라는 별명처럼 부쉬랑 친구가 돼야됨 이번에 버프배치로 라인전에서나 한타에서나 좋아진 패시브를 잘 이용해서
부쉬안에서 체력을 채우고 갑자기 튀어나가서 침묵걸고 믹서기로 갈아주자

한타에서는 가렌으로 특별하게 할수 있는 건 없고
q로 돌진하며 그냥 다 쳐맞으면서 w쓰고 버티다가
피가 좀 많이 빠졌다 싶으면 잠깐 전장이탈했다가
20초정도 기다리면 다시 풀피가 되니까 다시 들어가자
쟤 흡혈템도 없는데 왜 풀피야 패시브 개 op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가렌의 문제점은 명확함 뚜벅이라는 점은 챔피언의 특성상 그렇다 해도
바로 챔피언의 최종오의이자 궁극기인 r이 문제다

뭐가 문젠지 알아보자
같은 탑캐에다가 비슷한 궁극기를 가진 근딜러인 리븐,다리우스와 비교해봤음

가렌의 궁극기는 일단 계수가 없으며 300 - 400 정도의 기본 ap 데미지
상대의 잃은 체력에 비례해서 데미지가 올라가는 매커니즘을 가졌음

가렌과 비슷하게 상대의 잃은 체력에 따라 데미지가 증가하는 리븐의 궁극기는
평타데미지 강화, 사거리 강화가 패시브로 붙어있고 액티브 발동시 비슷한 기본데미지에 
높은 ad계수를 가졌고 거기다가 범위임

마찬가지로 가렌과 비슷한 단일 타게팅 딜링기인 다리우스의 궁극기는
ap가 아닌 고정 데미지에 높은 계수 그리고 상대를 마무리 했을때 쿨타임이 초기화되는 유틸성을 가졌음 

아무리 생각해도 이런 쓰레기같은 궁극기가 없음
솔직히 궁에 ad계수를 넣어주던지 시전시 타게팅된 상대방을 스턴걸고 주변을 슬로우 건다거나 
한명이라도 속박을 넣어바뀌는 궁 개편이 필요하다라고 생각함

32. 아트록스

Aatrox(아트록스)

아트록스는 어디서 많이 본거같은 3타 추가 효과나(잭스) 다시 살아나는 패시브(애니비아, 자크) 
를 적당히 섞어서 나온 잡탕 챔피언인데 
이 챔피언의 전성기는 초반 난전이 중요한 시즌 3 초기였었음
이 때는 역갱을 치든 갱을 오든 왠만하면 정글러끼리 탑이나 미드에서 2:2 싸움을 했기때문에
정글러로 기용되어 많은 활약을 했었음 그 이유는 단 하나 다시 살아나는 패시브 때문임 
챔피언 특성상 시간이 지날수록 힘이 빠지기 떄문에 정글템을 올리지 않고 
도란검 2개를 올리면서 초반에 힘을 더 싣기도 했었음
그 이후 전체적인 자잘한 너프를 받다가 2013년 10월 3.13 대규모 패치에서
e깡뎀이 40이 감소하고 패시브 공격속도가 너프되면서 완전히 관짝에 들어감

탑으로 쓴다면 이 답도없는 기본스탯을 w피흡으로 극복해야 하는데 
라인전 때는 평타를 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서 라인 유지력도 좋고 e로 견제도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럭저럭 괜찮은 라인전이 가능함
하지만 한타 구도에 들어가면? w로 피흡을 할려면 공속과 공격력을 올려야됨
몰락검과 히드라를 코어템으로 가야된다는 소린데 그러면 한타 구도 때 아마 큐로 날아가다가 죽을꺼임
그러면 탱템을 가면 되겠지? 그래봤자 q하고 r e 평타치고 죽을각임
다시 한번 살아나긴 하겠지만 살아나자마자 죽을 가능성이 큼

아트록스는 기본스탯이 답도없고 이것을 평타피흡으로 극복해라라는 느낌인데
이걸 너프시켜 놓으니까 탱으로 가도 답도 없고 딜로 가도 답도 없음
그냥 히드라나 먼저 뽑아서 스플릿 하는게 좋을듯
그래도 요즘 핫한 제드, 리븐한테 1:1로 못이기니까 사리면서 스플릿을 해야 됨
아트록스를 할 메리트는 딱히 없는거 같음 사람들이 안하는데는 이유가 있다는거 
그래도 챔피언 특성을 잘 살려서 게임하면 그렇게 못쓸정도는 아님

33. 올라프

Olaf(올라프)

올라프는 시즌 2때 탑 3대장이 였을때가 있었음 
모든 탑근딜의 대가리를 부셔버리는 올라프
때려도 귤로 체력채우고 총으로 cs만 먹고 궁으로 어시먹다가 갑자기 워트마 들고와서 후드려패는 갱플랭크
계속 이상한 좀비 쳐 소환해서 졸렬하게 견제하면서 피 채우는 요릭
이 세 챔피언 이였음
아아 옛 영광이여
이제는 셋 다 잘 안보이죠 그나마 선전하는게 갱플랭크 정도?

이 때 올라프는 보통 마젠을 올려서 초기화 되는 큐를 많이 던질수 있게 하고 쿨감을 올려서
e의 쿨타임을 짧게 하는 식의 템트리를 많이 갔었음
보통 현돌 하오골 빙하의 장막 점화석 정도 라인전에서 갖추고
현돌과 점화석을 슈렐로 하오골을 란두인으로 빙하의 장막을 얼어붙은 심장으로 올리면서
대자연의 가호와 블클(이 때 블클은 bf 상위템)을 코어템으로 뽑았었음

한창 좋을 때니까 블라인드 가서 탑이 올라프 미러전인 경기도 있었음
막눈의 랜턴 올라프 vs 건웅의 정석 쿨감 올라프
건웅이 다이다이해서 이겼지만 워낙 랜턴이 사기였던 시절이이여서 랜턴 올라프도 나쁘지 않았다고 생각함
이 이후로 막눈이 계속 뭐만하면 랜턴을 갸야한다면서 고통받음

본론으로 들어가면 올라프는 쿨감과 탱킹력을 올리는 원딜을 무는 탑솔러임
라인전에서는 큐로 상대를 느리게 하고 e로 찍고 w를 쓰고 평타를 치는 식의 딜교환을 하는데 
그냥 미니언 먹으러 오는 상대 머리 한번씩 찍어주면 됨 
한타구도 에서는 궁을 키고 cc기 면역상태에서 유체화를 쓰고 계속 
q를 던지며 고뎀인 e로 대가리를 내려찍으러 오는 올라프는 원딜에게 공포임

시즌 2 탑솔 3대장 이후로 약간 침체돼있다가 전체적인 상향으로 시즌 3 무상성 탑 원탑의 자리에 등극함
대회에서도 올라프 vs 럼블같은 구도가 많이 나왔었고 샤이와 썸데이의 불위를 걷는 기적같은 명장면도 나왔음

하지만 라이엇에 컨셉에 맞게 챔피언을 바꿈(그냥 너프한단 소리)
w에 붙어있던 체력비례 추가 공격력을 없애고 공격속도로 바꾸고
큐에 최소사거리를 만들고 데미지를 약간 너프한다음 e의 깡고뎀을 너프하고 ad계수를 붙임 
마지막으로 결정타는 궁 패시브의 방관을 없애고 궁 사용시 증가하는 방마방을 궁 패시브로 넣은거임
그러니까 궁을 쓰면 방마방이 감소함

??

컨셉에 맞기는 하지 광전사니까..
그래서 올라프는 한타구도에서 궁을 쓰면 더 빨리 죽지만 원딜을 물려면 cc기를 풀어야되는데
궁을 언제쓰지? 하는 딜레마에 빠지게됨

그 이후 초반에 w와 패시브 q의 쿨초기화를 이용한 강력한 1:1 정글러로 기용됨
극단적으로 이걸 보여준 때가 SKT 뱅기가 3도란검을 가면서 상대 라이너를 쌈싸먹는 경기가 나왔었음
하지만 올라프도 메타의 변경으로 인해서 벽을 못 넘는단느 결점이 너무 크게 느껴지게 되고 결국 안보이게 됨




------------------------------------------------------------------------------------------
그라가스 올라프 오공 트런들 피오라 갱플 나서스 요릭 초가스 다이애나 라이즈 리신 신지드
써돌라고 하셨는데 시간나면 쓰겠습니다.. 일단 여기서 마무리 할 수도 있어요 ㅎㅎ



열심히 작성했습니다

부족한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 지적해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닷


+ 추천 감사합니다! 

그리고 게임에서 잘 안보이는걸 적어달라고 하시면

제가 몰라서 쓸수가 없어요 ㅠ 랭겜에서 자주 보이는것만 정리해놓은건데 이해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