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초코보 서버의 부란다 라고 합니다

전문장인 기술 실전편 세번째글 시작합니다!

이번 영상과 테마는 지난 글들보다 더욱 재밌다고 느껴지네요 ㅎㅎ




===== 참고문 ====================================================

전문장인 기술에 대한 기초와 이해

전문장인 기술 실전 사용 가이드 - 1

전문장인 기술 실전 사용 가이드 - 2

전문 장인의 혼 사용에 관한 논의
===============================================================




※ 주의사항


제가 작성하는 전문장인의 실전글은 전문장인 스킬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과 변수에 따른

효율적인 스킬 사용법을 제시하고있으니

빠른 이해를 위해 1번글 부터 차례로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초기품질 0으로 제작하고 있는 환경에 따라 완벽에 가까운 제작공정을 추구하고 있기에

초기품질을 확보하고 제작하는 경우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아주 세부적인 사항까지 기록하고 있습니다

글이 상당히 난해할 수 있으니

실전편을 읽기 전, 먼저 전문장인 스킬을 다뤄보고 어느정도 이해도를 쌓은 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본 영상의 촬영에는 '보석공예가' 직업이 사용되었습니다

보석공예가의 경우 독창적발상 / 혁신 모두 사용 가능한 것도 있지만

특히 CP92의 능숙한땜질 1을 CP 88의 교묘한 손놀림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전체 제작직에서의 동등한 조건을 위해 혁신과 교손을 사용하지 않는 조건하에 제작하였으니

보석공예가로 제작시 혁신 / 교묘한 손놀림의 사용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1.  선 비레고 후 니메이아



아주 재미있는 예시의 공정이네요!

2번글까지만 대표적으로 나오는 경우라 했는데 이번 영상도 자주 나오는 상황입니다




주요점은 능땜2이후의 안솜2가 지난 구간

내구도가 20인상태에 장인의 손재주가 8/8로 조건이 만족된 상황입니다

통상의 경우, 장인의 손재주를 사용했다면 노동요 스택이 3배수 +2인 8로 고정되어가기에

능땜1 + 니메이아의 물레를 사용하여 내구도를 70으로 회복하여 마무리작업을 시작했겠지만

성손이 터져 아직 장인의 손재주를 사용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이런 경우엔 능땜1 안솜2 장인의 손재주 사용이 강요되어 이 순서대로 제작을 진행하게 됩니다



 

중요한 점은, 능땜1 안솜2 장인의 손재주를 입력하고 나면

남은 CP가 92라 마무리작업에 필요한 CP 확보에 실패하게 됩니다

지금까지의 글 모두 니메이아의 물레 이후 작업을 시작한 만큼, 필요한 최소 CP를 계산하면

니메이아의 물레 (18) + 안정된 솜씨 1 (22) + 장족의 발전 (32) + 비레고의 축복 (24) = 96

고품질이 떠서 CP를 회복하는데 성공했다는 기대는 하지않는게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가지고있는 CP내로 마무리작업을 성공하려면

안정된 솜씨 횟수를 줄이기 위해 니메이아의 물레를 사용하기 전 장족 비레고를 사용합니다

마침 CP도 92라 내구도 40 안솜버프 4회가 남은 상태에서

성손 - 가공[18] - 장족[32] - 비레고[24] - 니메이아의 물레 [18] - 모범작업 - 성손 - 모범작업

으로 모든 CP를 사용하여 작업을 끝내는데 성공합니다


니메이아의 물레를 사용하고 나서 여유되는 내구도는

이미 CP가 없는 상태이기에 안솜없는 깡성손을 사용하여 작업을 마무리해주시면 됩니다




2. 선비레고 후니메이아 2




지난 1,2번째 글에서 노동요가 3배수 +1 스택일 경우

니메이아의 물레를 마지막까지 남겨두어 비결-보작 연계CP회복 + 니메이아 효과 상승을 노려보는 방법을 많이 보여드렸습니다

하지만 그 경우는 모두 니메이아의 물레 이후 마무리 작업을 진행하는 데에 중점이 되어있기에

능땜1 [92] + 안솜2 [25] + 니메이아의 물레 [18] + 안솜2 [25] + 장족 [32] + 비레고 [24]의 진행으로

CP가 최소 216은 확보되어있을 때 사용하던 방법이었습니다

이번엔 선비레고 후니메이아를 사용하여 안솜2를 1회 줄이는 것으로

CP 191에서부터 능땜1을 밀고나가는 방법입니다




이번 공정에선 정집스택이 잘 쌓여서 100%는 이미 확보되었으나 이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능땜2 안솜2 이후 보유 CP는 200+작요1로 총 208

기존 능땜1 안솜 니메이아 안솜의 마무리에 필요한 CP는 부족하며

그냥 니메이아의 물레를 사용해 바로 마무리작업을 시작하면

모범작업 - 니메이아의 물레 - 안정된 솜씨2 - 독창적발상1 - 가공 - 가공 - 장족 - 비레고 - 모범작업

으로 가공스킬을 사용할 여유가 2회밖에 없지만

능땜1을 넣는대신 선비레고 후 니메이아의 방법을 사용하면

능땜1 - 안솜2 - 성손 - 성손 - 성손 - 장족 - 비레고 - 니메이아의 물레[4스택 20회복] - 깡성손 - 깡성손 - 모범작업 - 모범작업

로 품질의 기댓값이 커집니다


니메이아의 물레 이후 사용되는 성급한 손길은 비결을 통해 CP를 더 회복해놓지 않은 이상

안솜없는 성손을 사용하게 되어 아쉬운 부분입니다

따라서, 부족한 작업량을 채우기위한 모범작업은

니메이아의 물레 후에 사용하는 것으로 안솜구간의 가공횟수에 손해를 보지 않도록 합니다


영상에서는 능땜1를 사용하면 내구도가 60으로 회복되어

내구도 50기준 마무리작업인 안솜2 가공스킬3회 장족 비레고를 사용해도 내구도 여유가 10 남으며

노동요가 3배수 +1스택이어서 모범작업을 사용한 후 나온 고품질로 기존의 마무리작업을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이기에

모범작업을 먼저 사용하는게 효율적인 부분이었습니다




3. 내구도의 흐름








이번 영상도 내구도의 흐름이 정말 재밌는 영상입니다

초반 견맘구간이 6스택까지 떨어져 오버CP회복을 방지하기위해

6스택 모작 - 능땜1 - 보람찬작업으로 미리 CP를 소모해두었습니다

따라서 내구도 70상태에서 다음 능땜2 사용을 위해 내구도를 10 만들 필요가 있고,

안솜2 - 가공스킬5회 + 모범작업 1회 이후 능땜2를 사용하는 진행이 가장 효율적인 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변수가 생기는데, 바로 장인의 손재주가 3스택에서 사용되어 모범작업의 여유가 없어지고

노동요 스택이 3 미만으로 내려간 상태인 것입니다

즉, 여기서부턴 능땜2와 니메이아의 물레 순서가 뒤바뀌어 니메이아를 먼저 사용해야 하고,

모범작업을 사용한 내구도 조절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이후 능땜2를 사용하기 위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내구도를 10으로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저번 두번째 글에서 강조했듯이, 내구도 계산을 하시면 됩니다


내구도가 60이상인 안솜2구간에서 가공스킬만을 사용하기 위해

보람찬작업을 사용하지 않지만 이번엔 바로 보람찬 작업을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남은 안솜버프 2회로 가공 2회 - 내구도 30

내구도 30인 상태로 노동요2스택 니메이아를 사용해 내구도를 60으로 회복

안정된솜씨2 사용후 가공스킬 5회로 내구도 10으로 만든 후 능땜2 사용, 내구도 70회복 후 마무리작업 시작


사용하지 않을 예정이었던 보람찬 작업이었지만 변수가 들어온 상황에서 사용함으로서

내구도가 아주 효율적으로 딱딱 들어맞아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4. 내구도의 흐름2




비슷하기도 하고 지난 영상에서도 흐름이 같은게 있었던 것 같기도 하네요

6스택 모작 능땜1 보람찬 작업으로 능땜1을 미리 사용했지만

고품질이 많이나와 CP가 상당히 많이 확보되어 2스택 니메이아의 물레를 사용함과 동시에

능땜1을 또 한번 더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기에 내구도10 - 70으로 회복 - 내구도 10 - 70으로 회복 사이클을

두번 굴린 공정입니다

이렇게 공정이 길어질 경우 작업요령이 한번 더 사용될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이번 실전편은 여기까지!

두번째 글정도면 충분하다 생각했는데

제작하다보니 자각하지 못했던 여러 경우들이 많이 나오네요!

선비레고 후니메이아 처럼 집중가공보다 더 가치있는 비결이라던가 등등 여러 예시가 떠오르니

글감이 많이 생겨 기분이 좋아졌습니다 ㅎㅎ

그럼 계속해서 따라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