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글의 생존기는 https://www.youtube.com/watch?v=GgFfox7WE54의 치첸이트사님의 생존기를 기반으로 작성합니다. 또한 재앙 앞 부분의 팁은 부싼님의 글에 자세히 나와있으므로 간략하게 작성합니다. 추가 팁 or 의견은 댓글에 적어주시면 됩니다. 기타 궁금하신점 있으신것도 댓글로 적으면 답변해드립니다.







1. 트윈타니아 

- 영상과 변동 없음 (1사형선고 후 곤두박질을 방벽으로 막거나 or 충의 킵 후 3사형선고 중재 및 이후 곤두박질 방벽 선택가능 > 곤두박질을 방벽으로 막는게 충의소모가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 됩니다.)



2. 넬 

- 선임전 오프닝 사용 / 안식은 5글쿨에(꿰검콤 ->폭도까지 사용 후 안식 사용 > 이후 딜사이클이 더 편합니다.)

- 넬 3대사(다이브 - 달,강철) 때 안식 성령 타이밍인데 이때 전질 사용(강철일 경우 성령 로스 없습니다.)

- 4불 뒤 방각 감싸기로 MT의 평타 커버(5.0 이후엔 감싸기 너프로 사용 X)

- 흉조의 부리 캐스팅 전 신보(전개 진천일시), 재활(전개 흑염일시) 사용

- 넬 카탈 다이브 철벽 경계 사용, 다이브 후 안식 오는 대로 바로 사용하면 남은 2대사 모두 볼시(대부분 2대사 봄) 바하 오프닝에 안식 성령 5방 넣을 수 있습니다.

다만 넬 딜컷이 대부분이라 그냥 킵하셨다가 바하 3글쿨 안식 성령(앙갚) 성령(중재) 성령 4방 넣으셔도 됩니다.






3. 바하무트



1) 오프닝 

- 7재해때 방벽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사용하지 않아도 어차피 생기로 인해 풀마나가 됩니다. 여기서 방벽을 사용할 경우 2짓뭉에 중재를 넣을 수 없습니다.

- 4글쿨[꿰검콤 - 재빠른 검격] 글쿨 3분의 2 지점에 앙갚 이후 안식 > 성령 중재 성령 ~

- 4글쿨을 치는 이유는 넬 마지막 2대사 컷 후 올라가면 거진 이때 안식이 돌아오고 3글쿨 안식을 사용 가능하더라도 앙갚과 중재를 같이 넣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습니다만, 뭘 해도 넣을건 다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성령 뒤 앙갚 중재를 다 넣으셔도 됩니다.



2) 진군 

- 전질 사용 추천(흑염에서 전질을 사용하지 않아도 넘길 수 있고, 진군에서 사고가 있을 시 대처가 수월합니다.)

- 딜은 안식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재빠른 검격(임전) - 폭도를 사용합니다.



3) 흑염

- 트윈 4불장판을 보면 바로 기둥 쪽으로 꺾으셔도 괜찮습니다. 빔은 이미 판정이 끝나있기도 하고 5불장판 역시 진행방향 그대로 깔립니다.

- 3브레스는 감싸기 철벽 방각 구원으로 넘깁니다.(충의는 킵해서 재앙때 85~90사이를 만들어서 갑니다.)



4) 재앙

- 달(내부) 기믹 처리 후 바하쪽으로 달려가면서 경계 중재 사용(달 - 다이브일 경우 바하 구속구안에서 다이브 보고 중재 사용), 관용 X

- 템페스트(폭풍우 날개) 이펙트를 보고 임전(안전하게 재빠른 검격(임전) - 폭도 추천) 

- 재앙 기믹 처리 후 꿰검콤 제왕콤 꿰검콤 안식 성령 4방



5) 천지

<산개도>


- 나이트는 7번 기둥을 담당합니다. 넬 밑에 기둥이 있을 경우 해당 기둥이 1번이 되기 때문에 넬 밑 기둥 여부와 관계없이 넬 왼쪽 2번째 기둥을 찾습니다.

- 기둥 처리 후 장판 팁은 영상처럼 본인 바로 옆에 첫 장판이 생성되었을 경우 해당 장판 옆에서 기다리다 장판이 없어지면 그 자리로 들어갑니다. 장판이 멀다면 진행 방향에 맞춰 중앙과 거리를 좁히면서 들어가면 전질을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기믹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마지막 장판 처리 이후 중앙에 들어가면서 임전 or 재앙과 마찬가지로 재빠른 검격(임전) 폭도로 들어가셔도 됩니다.

- 꿰검콤 - 제왕콤 - 꿰검콤 - 안식 성령 4방(성령 5방을 확정으로 넣고 싶으신 분은 마지막 꿰검콤에서 폭도까지 사용 후 안식 성령을 사용하시면 됩니다만 속공 묻은 꿰검+지속딜이 성령 1방보다 더 강력하기때문에 성령 4방 사용 후 남은 마나를 이용해 연격 중 관용으로 사용하는걸 추천합니다.)

- 천지에서 생기를 받지 못해 마나가 없을 경우 임전콤을 다 사용합니다.(궤 제 제 제or꿰)



6) 연격

<산개도>


- 나이트가 들어가야 할때는 나이트조가 3:0,2:1일 경우, MT조 3:0, 2:1일 경우 4가지 입니다.

[1] 나이트조 3:0일 경우(나이트조 3명)

- 징 X > 소환사 옆에 있는 나이트조 구속구에서 2번째로 맞습니다.

- 징 O > 2번징 구속구에서 처음껄 맞습니다.

[2] 2:1일 경우 (나이트조 2명, MT조 1명)

- 징 X > 2번징에서 2번째로 맞습니다.

- 징 O > 2번징 구속구에서 처음껄 맞습니다.

[3] MT조 3:0일 경우 (MT조 3명)

- 2번징에서 2번째로 맞습니다.

[4] MT조 2:1일 경우 (MT조 2명, 나이트조 1명)

- 징 O > 소환사 옆에 있는 나이트조 구속구에서 처음껄 맞습니다.

- 2번째 마력연성은 휘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마력연성이 오는걸 기다렸다가 부딪히는 것보다 내가 마력연성에 가서 부딪히는 느낌으로 플레이를 하시는게 사고 가능성이 훨씬 낮습니다.

- 2번째 마력연성 처리 후 전질이 살아있을시 전질을 사용하면 이후 어스 처리가 훨씬 편합니다. 군룡에서 사용하기 전에 쿨이 돕니다.

<어스 팁>



- 첫 안전지대는 2번징이 있는 6시 입니다. 따라서 징 대상자가 아니라면 2번징쪽으로 바로 이동 후 바하 바로 옆에 설 수 있는 2번징 앞 꼭지점 부분에 위치하시는게 좋습니다.(근딜이 2명 모두 2번째 어스라면 밑 꼭지점으로 갑시다.)

- 어스 처리시 3시 9시에 위치하지 마시고 위의 그림 처럼 2시와 10시에 위치하시는게(징보다 위) 사고 확률이 매우 낮습니다. 2어스 2시 or 10시 일 경우 위 그림의 위치에서 칼끝딜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멀리서 안빼도 됩니다.

밑 꼭지점이어도 2어스일 경우 칼끝딜 하셔도 됩니다. 어차피 기가때 MT도 12시에서 날개 받을꺼고 기가 이후에 2어스 장판 사라지니 칼끝딜 하세요.



7) 군룡

- 군룡전 바하의 짓뭉개기는 상당히 빠르게 나옵니다. 기가 이후 바하의 평타 모션을 본 뒤 바로 중재와 앙갚을 넣습니다.

- 임전콤을 사용하며 군룡 올라가기전 안식을 사용해 조금이라도 딜을 더 올립니다.

- 군룡 정석 처리시 기둥의 경우 시간이 여유가 있기 때문에 트윈 대상자의 기믹을 파악한 후 주변 기둥을 보아 남는 자리에 들어갑니다.

- 군룡 탱리의 경우 1번징에서 대기하다 쉐어징이 나오는 순간 탱리를 사용하면 타이밍이 맞습니다.




4. 트리니티

- 트리니티의 경우 첫 곤두박질을 맞을 수도 있고 맞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대부분 전사이기 때문에 맞지 않을겁니다.)

곤두박질을 맞지 않을 경우 안전을 원하신다면 충방을, 딜을 원하신다면 충검을 사용합니다. 맞을 경우 충방

곤두박질을 맞지 않고 충검 사용시 오프닝은 넬에 재 - 폭(임전) - 꿰(내면 파진) 트윈에 재(철벽 도발) - 야 - 할을 이용합니다. 어글콤을 치는 이유는 전사가 해방 섬멸을 치기 때문에 안전한 어글을 위해 어글콤을 한번 칩니다.

- 이후 전사에게 철벽 중재를 던져주고(거진 할 이후 재빠른 검격(중재)를 하시면 됩니다.) 트윈 마력연성 캐스팅에 간파 경각, 트윈에 꿰검콤, 신보 / 넬에 꿰검콤 안식을 사용합니다.

지인이 있어 힐케어 빡세게 받으실 수 있다면 철벽을 킵했다가 1교대때 철벽 방각 재활, 2교대때 경계 방벽으로 풀충검도 가능합니다.

- 1대사가 나올 때 전질을 사용하고 대사 기믹에 빔이 없을 경우 안식 성령 5방 다 충검으로 넣고 회오리 때 12시로 올라가면서 충방으로 바꿉니다.(마나 없을 경우 폭도를 사용해 마나를 회복하고 충방)

- 1대사에 빔이 있을 경우 1번징으로 이동하면서 충방으로 바꾸고 성령을 사용합니다. 이후엔 충방 유지합니다.

- 1메가플레어 캐스팅 절반에 방각, 재활을 올리고 메가플레어 이펙트를 보면 경계를 사용합니다. 트윈에 꿰검을 넣어준 뒤 교대를 생각해서 미리 넬을 치고 탱버에 교대하면서 멘탱 중재 및 방벽을 올립니다.

(요즘엔 딜이 좋기 때문에 방각을 캐스팅 절반에 올려도 일찍 잡으면 2크몬에 방각이 쿨일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요즘 공팟은 대부분이 24탱리로 가고 사고가 있더라도 2탱 4딜리로 가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습니다. 또한 재활은 교대 이후에 사용해도 괜찮으나 1몬아파 전개때 재활이 돌아오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미리 사용합니다. 공팟은 대부분 1몬아파 전사전개 이기때문에 큰 상관은 없습니다만 그래도 미리 사용하는걸 추천합니다.)

- 2대사 역시 전질을 활용하고 2대사의 경우 거진 빔(쉐어)이 있을 텐데 이때 날개를 펴주시면 안정성이 매우 올라갑니다. 2몬아파 전에 쿨 돕니다.




5. 금바하

- 살아나자마자 신보 임전 재활(1몬아파 나이트 전개시)사용 선임전 오프닝 

- 성령 3방째에 아크몬 2방째가 시전 중일 건데 아크몬은 감싸기가 적용 안되니 바로 감싸기를 해서 전사 1:1 이후 평타 급사를 막습니다.

- 엑사의 경우 가급적 전질을 사용하고 1엑사와 2엑사가 붙어나온다면 1엑사 3번째와 2엑사 1번째가 같이 터지기 때문에 2엑사에 있다가 1엑사 2번째 터지는걸 본 뒤에 1엑사 구간으로 들어가시면 됩니다.(아마 거진 1엑사 3번째가 터지는 이펙을 보면서 1구간으로 진입할겁니다. / 많이 해보시면서 감을 잡으시는게 좋습니다. 영상 마지막 엑사가 그나마 좀 비슷합니다.) 

1엑사와 3엑사가 붙어나온다면 3엑사에 있다가 1엑사 구간으로 가면 됩니다(영상 마지막 엑사 제외 나머지 모든 엑사). 또는 엑사 일자빼기를 하셔도 됩니다.

- 공팟의 경우 거진 24크몬에 탱리밋을 사용합니다. 유일하게 2크몬만 2크몬 - 2몬아파 순으로 오기 때문에 첫 엑사를 피하자 마자 바로 아크몬을 맞을 준비를 해야 합니다. 

아크몬 탱리는 거진 나이트가 사용하는데 2크몬 탱리의 경우 나이트가 탱리밋을 사용하면 콤보가 끊깁니다. 따라서 오프닝 성령콤 이후 - 꿰검콤 - 제왕콤(엑사 주차 완료) - 성령(철벽) - 성령 - 성령(방각) - 탱리 - 재빠른 검격(방벽)을 사용함으로써 딜로스를 최소화 합니다. 이 싸이클은 오프닝에 생기를 받고 엑사에 글쿨 로스 없이 꾸준히 금바하를 칠 경우입니다. 

글쿨 로스가 있어 성령이 3방이 아니라 2방이 되더라도 성령을 치다가 캐스팅이 올라오면 바로 탱리를 사용하는걸 추천합니다. 

방벽을 사용하는 것은 이후 안식에 부족한 마나를 수급하기 위해 방벽을 사용합니다. 

2크몬 탱리의 경우 시전바가 올라오고 바로 사용해도 문제 없습니다.

- 2몬아파 날개 후 MT중재

- 2엑사 안전구간 진입 후 안식 성령 5방 다 사용하고 도발(글쿨 로스 없을 시 + 최소 3몬아파 캐스팅에는 도발을 해야합니다.) 이후 3크몬 천무(글쿨이 밀릴 가능성이 있더라도 안전하게 천무를 우선적으로 사용합니다 / 3크몬 캐스팅 바 중간)

- 3크몬 뒤 교대 후 MT 중재 / 이후 4크몬까지 충의 100

- 3엑사 시전에 신보 첫 엑사 장판 보면서 or 주차 완료 후 재활(3엑사 시전에 재활도 같이 넣어도 됩니다만 4몬아파 시전 중에 재활이 끝나 고무를 아주 늦게 넣는 학자님일 경우 재활이 끝나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좀 나중에 재활을 넣습니다.)

- 4크몬의 경우 4몬아파 맞고 자리 잡으면서 철벽, 4크몬 시전 바 보이면 경계, 시전 바 중간에 탱리 입니다. 거진 경계 누르고 바로 탱리 누르시면 될겁니다.

- 4크몬 뒤 MT 중재(충의 쌓이는 대로)

- 마지막 몬아파의 경우 날개를 안펴도 되지만 글쿨 로스도 없거나 아주 약간이기 때문에 안정성을 위해 날개를 펴줍니다.

- 추가적으로 앞에 누군가가 죽어서 3몬아파 or 4몬아파를 7명이서 맞아야 하는경우 탱리밋을 써주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4몬아파 앞 엑사에서 학자가 죽었을 경우 4몬아파를 2단 탱리로 버티고 4크몬을 정석처리 또는 3몬아파 전 누군가가 죽었을 경우 3몬아파에 1단 탱리 이후 4크몬 2단 탱리(or 정석 처리 후 마지막 몬아파 뒤 3단 딜리밋)등의 변동적인 플레이를 할 수 있으면 좋습니다.

5.0이 얼마 남지 않아 유통기한이 있는 팁입니다만 5.0이 돼도 딜 싸이클 면에서는 큰 변동은 없을 것 같습니다. 절바하를 공략하시는 나이트분들 모두 힘내시고 이 팁이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