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가 내년 초 조직개편을 통해 중국국(가칭)을 신설하기로 내부 결정한 것으로 파악됐다. 10일 외교 소식통은 “중국 외교의 중요성이 커지고 업무가 늘어남에 따라 외교부 내 중국 업무만 따로 다루는 국 단위의 조직을 신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소식통에 따르면 행정안전부와 직제 개편을 위한 논의도 어느 정도 마무리됐다. 기획재정부의 큰 반대가 없는 한 이르면 내년 1월 새 조직을 만든다는 복안이다. 개편안에 따르면 ‘중국국’은 중국과 대만, 홍콩, 마카오 등 이른바 중화권 지역 국가를 전담하게 된다. 현재는 동북아시아국에서 2개 과가 맡았던 업무를 국 단위로 격상해 운영하는 방안이다. 그런데 외교부에서 사실상 한 개 국가 중심으로 운영되는 조직은 미국 업무가 중심인 북미국이 유일하다. 이 때문에 외교가 안팎에서는 “중국국 확대 개편은 북미국에 버금가는 수준의 격상”이라는 말이 나온다. 다만 특정 국가의 이름을 붙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보고 정확한 명칭은 조정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동북아시아국 내 동북아 1과가 맡았던 일본 업무는 인도·호주 지역 업무와 합쳐져 별도 국으로 운영된다. 기존 동북아시아국이 중국 관련 업무로 독립 편성되면서, 떨어져 나온 일본 업무와 서남아시아태평양국의 인도·호주 업무가 하나로 합쳐진다는 뜻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일본·인도·호주 등 다자외교를 강화하기 위한 조직개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국’ 신설의 필요성은 대중 외교 업무의 비중이 커지면서 꾸준히 거론돼 왔다.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 갈등 등 한·중 간 외교안보 현안이 중요시되고 무역 거래 1위인 만큼 경제 문제의 비중도 어느 때보다 커졌기 때문이다. 특히 올 들어 북·중 관계 등 대중외교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주베이징 한국대사관을 중심으로 전담 국 조직 신설과 인력 확충 요구가 계속됐다고 한다. 하지만 중국국 신설이 계획대로 될지와 관련해선 여전히 변수가 있다. 일단 정부 내부적으로도 다른 부처의 반발 가능성이 있다. 외교부에만 국 신설을 허용해 준다며 정부 부처들이 반발할 경우 행정안전부로선 부담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