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잘 아시겠지만 그래도 혹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 싶어

극만신전 시리즈 나이트 팁을 조금 적어봅니다.

주로 멘탱으로 클리어했고, 극타, 극모글은 마이크 오더하면서 진행했습니다.



극가루다

처음으로 탱 디버프 중첩 도발 인계 택틱이 등장하는 곳입니다.

그래서 세간에는 탱이 중요한 네임드이다. 라고 소문이 나있는데, 사실 탱입장에서는 진가루다보다 훨씬 편합니다. 

도발 타이밍도 딱 정해져있고, 아픈 구간도 딱 정해져있기 때문에 

그 구간만 잘 숙지한다면 무빙없이 매우 편하게 탱을 할 수 있습니다.

멘탱이 아픈 구간은 처음 신기루 생성되고 가루다랑 수피르나를 탱하고 있을때입니다.

자리 잡음과 동시에 생존기 로테이션 돌려주시다가 두마리 동시에 원형 공격 쓸때 큰생존기 써주시고

점프할때 깃털 잘 피해주시고 반동공격도 잘 피해주세요. 

반동공격은 약 0.5초 텀으로 쓰니까 애들 팔벌리는 모션보시고 피해주시면 됩니다.

부탱은 더 쉽습니다. 첫 녹색 깃털 나오면 적당히 어그로 먹고 반피까지만 작업해주시고 

처음 신기루때 치르다 어글 먹고 자리잡고 작은 생존기 하나씩 돌리시면 됩니다. 

그 다음 신기루때는 수피르나 어글먹고 힐러 힐 사거리를 잘 본 다음 생존기 하나씩 돌려주시면 됩니다.

도발 타이밍은 폭풍 안에서 첫번째 녹깃은 부탱->맨탱 순이든 맨탱->부탱 순이든 한번이면 충분합니다.

두번째 녹깃은 진형을 나누기전에 위치를 보시고 가까운 탱이 땡기거나 메인탱이 땡깁니다.

메인탱이 땡기는편이 쫄 다 잡고 가루다 칠때 그 자리에 깃털이 있기 때문에 더 좋습니다. 

점프해서 위치바꿀때쯤 2중첩이 되니 인계해주시고

그 다음 인계타이밍은 딜에 따라 약간 다르지만, 보통은 쫄 처리 다하고 가루다 치러 갈때쯤 입니다.

이후 가루다가 올라갈때까지 들고있거나, 파티 딜이 딸리면 한번더 인계해주시면 됩니다.

디버프 중첩은 약 15초 간격으로 올라가니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이후는 위 작업들의 반복입니다.




극타이탄

아마 후발주자분들이 처음으로 막히는 구간이 여기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근데 얘도 놓고 보면 공략 자체는 굉장히 심플합니다. "바닥 잘 피하세요!"

근데 거기에 좁은필드에서의 낙사+애매해 보이는 타이밍 탓에 초행분들이 많이 힘겨워하시죠.

답은 전투 패턴을 그냥 다 외우거나, 아니면 주요 포인트 구간이라도 외우는 겁니다. 

탱은 특히 더 외울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야 일정한 타이밍에 도발을 땡겨서 파티에 밥상뒤엎기가 들어가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니까요.

극타는 중간중간에 탱이 비는 구간이 있기 때문에 생존기 싸이클을 잘 짠다면

20초나 25초 짜리 생존기로 산사태 2번을 맞는게 가능합니다.

맨탱이 아픈 구간은 통상 두 번째 산사태를 맞을 때, 쫄 처리를 하고 세 번째 산사태를 맞을 때 입니다.

통상구간에서는 작은 생존기와 힐로 커버해주시면 됩니다.

세 번째 산사태는 산사태 자체가 무지하게 아프기때문에 반드시 큰생존기를 돌려주셔야 합니다.

직후 화강암이 오기때문에 힐이 좀 빈다 싶으면 그냥 무적올리셔도 좋습니다.

부탱이 아픈 구간은 통상 두번째 산사태 맞을때와 쫄 2마리 탱할때 입니다. 

쫄 죽이고 나서 깔린 바닥을 밟으면 과중력과 데미지가 들어오니 주의해서 무빙하시고

어글잡고 자리잡은 다음부터 생존기 로테이션 돌려주시면 됩니다. 

사실 부탱은 네임드 탱하는 시간이 몇분 안됩니다

도발 인계 타이밍은 

1.탱 시작(쫄탱)->2.첫 점프 이후 내려오고 나서 도발(멘탱)->3.2중첩 직후에 오는 산사태때 도발(쫄탱)

->4.화강암과 같이 오는 산사태때 도발 혹은 인계없이 심핵탱(멘탱or쫄탱)->5.심핵깨지고 네임드 도발(멘탱)

->6.쫄처리하고 화강암과 같이 오는 산사태때 도발(쫄탱) ->7.3열폭탄 터지고 3중첩 맞는거 보고 도발(멘탱)

->8.점프까지 인계없음(최종 어글자 멘탱)

이후는 6번부터 동일합니다.




극이프

얘는 앞의 두 네임드와 다르게 도발 타이밍이 조금 불규칙적입니다.

2연속으로 브레스 쏠 때도 있어서 생각보다 중첩이 빨리 올라가고, 도발 타이밍도 빨리 돌아옵니다.

그러니 탱분은 항상 다른 탱커 중첩을 주시하셨다가 브레스 같이 안맞는 각도로 들어가서 도발 땡겨주시면 됩니다.

보통 좌측이나 우측으로 들어가서 도발 땡깁니다.

돌진 이후에 오는 장판은 빈 틈이 있는데 그 자리는 처음 네임드 자리 기준으로 오른쪽-중앙근처-왼쪽입니다.

반대편은 확인해보지 않았지만 아마 대칭으로 빈 자리가 나오는 것 같구요.

그러니 돌진 끝나고 네임드 탱할때 위치 선정에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염옥의 말뚝 떴을 때 깨러 나가시는 것도 좋습니다. 다만 탱 중첩은 항상 확인하셔야합니다.

개인적으로 탱은 멀리 나가지 않고 사슬 연결된 딜러랑 같이 근처의 말뚝 때려주는 게 더 좋은거 같습니다.

그리고 터지는 불바닥은 오프탱일때 걸리지 않으니(저는 한번도 안걸려봤습니다)

딜러들이 뒤로 빠질때 탱은 옆으로 빠지시면 교대 타이밍에 멀리 나가지 않아도 됩니다.

물론 방향은 폭탄 터지는 힐러가 없는 쪽으로 해서 나가주시구요.

그 외의 바닥이나 광역공격은 딜러와 힐러의 몫입니다.




극모그리

여기선 탱이 정말 할게 없습니다. 나이트(파란색), 워리어(빨간색)쫄 어글잡고 네임드 중첩 인계하는 게 다입니다.

서로 상대 탱커가 어글 먹는 쫄을 주시잡아놓고 버프2~3중첩에 네임드 인계만 계속하면 됩니다.

단, 바닥 맞고 죽을수도 있으니 도발 사용 시 중앙으로 가서 사용하지 마시고 가급적 외곽으로 돌아가서 사용합시다.

탱보다는 딜러분들의 확실한 공략인지가 중요한 던전입니다. 

첫번째 쫄 타임에는 빨간색 쫄(워리어)와 하얀색 쫄(백마법사)가 광역공격을 하지 않으니 흑마 플레어만 끊으면 됩니다.

그리고 딜러분들에게 탱이 잡고 있는 쫄은 가장 나중에 쳐달라고 말해주세요. 탱 혼자서 2~30%까지 뺄 수 있습니다.

두번째 쫄부터 흑마와 백마를 주시하고 계셨다가 바닥에 보라색 넓은 장판이 깔리면 백마를 쳐주시고

빨간색 장판이 깔리면 흑마를 쳐주시면 됩니다.(딜러가) 

힐러분들은 나이트 쫄이 나이트탱+무작위 2명한테 거는 도발과 백마가 홀리를 쓸 때 파티원에게 거는 디버프를

해제해주시면 됩니다.

확실히 딜컷이 된다면 만신전 중에서 제일 쉬운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극리바

여긴 중첩 인계가 없는 대신 머리와 꼬리로 나뉘어집니다.

머리탱은 생존기 사이클과 머리 방향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탱위치에서 후방으로 길게 브레스를 씁니다.

꼬리는 원거리 공격을 하니 멀리 나가서 어글 잡아도 상관없습니다.

꼬리탱은 나오는 쫄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2마리 나오는 쫄은 그냥 어글 먹고 잡아주시면 됩니다.

걸리는 디버프는 힐러가 알아서 힐 해줄겁니다.

한마리 나오는 쫄은 바닥공포와 전체 공포를 쓰는데 바닥공포는 힐러분들의 넉백으로 끊어주시고

전체 공포는 탱커나 딜러분들이 스턴으로 끊어주셔야 합니다.

방울탱은 네임드가 바닥 내려찍을 때 강철의 의지를 사용해서 넉백을 막은 다음 구석에 가서 무적키고 맞으시면 됩니다.

이것도 보통 꼬리탱이 담당합니다.

초행자분들이 자주 맞으시는 공격은 네임드 돌진이 있는데 보통 2번 사용 후 머리찍기를 합니다.

머리찍기 방향에는 규칙이 있습니다. 

처음 네임드의 머리가 왼쪽에서 시작했으면 다음 머리는 반드시 오른쪽에서 나옵니다.

앞뒤의 경우는 예측할 수 없겠으나, 좌우의 방향을 안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돌진을 피하는데 확실히 여유가 생깁니다.

단, 방울이 나왔을 땐 한 번 돌진후 머리찍기를 하니까 타이밍에 유의해서 자리 잡아주세요.

보호막 치는건 대체적으로 힐러가 담당하지만 여유가 된다면 탱이 하는것도 나쁘진 않습니다.

고대무기를 만들지 않는다면 무기때문에 가장 많이 가는 만신전이니 확실한 공략의 숙지가 요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