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총리는 4일 연설에서 1차 세계대전 전후 처리를 위해 열린 1919년의 파리강화회의에 일본 대표로 참가한 마키노 노부아키(牧野伸顕)를 거론하며 “새로운 시대의 원칙으로 인종평등을 주장했고, 당시 전세계에 유럽의 식민지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그 제안은 각국의 강력한 반대를 받았지만, 마키노는 결코 겁을 먹지 않고 의연했다"고 했다. 일본을 '반 식민주의와 반인종차별의 주창국'으로 묘사한 것이다. 고이케 서기국장은 이 발언에 대해 “아베 총리는 일본이 식민주의에 반대한 것처럼 말했지만, 1919년이 도대체 어떤 해냐. 불법부당하게 병합했던 한국에서 그 해에 일어난 3·1 독립운동을 무력으로 탄압했다”며 “일본이 식민주의에 반대한 것처럼 말하는 것은 역사를 일방적으로 왜곡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런 주장을 총리가 ‘중요한 이웃’이라고 칭하는 한국의 정부와 국민이 이해할 것으로 보느냐”고 추궁했다. "한국은 중요한 이웃"이라면서도 한국에 한일관계 악화의 모든 책임을 돌리는 아베 총리를 비판한 것이다. 고이케 서기국장은 “오부치 게이조 전 총리는 1998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 맺은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에서 식민지 지배에 대한 통렬한 반성과 사죄를 말했는데 총리는 이것을 이어가고 있는가”라며 “역사적으로 자민당이 해왔던 식민지 지배에 대한 반성을 총리가 내던지는 듯한 태도를 보이는 것이 한일관계 악화의 근저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식민지 지배에 대한 진지한 반성이 전제돼야 양국간 현안 해결의 길이 열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호된 추궁을 당한 아베 총리는 답변에서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등 역사 인식에 대한 역대 정권의 입장을 전체로 계승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했다. 아베 총리는 태평양 전쟁 패전 70주년을 계기로 2015년 발표했던 담화를 거론하며 “아베 내각의 역사인식은 담화에 있는 대로”라고만 했다. 그러면서 “누차 말했지만 정치가는 역사에 대해 겸허해야 하며, 역사가나 전문가에 맡겨야 한다”고 했다. “한일관계 악화의 책임이 아베에 있다”는 고이케의 주장에 대해 아베 총리는 “일·한관계의 근본인 (1965년)청구권협정의 위반 상태를 방치하는 등 신뢰관계를 해치는 행위를 계속하고 있는 한국에 대해 먼저 국제법에 기초해 국가와 국가간 약속을 준수하도록 요구한다”고 했다. 한·일관계 악화의 책임이 자신이 아니라 한국에 있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