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로서는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북미정상회담 이후인 3월∼4월 중 이뤄질 것으로 점쳐진다. 김 위원장이 3·1절 100주년 기념식에 맞춰 답방할 수 있다는 예측도 있었으나 북미정상회담 일정을 고려하면 너무 촉박하다는 지적이 나오며, 이에 따라 3월 중순∼4월 사이가 합리적인 답방 시기라는 관측이 자연스럽게 힘을 얻고 있다. 다만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에 대한 질문이 나올 때마다 "지금은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이 우선"이라며 답방 관련 논의는 이뤄지지 않는다고 선을 긋고 있다. 여기에는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 및 의제 역시 2차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연동될 수밖에 없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만일 북미 협상이 제대로 진전을 보지 못할 경우, 김 위원장이 서울 답방에 대해 느끼는 부담 역시 커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대북제재 문제에 대해 북미가 평행선을 달린다면 남북 정상의 논의 폭도 상당히 좁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 경우 김 위원장의 답방 논의도 지지부진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따른다.








청와대 관계자는 20일 연합뉴스 통화에서 "북미정상회담에서 좋은 협상 결과가 나와야, 이를 바탕으로 남북관계 개선 행보 역시 탄력을 받는 것"이라고 짚었다. 이 관계자는 "물론 북미 협상이 제대로 성과를 못 내더라도 교착 국면을 타개하기 위해 남북 정상의 만남을 앞당겨야 한다는 얘기가 나올 수는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그런 변수들을 모두 고려하기는 어렵다"며 "지금은 답방 문제보다는 북미 간 이견 조율에 초점을 두는 것이 맞다"고 부연했다. 나아가 이번 북미 간 협상 진전을 바탕으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속도를 다시 끌어올린다면, 집권 중반기를 맞은 문 대통령의 국정 장악력을 확보하는 데에도 보탬이 되리라는 기대감이 청와대 내부에서 번지고 있다. 대북정책에 대한 보수 성향 야권의 공세를 누그러뜨리며 평화체제 구축에 국력을 모아가는 계기로 삼을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