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본인의 파티기준인 권검역기 조합에 맞춰서 서술되므로 조합이 다르다면 변형을 시켜서 적용해야함을

미리 알려요.

 

 

1. 공통

 

 1. 물약은 충분히 준비하세요. 4대던전 중 가장 까다로운만큼 많은 물약이 소모됩니다. 수정난풀회복약 뿐만 아니라

    비상용으로 수정난풀 등급이 아니어도 좋으니 즉시회복약을 10~20개 가량 들고다니면 아주 좋아요.

 

 2. 언제나 피통의 80%이상을 유지하세요. 독뎀이 많이 들어오는 던전이에요. 2중첩이상이면 무조건 물약 먹는거에요.

    자수정&피흡스킬로 채우면 되겠지하다가 훅가면 너님이 해야할 고생의 몫을 남은 3명이 해야되요.

    최소한 1인분의 역할은 수행해야되요.

 

 3. 음성대화 또는 별도의 톡을 이용하면서 공략에 들어가면 굉장히 좋아요.

 

 4. 3번이 적용됬다면 전멸을 하더라도 서로 독려하면서 응원해줘요. 던전자체가 지랄맞아서 정공에 익숙해지려면

    시간이 좀 걸려요. 자기만 짜증나고 힘든거 아니에요.

 

 5. 기공이 결빙공을 찍었다면 독틱이 들어왔을때 결빙공을 사용하면 독을 바로 해제할 수 있어요.

    그렇다고 물약안먹으면 안되요. 항상 80%이상 유지하세요.

 

 6. 포화란을 대비해서 폭염을 버리고 화폭을 찍는 추세긴한데 폭염찍으세요. 화폭 찍었다고 바로 쓸수있는거 아니에요.

    화폭도 튕기기 제대로 할려면 연습좀 해야되요.

 

 7. 기공, 소환사, 암살자 세캐릭은 다운합격기가 설치형인건 다들 알고있을거에요. 그렇다고 안쓰면 안되요.

    세캐릭의 설치형 합격기는 보험용이에요. 다운이 필요한 패턴에 바로 같이 터트릴수있게 신경써서 깔아주세요.

    너님이 안깔고서 합격기 삑나서 전멸하면 너님도 책임이 있는거에요.

 

 8. 반숙따윈 존재하지 않아요. 반숙이라고 귓말오면 팔독모 3페이즈 패턴물어보세요. 반이상 모를거에요.

    헤딩팟이면 모르겠지만 클리어를 원하는 팟이라면 "반숙인데 받아주세요" 보다 " 몇번 클리어해봤느데 괜찮을까요"

    를 선택하세요.

 

 9. 어느 던전이든 가장 고생하고 물약소모가 가장 많은 이는 탱을 맡는 유저에요. 물약지원은 못해주더라도 언제나

    존중해주세요.

 

 

 

 

2. 삼점거미

 

 1. 일단 탱에게 패턴파악할 시간을 주세요. 1넴과 쫄이 혼돈이처럼 독을 뿜어요. 맵의 절반을 뒤덮어도 괜찮으니 맵을

    넓게 활용하고 탱은 살아만 있으면 되요. 탱만 살아있으면 남은 3명이 돌아가면서 운기를 하는 상황이 와도 클리어

    할 수 있어요. 피통의 절반가량을 탱혼자 뺀다고 생각하면 되요.

 

 2. 2마리씩 2타임 위에서 쫄이 내려와요. 하나는 역사가 장악으로 빼오고, 다른 하나는 기공의 흡공으로 땡겨서 혼절

    시켜서 한쪽에 짱박고 장악쪽에 합류해서 다굴쳐요. 쫄이 독을까는 모션을 파악했다면 그 모션만 끊어주면 되지만

    그렇지않다면 검역기 세명이 돌아가면서 다운,그로기,스턴 등을 이용해서 잡아주면되요. 잠깐잠깐씩 쿨이 안맞는

    순간이 오지만 괜찮아요. 기공의 흡공이 있잖아요. 하나를 잡았다면 짱박았던 다른 한마리도 같은 방식으로 잡고

    1넴딜에 합류하면 되요. 쫄의 피통이 5만이 넘어가기때문에 시간이 좀 걸릴거에요.

 

 3. 삼점거미의 패턴을 파악했다면 점프를 합격기로 끊어가면서 딜을한다면 조금 더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어요.

 

 4. 2번의 내용을 2회 반복하면 1넴이 죽어요.

 

 

 

 

3. 염낭거미

 

 1. 역시 탱에게 패턴파악할 시간을 주세요. 1넴과 다르게 독을 네임드만 깔고 쫄은 거미줄을 뱉어요.

    중간중간 네임드가 알을 까러가요. 뜬금없이 얘가 이동하면 당황하지마세요. 리셋된거 아니에요.

    거미줄은 데미지가 가끔 한번씩 들어오는데 무시할만하지만 데미지보다 중요한것은 거미줄 위에서 딜을 하면

    내구도의 포풍하락을 불러올거에요.

 

 2. 1넴처럼 2마리씩 2타임 쫄이 내려와요. 독이 안깔리기때문에 쫄은 2마리를 한번에 몰아잡아요. 1넴에서의 방법과

    같은 방식으로 역사와 기공이 하나씩 잡고 한지점에 몰아넣고 3명이 돌아가면서 다운,그로기,스턴을 활용해요.

    중간에 네임드가 알을 까러간다는 콜이 들려오면 기공은 바로 네임드쪽으로 달려가서 알을 뽀개야되요.

 

 3. 2번의 내용을 2번반복하면 2넴도 죽어요.

 

 

 

 

4. 팔독모

 

 수많은 이들의 멘붕을 불러왔던 바로 그몹이에요. 보스방에 들어서자마자 깜짝 놀랄거에요. 피통이 무려 50만이에요.

 50만을 390초 안에 까야된대요. 근데 전멸스킬이 하나, 맞으면 전멸에 준하는 스킬이 또 하나 있어요. 시발...

 

 1. 1넴과 2넴은 탱을 보는 유저만 패턴파악을 하고 진행해도 무방해요. 하지만 팔독모는 파티에 속한 4명의 유저가

    모두 팔독모의 패턴을 읽을 줄 알아야되요. 지금까지 올라온 수많은 공략에 패턴이 자세히 올라왔으니 그 패턴을

    숙지하고 그에 상응하는 모션을 바로바로 읽어낼때까지 딜에 신경쓰지않고 패턴과 모션파악에 주력해요.

    간혹 "아.. 귀찮게 왜 이런걸 해야되나 다른사람이 다 알아서 톡으로 불러주겠지." 라는 생각을 하는 유저가 있을

    지도 몰라요. 너님이 속한 파티는 클리어할 확률이 10%도 안되니 공략을 포기하든가 패턴을 익히세요.

    패턴과 모션을 일치시키는데 몇시간이 걸려도 상관없어요. 이게안되면 클리어가 안되요.

    만약 모션을 일치시키고 파티가 쫑났는데 다음날 그팟이 다시 결성이 된다면 그팟은 그날 클리어하는거에요.

 

 2. 기공,소환사,암살자는 2타 이후 전멸기를 대부분 다운합격으로 맞추기에 2타 모션을 보면 팔독모 옆에 미리 설치를

    하세요. 파티를 짜고 던전에 입장하는 순간 너님도 합격기를 넣어야될 의무가 있는거에요.

 

 3. 역사의 장악, 권사의 제압때문에 전멸기가 랜덤으로 발생한다는 소문이 있어요. 개소리에요. 비웃어주세요.

    합격기가 들어가는 타이밍은 전멸기를 시전하려는 행동을 취한 다음이에요. 모션이 들어가는것을 항상 확인하고

    합격기를 발동시키세요.

    페이즈 전환후 내려왔을때 바로 셀프장악은 절대 금물이에요. 내려와서 시작하는 모션을 보고 패턴파악 후 합격기

    싸이클에 맞춰서 장악해주세요.

 

 4. 점프패턴은 과반수 이상을 기공을 보고 뜁니다. 타이밍을 잘재서 전신보로 피하거나 뛰는거보고 SS로 피하세요.

    3페의 흡공은 거미줄을 밟고 있거나 가장 멀리있는 사람을 땡기는데 그냥 기공이 끌려간다고 보면 얼추맞아요.

    돌진다음에 흡공이 나오니 돌진모션이 끝나는 것을 보고 결빙공을 쓰면 얼어있는 기공이 끌려가요.

    얼어있기 때문에 데미지가 들어오지않아요. 팔독모를 보고 ㅋㅋㅋㅋㅋ 하고 비웃어주세요.

    하지만 항상 기공이 끌려가는것은 아니니 기공사는 흡공이라는 말이 들리면 얼꽃을 써주세요.

 

 5. 자잘한 팁

  

   - 시작할때 탱을 제외한 모두가 화방을 들고 알을 녹이고 시작하면 편해요. 한명은 2넴방에서 가져오는게 좋아요.

      알이 사라지면 화방을 바로 버리세요. 화방들고 딜을 하겠다면 너님때문에 타임어택 걸리는 거에요.

      페이즈전환때 사용할 화방을 위해 화방이 젠된것을 보고 출발하는것이 좋아요.  

 

   - 페이즈 전환 타이밍에 알을 화방으로 나오자마자 녹여버리면 독을 쏘지않고 알만 던지고 내려와요.

      미리 파벳을 정해두고 그사람은 올라가는 피통을 잘 파악하고 미리 화방을 가져오면 딜하는 시간이 조금더 늘어요.

      타이밍이 좀 늦었다면 독3번 쏘고나서 알을 녹이세요. 급한맘에 화방질하다 독에 뻗으면 첨부터 다시가야되요.

 

   - 25일 패치로 보스급은 이속감소에 내성이 생겨서 돌진을 빙백으로 항상 묶어두는것이 불가능해요. 내력수급을 위해

     한기스킬 운용했는데 내성시간에 돌진이 나오면 어쩔수 없는거니까 기공유저는 자책감 가질 필요는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