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중요한 두 가지 대전제부터 정하고 가겠습니다. 
 1. '플라스틱은 제조-사용-처리-폐기 그리고 재활용을 포함한 모든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할 소지가 매우 높다.'
 2. 이 글에서 '줄인다' 라는 표현은 '실생활의 불편이 오는 수준까지는 줄여야한다.' 라는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1번 대전제는 사실 이미 너무 많은 연구사례가 있습니다.



제일 중요한 건 플라스틱은 재활용을 하더라도 온실가스 감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고 
이는 연구를 통해 입증 및 검증된 사실입니다.

사실 과학자가 100%, 전혀, 완전히 같은 확정적인 말을 쓰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인데도, 오죽하면 결론에서
'Recycling of plastic waste for substitution of other materials such as wood provided no savings with respect to global warming.(목재를 비롯한 다른 물질을 대체하기 위해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것은 지구온난화에 대해서는 절감효과가 없다.)' 라고 대놓고 말하고 있으니까요.

이제 이야기를 시작해보겠습니다.
저를 포함한 우리 모두가 플라스틱 사용을 아껴야 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돈' 때문입니다. 

여러분도 들어보셨겠지만 현재 국제사회에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2가지 국제협약이 있습니다. 
'교토의정서'와 '파리협약'인데 우리나라는 현재 둘 다 참여중입니다.
교토의정서는 사실 뭐.......네 솔직히 망한 의정서니까 제끼겠습니다.
하지만 파리협약은 다릅니다.
미국을 제외한 200 여개의 나라(탄소배출량 총합 90%)가 참여 중인 중요한 국제협약입니다.
그리고 2016년 11월 4일 부터 실질적인 구속력이 있는 국제법의 지위를 가지고 있죠.
그래서 매년마다 파리협약을 이행하기 위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가 열리고 있습니다.

이 협약이 중요한 포인트는 2가지입니다.

1. 각국은 스스로 국제사회에 감축량을 정해서 발표해야하며, 그 이행여부를 국제사회에게 검증받을 의무가 있다.
2. 유엔기후변화협약에 의한 6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전면 시행.

1번을 공식적으로는 국가자발적기여(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s)라고 부릅니다.
우리나라는 협정 당시에 온실가스 배출 총량이 세계 7위였고,
2030년까지 전망치 대비 37%의 온실가스 감축을 NDC로 삼았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보수정부, 진보정부 가릴 것 없이 NDC는 커녕 최악의 수준으로 치솟고 있습니다.
아까 위에서 했던 말 기억 나십니까? 
'그 이행여부를 국제사회에게 검증받을 의무가 있다' 그리고 '실질적인 구속력이 있는 국제법' 
그렇기 때문에 NDC를 못 지킨다면 정말 곤란한 상황이 올 거라는 건 굳이 모두 짐작하실거라 생각합니다.

거기에 더해서 돈을 계속 내고 있습니다. 바로 탄소배출권 제도 때문에요.
이 탄소배출권 제도를 우리나라는 2015년부터 도입하기로 약속했습니다.
배출권 거래제라고 부르는 이 제도는
온실 기체를 감축할 의무가 있는 기업, 혹은 국가끼리 배출량을 거래 할 수 있게 허용한 것입니다.
즉 대한민국 정부가 주체가 되는 게 아니라 대기업, 중소기업 각자가 감축 의무를 가지고 있는거죠.
물론 우리나라는 배출권 거래시장에서 아주 훌륭한 흑우입니다.



배출량은 17억 7천만톤, 거래가격은 대략 2만2천~2만3천원 수준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지금 시세는 4만원을 넘었습니다.
배출권 거래는 2015년에 도입되었는데, 당시 기업들은 죽는다고 난리였습니다.


물론 지금도 말이죠.


이래저래 써놨습니다만, 기업들의 요구는 간단합니다.
해외에서 사달라는 겁니다. 
박근혜 정부의 계획이 10년간 8조8000억~17조6000억원을 외국에 더 주고 탄소배출권을 사오는 거였거든요.
그리고 그게 이번 정부에서는 취소되었거든요. 때문에 기업들은 8조~17조원 어치만큼의 탄소배출량을 줄여야하는거죠.
덧붙이자면 8~17조를 정부가 사오더라도 기업에게 팔 때는 그보다 싼 가격으로 팔아야합니다.
네 그 차액만큼 국민세금이 나가는거구요.

물론 2015년부터 지금까지도 정부는 배출권을 사와서 싼값에 되파는 지원정책을 해주고 있긴합니다.


결론은 간단합니다. 
덜 쓰면 덜 쓸수록 배출권에 드는 비용은 줄어듭니다. 그리고 그만큼 정부가 들이는 예산도 줄어들 수 있구요. 
올해부터 시행된 자율포장 정책도 마찬가지 이유에서입니다.



이마트가 이 정책에 적극적으로 협조한 것도 '비닐테이프 사용량 = 탄소배출량 = 돈' 이라는 공식이 있었기 때문에 
협조한 것도 있구요.
여러분의 돈을 위해서라도 일회용품 사용 줄이셔야 합니다. 자동차는 말할 것도 없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