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정부가 환경오염을 방지한다는 명목 하에 경유 유류세를 23%, 휘발유 유류세를 무려 15% 인상하겠다고 밝힌 것이 시위의 발단이 됐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파리 주민은 부담이 덜할지 몰라도, 어마어마하게 높은 파리의 집값을 감당하지 못하는 대다수 저소득층은 파리 외곽에서 통근을 위해 자가용이 필수품이라, 유류세 인상이 된다면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유류세는 대표적인 역진세로, 세금을 높인다고 해서 소비를 줄이기 어렵기 때문에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조세부담이 강해진다. 즉 환경보호라는 명목으로 힘없는 저소득층에게 세금부담을 지운 셈이다. 대신 디젤차를 전기차로 바꿀 경우 보조금을 지급하겠다고 당근을 제시했으나, 당장 기름값에 일희일비하는 서민들에게 전기차 구입은 언감생심일 뿐이고, 전형적인 탁상행정에 불과했다. 

그러나 유류세 인상은 분노가 촉발된 계기일 뿐, 마크롱의 친기업 정책이 야기한 빈곤과 불평등으로 누적된 불만이 진짜 원인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실제로 이번 운동에서는 마크롱 정부에 대한 깊은 불신과 지지 철회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마크롱은 중도주의를 표방하며 정치생활을 했지만, 실상은 장관을 했던 올랑드 대통령 시절부터 경제적으로 우경화 정책을 이끌었고, 취임 이후부터는 본격적으로 부자들을 지지하는 발언과 행보를 이어왔다. 그런 상황에서 직속 측근 보좌관인 베날라가 노동절 시위현장에서 직접 경찰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시위자를 구타하는 영상이 찍히는 베날라 스캔들이 터지면서 그 비판이 더욱 커졌다.

특히 마크롱 정부는 고소득층에게 주로 적용되는 부유세와 자본소득세를 대폭 감세를 해줬는데, 저소득층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유류세를 대폭 증세시키면서, 저소득층의 불만을 자극한데다가 더 나아가서는 공공부문개혁을 진행하면서, 대규모 공무원 감축을 진행함에 따라 공무원 노조의 엄청난 반발을 불러왔다.

결과적으로 유류세 증세에 대한 저항을 시작으로, 복지감축 등에 영향을 받은 빈곤층과, 직접적인 개혁으로 일자리를 하루아침에 잃게 생긴 공무원들, 부유세와 자본소득세 감세로 인해 부유층만 혜택을 보는 현실에 절망한 중산층까지 마크롱 정부에 대한 비난여론에 합세하게 되었다. 결국 마크롱 정부는 빠르게 지지율이 떨어지고 있으며 결국 20%대까지 곤두박질친 상태다.


미국은 지금 리터당 770원이라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