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초코보 서버의 부란다 라고 합니다

서문을 줄이고 전문장인 기술 실전편 두번째글 시작합니다!


===== 참고문 ====================================================

전문장인 기술에 대한 기초와 이해

전문장인 기술 실전 사용 가이드 - 1

전문 장인의 혼 사용에 관한 논의

===============================================================




이번글은 실전영상에 앞서서, 노동요에 관해 부족한 부분을 먼저 설명하려고 합니다

기초 글에 뒤늦게 추가했던 부분을 놓친 분들이 있어서 중복되어 글을 작성한 부분도 있습니다




※ 주의사항

제가 작성하는 전문장인의 실전글은 전문장인 스킬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과 변수에 따른

효율적인 스킬 사용법을 제시하고있으니

빠른 이해를 위해 1번글 부터 차례로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초기품질 0으로 제작하고 있는 환경에 따라 완벽에 가까운 제작공정을 추구하고 있기에

초기품질을 확보하고 제작하는 경우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아주 세부적인 사항까지 기록하고 있습니다

글이 상당히 난해할 수 있으니

실전편을 읽기 전, 먼저 전문장인 스킬을 다뤄보고 어느정도 이해도를 쌓은 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 전문기술 사용시 주의사항 


전문기술은 60레벨 2성 아이템 이상부터 사용합니다

노동요와 궁함이 맞는 견실한 마음의 스택이 2성에서부터 쓸만한 견맘스택을 주며

1성 이하에선 확신 + 독발2 강행트리같은 다른 레시피가 더 유효하기에

전문장인 스킬은 오히려 독이됩니다

물론, 장인의 혼 버프를 사용하면 못다룰거야 없지만

제도용지를 1성제작에 쓰기엔 너무 아까운 자원이네요

[참고문]

3.0 60레벨 1성 제작 간단 로테이션




※ 전문장인 기술 제작시 추천하지 않는 스킬


크로스 스킬 10칸이

필수 9개와 반필수 2종류로 꽉 차기에 기초글을 읽으신 제작자분들께서 이 스킬들은 쓰지 않겠지 싶었지만

내용이 부족해선지 간혹 사용하시는 경우를 발견하여 추가합니다





근검절약 2

내구도를 5단위로 끊는걸 미루어 볼때 버프가 적용되는 8회동안, 다른 스킬을 사용할 여유는 단 한번 주어집니다

그 한번마저 거의 무조건적으로 안정된 솜씨2를 리필하는데 사용되기에

보람찬 작업 / 작업요령 사용에 제약이 걸립니다

지속적으로 공정에 변화를 주어야하는 전문장인 제작공정에서

스킬사용에 제약을 주는 근검2는 사용되어선 안될 스킬입니다




근검절약 1

근검1의 경우는 버프 4회에 다른 스킬을 사용할 타이밍 1회로 근검2에 비하면 제약이 덜하며

내구도 관련 스킬 니메이아의 물레 CP18 / 능땜1 CP92 사이에 있기에

사용될 여지는 존재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안솜2 - 근검1 - [가공스킬] 순서로 안솜2 버프횟수에 손실을 주기에 크로스 스킬로 선정되지 않습니다

근검1을 직업스킬로 가지는 '가죽공예가' 로 제작할 경우

내구도는 더 필요한데 능땜1은 사용하지 못하는 애매할 경우 사용해볼만 할 수도 있겠네요




확신 - 노동요 3배수 독발2 예술 인장

음... 우선 노동요에 견실한 마음을 섞지 않는것부터 마음에 걸리네요

독발2 예술 인장에 작업량 버프가 적용되었을 때의 작업진행량을 노린 제작법

설령 3배수가 되었다 하더라도

독발2 안솜 예술을 입력하는 사이 고품질이 나오면 작업량 상승 버프는 사라지는 문제도 있지만

변수가 심한 고품질의 제작공정 속에서 노동요 3배수를 작업량 계획에 세우는것 자체가 위험합니다


작업을 진행하는데에 있어서 소모되는 CP또한 큰 만큼

전문장인 스킬과 독발2 예술 인장 궁합은 견실한 마음 효율보다 좋은 점을 찾아보기 힘드네요





강행작업

솔직히 이쯤오면 크로스스킬 자리가 없을텐데 이 스킬들은 어떻게 넣었을까 싶지만... 음음

꾸진2 - 견작 - 장인의 손재주 - [중간작업] - 모작마무리 로 끝나는 작업의 흐름에

강행작업이 들어갈 일은 드뭅니다

보통은 저기 적혀있는 중간작업이란 곳에 모범작업이나 중급작업 정도의 작업량만을 필요로 하기에

강행작업을 사용하면 장인의 손재주를 사용하는데에 필요한 여유 작업량을 넘어서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행작업을 직업스킬로 가지는 '갑주제작사' 로 제작 할 경우

견맘구간 고품질이 많이 나와 작업량이 많이 부족할 때 정도 써볼 수 있겠네요




그럼 이제 실전편으로!

[본 영상은 제작의뢰를 받아 촬영한 영상으로 초기품질이 높습니다]

[작숙 982 가숙 969 CP 480의 제 스펙을 기준점으로 효율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실제 제작시엔 자신의 스펙으로 판단해주세요]


※ 질문받아서 올려놓는 단축키 배열



공정중 한번사용되는 [될까말까하는] 스킬들을 오른쪽에 밀어넣고

고품질 프록이 보이는 비결과 집중가공, 보람찬작업을 왼쪽 위

많이 사용되는 견작 안솜 성손을 1234

주요 버프류를 2번째줄  그리고 전문장인 스킬과 작업류를 가운데에 배치해놨습니다

질문받아서 올려놓는거긴 한데 자기한테 잘맞는 배열을 사용하세요요




1. 가죽공예가 - 채집가용 갈론드 장화




글감을 위해 꼬아서 진행하다가 큰일날뻔한 공정

평소라면 재활용이었지만 초기품질이 있어서 그냥 밀고나갔네요

[의뢰품이라 NQ나왔으면 제가 보상해드렸어야 했...]




첫번째 견맘이후 구간입니다

저번글에서 말로 설명했던 상황이 나왔네요

견맘구간 고품질이 많이 나와 CP가 많이 회복되었고

노동요 6스택 / 작업요령 버프구간, CP가 455 / 480 인 상황입니다

여기서 보람찬 작업을 사용하면 아슬아슬하게 CP 478 / 480으로 여기까진 회복CP에 손실이 없지만

이 다음에 또다시 고품질이 나오면 CP 28을 회복할 수 있는걸 2만 회복해야 하는 아픔을 겪을 수 있으니

때문에 CP를 먼저 소비하는게 좋습니다


지금 이 6스택에서 모범작업을 먼저 사용하고 능숙한 땜질로 내구도를 70으로 돌려 CP를 미리 소비한 후

보람찬 작업을 사용하였습니다

작업량을 보니 견맘구간의 고품질로 작업량도 1212 / 1764로 552의 작업량을 더 필요로 하네요

독발을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직업 제작이었다면

노동요 3배수 모범작업 194 + 장인의 손재주 171 + 독발모작 189의 마무리작업 계획도 세워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첫 안솜2 구간인데, 이 부분은 글 작성을 위한 특수한 경우를 만들기 위해

안솜2 이후 작요를 리필함으로서 일부러 살짝 꼬아 진행한 곳입니다


가장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서 일반적으론

이후 내구도 회복스킬로 능땜2를 사용해야만 하는 제약이 있기에 독발모작의 마무리를 모범작업 2번으로 바꿔

안솜2 가공스킬 5번 + 모범작업 1회로 내구도를 10 만든 후 능땜2를 돌리시면 됩니다  






이 구간이 일부러 꼬면서 만들고 싶었던 장면!

바로 안솜없는 상태로 장인의 손재주를 만족한 상태입니다

안솜없는 장인의 손재주는 가능한한 사용하지 않기에 많은분들이 고민하는 시점입니다

만약 능땜2 이후의 작업구간으로 CP가 여유있다면

능땜1을 사용하여 내구도를 60으로 만들어서 안솜2의 효과 5번을 모두 사용하도록 작업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지금은 능땜1을 먼저 끌어와 사용한 시점이니 능땜2가 강요되고있네요 [특수한 경우입니다]


이럴땐

1. 내구도의 손실이 없도록

2. 안솜버프의 손실이 없도록 을 우선순위로 공정을 계산해주시면 됩니다

내구도 30상태로 안솜2를 사용하여 장인의손재주 -> 성손으로 내구도를 10 만들고 능땜2를 돌린 후

남은 안솜버프 2회도 가공스킬을 사용합니다

2회의 가공스킬로 인하여 내구도가 50 / 70 상태가 되기에 여기서 니메이아의 물레를 돌리면

딱 70이 되어 마무리작업에 용이하게 채워지게 되네요

이런식으로 사용하게 될 내구도관련 스킬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내구도 소비방법을 찾아내시면 됩니다


이 계획으로 진행하였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CP연계회복의 기회를 고려합니다

내구도가 50이 된 순간, 노동요가 3배수+2인 5스택이었다면 고품질이 나와도 효과를 볼 일이 없기에

그대로 니메이아의 물레를 사용했겠지만

노동요가 4스택인 상태이므로 노동요를 해제하지 않고 안솜2 가공을 하여 고품질을 통한 연계CP회복 및

니메이아의 물레 내구도 회복량 상승의 기회를 노려보았네요



결과적으로 공정 자체는

일부러 꼬아버린 부분도 있지만 성손운도 안좋아서 실패한 공정이 되어버렸습니다






2. 재봉사 - 채집가용 갈론드 일자바지











첫 안솜구간입니다

작업요령이 평소처럼 돌아간다면 내구도 20에서 리필하게 되는데 내구도 30에서 효과가 끝났네요!

하지만 작업요령보다 우선도가 높은 보람찬 작업이 있기에 바로 리필을 해야 할지 하지 말아야 할지

고민하시는 분들도 계셨습니다


판단하는건 매우 쉬워요! 고품질이 나오면 보람찬 작업을 쓰게될 것인가 만 보시면 됩니다

노동요 3배수 +2인 8스택에선 고품질이 떠도 보람찬 작업을 사용하지 않게됩니다

내구도 50에서 작요리필시 고품질이 연계로 뜨면 내구도 20 / 안솜버프 1회상태로 3배수가되기에

내구도 40이하라면 바로 작업요령을 리필합니다


노동요가 3배수 +1일 경우,

작업요령을 리필하지 않고 진행하다 기존 레시피처럼 내구도 20상태에서 리필해주시면 됩니다
[고품질이 나오면 집중가공 사용으로 내구도 10이 됨과 동시에 3배수 보람찬작업]


물론 내구도 50이 아닌 내구도 40에서 안솜을 쓴거라면 작요와 보작을 사용할 타이밍이 2회이니

상황에 신경쓰지 않고 바로 리필해주셔도 OK!






후반엔 니메이아의 물레 포함 내구도가 40으로 초기품질이 없었다면 100%가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있었기에

능땜1을 위해 CP를 절약하여 진행하였습니다

남은 작업량은 352이므로

중급작업 171 + 독발모작 189 / 모작 137 3회를 고려할 수 있으나

마침 노동요가 6스택이므로   3배수 모작 194 + (중급작업 171 OR 독발모작 189) 으로 계획하였습니다

1번 영상에선 노동요 스택이 4가 나와 CP 내구도 연계를 위해 니메이아의 물레를 남겨놓았지만

3배수 +2인 5스택이기에 바로 니메이아의 물레를 사용하여 마무리작업을 시작했습니다


내구도 60 / 내구도 70에서 마무리 작업을 시작할 경우


내구도 40이 될때에 안정된 솜씨를 리필함으로서 독창적 발상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잇습니다



언제나 미리 회복하여 60 70으로 마무리작업을 시작하면 용이하다고 했는데

이점은 가운데 2회의 성손구간까지 확정적으로 독발효과를 보게하는 것이었네요







코스타 델 솔의 주인은 나다ㅏㅏㅏㅏㅏ


이번 영상은 노동요 3배수 +2 / 노동요 3배수 +1 에 대해 강조하기위해

양쪽 경우를 담은 두가지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첫번째 실전 글을 보셨다면 느끼셨겠지만 첫번째 글에 작성되었던 테크닉이 이번 영상에서도 사용되었습니다

능땜1로 연장할지, 고품질을 노려볼지

작업량을 보고 어떻게 작업해 나아갈지 지속적으로 계획을 수정해나아가는 부분은

모든 공정에 동일하게 사용되며 전문장인 제작의 축이됩니다


전문장인 스킬이 변수가 심하다고 하긴 하지만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해 인지해야할 중요한 사항과 자주 겪게되는 난해한 상황은

대부분 첫번째 글과 이 두번째 글에 속해있다고 보면 되겠네요

이번 글 이후로 작성될 실전글은 굉장히 세부적인 경우일 것이기에

이번 글 까지의 내용만 숙지하셔도 전문장인 스킬을 어느정도 능숙히 다룰 수 있을것이라 생각합니다




+


공정 영상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무료 제작의뢰를 받고있습니다

대장 재봉 가죽 신규 3성!

초코보 서버 >> 부란다 << 로 연락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