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초코보 서버의 부란다 라고 합니다 [20분만에 바꾼 룩자랑]

제작의 여러 팁글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제작 사이클글이 많지만

지속적으로 공정이 변화하는 난잡한 상황에서의 대처법이라던가...

아주 세부적인 상황 관련 글이 없는 것 같아서 사소한거 몇가지를 먼저 들고와봤습니다


본문의 노동요관련 일부 팁은

견실한 마음 - 노동요 - 능땜2 - 장인의 손재주 - 독창적발상을 사용하는

제 제작 사이클 기준에서의 팁입니다

자신이 굴리는 사이클의 시점으로 읽어주세요!






1. 시작 견실한 마음 사용후 고품질이 떴을 때, 노동요를 사용하면

스택이 1 깎인 10스택의 노동요 버프가 부여됩니다

비결을 사용하지 말고 노동요를 사용해주세요

(팁으로 몇번 올라온거 같은데 모르고 계신분들이 몇몇 있더라구요)


2.


견맘이 18스택 부여되는 3성 제작에서

비결 사용으로 인한 공정변화가 없으면 정신집중 이후 안정된 솜씨와 작업요령의 회수는 2차이가 나게됩니다

지속적으로 성급한 손길을 사용한 결과

작업요령의 효과가 종료되고 내구도 20에 안정된 솜씨2 가 2회 남은 상황

여기서 성손을 사용해도 남은 1회의 안솜은 무용지물이지만

이 구간에서 작업요령을 리필할 경우 마지막 남은 안솜으로 품질을 높일 때

'고품질을 통한 집중가공'을 노려볼 수 있게됩니다



또한 이 타이밍에 노동요가 369를 이루었다면

보람찬 작업을 먼저 넣음으로서 다음 고품질을 노려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 공정에서 보람찬 작업을 사용하면 정집 / 노동요 스택이 3 / 5 가 되는데

보작 이후 고품질이 나오면 서로의 스택을 3 줄여주는 집중 가공이 아닌 일반적인 '가공'을 사용하여 4 / 4로 맞춰주어

작업요령 -> 능땜2 -> 안솜2 이후의 장인의 손재주를 노려보시면 됩니다

결과적으로 작업요령 / 보람찬 작업을 적절히 사용하여

안솜 버프의 효과를 모두 봄과 동시에 내구도를 10 만드는걸 목적으로 공정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3. 



공정이 초반부터 고품질도 잘나오고 성손도 깔끔하게 들어가서

정집 스택도, CP도, 작업량도 우수할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은 능땜2를 사용한 직후의 모습인데

스펙이 높을경우 순조로운 상황에서 안솜2 - 가공 - 가공 - 가공 - 가공 후 니메이아의 물레 - 모작의

무식한 연가공으로 가볍게 100%가 나올 수 있습니다

굳이 성손을 때리지 않아도, 이 시점에선 이미 확정적으로 가공을 통해 

100%를 띄울 수 있는 공정이란 걸 파악할 수 있으면 좋습니다



4.


공정이 영 좋지않을 때

그닥 마음에 들지 않는다의 경우는 능땜2 이후 안솜 성손구간에서

안솜 버프가 끝남과 동시에 정집 / 노동요 스택이 같아져 장인의손재주를 만족시키는 때 입니다

혹은 정집이 부족하여 장인의 손재주를 만족시키지 못하였더라도

노동요 8스택을 만들기 위한 비결 2회 보작 1회 / 집중가공 미사용으로

CP가 240가까이 남아있는 상황입니다

이땐 추가적으로 CP 92의 능땜 1을 사용하여 나가 장인의 손재주

고품질 비결 369 보작을 통한 연계CP회복을 노려

무사히 니메이아 장족 비레고 모작의 마무리를 할 수 있도록 공정을 더 이끌어나아갑니다



5.



초반 견맘 견작 구간,

안정된 솜씨 버프가 유지되던중 최고품질의 비결을 사용하여 노동요 9스택이 나왔을 때 입니다

통상의 경우 다음 고품질이 나올 수 있어서 모작을 사용하지 않는 한 369의 노동요 스택은 보람찬 작업으로 스택을 내리지만

지금은 '저품질' 상태라 다음 공정은 '보통'의 경우로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지금 바로 보람찬 작업을 사용할게 아니라

안정된 솜씨의 효과를 받은 확률 100%의 견실한 작업 사용 후, 다음 공정에서 보람찬 작업을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5번같은 경우는 굉장히 미세한 팁이지만 이런 제작관련 센스가 있다면

이 팁들 이외의 여러 제작 상황에서 유연한 대처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여러 예를 들자면

4번에서 CP 240정도가 있어서 능땜1을 사용하여 더 연장해 나아간다고 했지만

CP가 180정도밖에 남지 않은 망한 케이스도

능땜1로 밀고나아가 연속고품으로 극적인 CP회복을 하여 공정을 완성시킬 수도 있습니다

반드시 HQ를 제작해야하는 아이템이 있는데

마무리 단계에서 안솜 없이 CP 60만 남은 상황

장족 / 비레고를 사용할 경우 HQ 확률을 100%가까이 끌어올릴 수 있으면

비레고가 터진다는 확률이 존재하더라도 재활용을 쓰지 않고 비레고를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비레고가 터져도 HQ를 완성시킬 수 있는 확률이 존재하기에

재활용으로 회수할 확률보다 비레고로 밀고나갔을 때 HQ를 완성시킬 확률이 더 높기 때문

고품은 많이뜨는데 성손이 터지는 공정에서 작업요령을 한번 더 사용해도 괜찮은 공정이 있거나

장인 기술중 거의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 손길' 도

혁신적 손길을 사용해야만 재활용하지않고 비레고를 사용할만한 공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존재하기에

여러가지 판단력을 기르는 것도 좋은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2~3성 제작에 노동요를 사용하지 않고계신 장인분들이 있다면

꼭 노동요를 사용해주세요!

3.3 이후 신규 3성 아이템을

가격이 싼 HQ재료 야만신 섬유 하나만 넣고 나머지 전부 NQ재료를 넣어 초기품질 0~900 사이로만 제작하는데

제작한 HQ 아이템 약 170개중 순수한 공정에서 MISS난 횟수는 4번밖에 없을정도로 사기스킬입니다 [NQ / 재활용실패]


약 42개 HQ띄울때 한개 실패하는 정도라 생각하면

온갖 3성 재료들을 HQ로 비벼 초기품질 올릴시간들을

전부 NQ로 비벼 스킵해버렸으니 시간효율도 굉장히 좋았던것 같습니다

이렇게 좋은 스킬이니 꼭 익혀보시는걸 추천드려요!


길게 질문하고 싶은게 있다면 초코보 서버 >> 부란다 << 로 귓주시면

차근차근 답변해드릴 수 있으니 편안하게 연락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