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이 다섯개밖에 안들어가서 게시글 하나에 모든 레이드를 정리할 수가 없으니 하나씩 올릴 생각입니다.

트라이 영상은 별 도움이 안될것 같아서 어느정도 최적화 된 영상을 올립니다.


탱버, 넉백 = 물뎀
평타 = 마뎀

그 외 알아두면 좋은 것들 

1.
Stratospear Summons -> Judgment Jolt 판정
시전바가 완료되면 1초 뒤 터지니까 바로 돌진하면 안되고 어느정도 기다려야 합니다.

저같은 경우 시전바 100% 되면 1초 세고 돌진기 눌러요.
일반 레이드에 판정이 자세히 나와 있으니까 참고하면 최적화에 도움 많이 될거에요.



2. 
가고일은 스택이 가장 높은 대상자를 따라가다가 근접하면 즉사급 데미지를 줍니다.
주의할점은 섭탱이 3스택을 가지고 있는데 내가 2스택인 경우가 위험합니다.

광역을 맞고 섭탱이 3->2스택으로, 내가 2->1스택이 되니 문제가 없어보이지만

이게 순차적용때문에 그런건지, 글섭 핑 문제인지 모르겠으나
섭탱 3->2로 갈때 나와 섭탱을 동일스택으로 판단해서 
섭탱보다 내가 가고일에 가깝다면 맞고 죽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위험합니다. 

건브가 가고일 드리블을 하는데, 광역이 시전되면 용기사 2->1 건브 3->2 되는 상황.
광역 시전되고 잠깐동안 용기사 = 건브 동일스택으로 판단하여 (정확히 이 원인인지는 모르겠음)

가고일과 가까운 거리에 있는 용기사가 평타맞고 사망할 수 있습니다.

만약 위치가 닌자쪽이었다면 죽지 않으니, 이런상황에선 일단 닌자쪽으로 도망가있는게 좋습니다.

힐러들도 미리 구슬 먹어두다가 가고일과 가까워서 죽는경우 있으니까 참고하면 좋아요.



그렇다고 구슬을 1스택씩만 유지하는게 좋은건 아닙니다.

라무가 구슬을 생성할때 중앙에 8개가 고정적으로 생성되는데
이 구슬들을 다음 구슬 생성까지 먹지 않으면 덮어씌워져서 낭비가 됩니다. 
(미리 먹어두면 그 자리에 또 생성되는데, 남겨둔다고 같은자리에 하나 더 생겨서 두개가 되진 않는다는 뜻입니다.)

만약 힐러나 캐스터가 실수로 내부에 있는 구슬을 먹어서 안쪽에 구슬이 없다면
강화넉백이 나왔을 때 구슬먹으려고 멀리 다녀와야 하는 경우가 있어서 미리 먹어두면 좋다는 뜻이고,

반대로 근딜이 미리 구슬을 먹어두면 캐스터나 힐러가 내부 구슬을 먹게끔 해서 동선을 줄일수 있어요.

위에서 설명한 가고일이 딜러를 때리는 사고만 없다면 저는 아래 방법대로 합니다.

맨 첫 광역에 구슬 하나를 먹어서 0->1스택, 
Stratospear Summons - Judgment Jolt에 나오는 구슬 하나를 먹어서 1->2스택
강화 광역 맞고 2->1, 이 때 나온 구슬로 1->2스택을 만들어서
구름기믹에 2->1, 강화넉백에 1->0으로 만듭니다.

강화넉백을 0스택으로 맞는다고 죽는건 아니고 피증만 달리니까 
파밍이 어느정도 되고나면 조율하에 그냥 맞는 경우도 있어요.





3.
구름기믹에서 보스근접 4인에게 디버프가 부여되고 
이 디버프를 지우려면 구름에서 나오는 번개를 맞아야하는데,
본인중심으로 터지는 감전이펙트가 3번째 나올때 구름에서 첫 번개가 떨어집니다. 타이밍을 알고 있으면 좋아요.

7분대에 Fury's 14 이후 한번 더 이 기믹이 오는데

항상 디버프를 지우고 나서 넉백이오니까 거리유지를 생각해야합니다.

구름산개는 칼끝딜을 하면서 기믹처리가 가능하면 십자로 하든, X로 하든 근딜 입장에선 별 차이가 없는데
X로 하면 12, 6시에 안전지대가 나와서 유도하는 힐원캐 입장에선 더 좋을것 같아요.






4.
Fury's 14에 보스 분신이 12시나 6시중 랜덤으로 생성되는데 (연결된 선을 보면 찾기 편함)
생성된 반대방향으로 보스가 뜁니다.

업타임 챙길때는 분신이 없는 방향으로 미리 가 있으면 좋습니다.

넉백전엔 구슬1스택을 유지하지 않으면 죽습니다.

기둥처리를 7명이 하는데, 서는 위치가 7개로 나눠진 칸 기준이 아니라
밀리면서 기둥이 닿는 위치여야 합니다.

예시로 아래 그림에서 사무라이가 기둥 처리시 첫번째 그림은 처리가 제대로 되는데, 두번째 그림은 처리가 안됩니다.




두번째 그림의 사무라이처럼 끝까지 붙으면 보스에 칼이 닿습니다.

그래서 계속 딜이 가능한데, 이걸 써먹으려고 마지막 기둥 두개를 부수지 않고 
근딜 업타임을 챙기는 처리법이 있습니다. (아래그림)



안전지대가 엄청 좁게 나와서 앞에 세명까진 괜찮은데 

뒷쪽 딜러/힐러가 구출을 받는게 아니거나, 

에촉,앞걸음 같은 이동기가 없다면 거의 죽는다고 보면 됩니다.

리스크만큼 RDPS이득이 큰 것도 아니라서 굳이 사용할 필욘 없습니다.



5.
썬더스톰 때 점선 옆부분에 캐스터들이 장판을 쉽게 피할수 있는 위치가 있습니다.
장판 위치가 항상 고정인건 아닌데, 대략 이쯤 피하기 쉬운 위치가 만들어집니다. (아래그림)




6.
체인 라이트닝은 영상에 나온것처럼 8명이 ㅁ 모양으로 서서 

시계방향이든 반시계방향이든 돌리는게 편합니다.

여기서 캐스터,힐러가 말뚝딜 하기 편하게 근딜,원딜,탱커가 움직여주면 좋은데,

힐러는 근딜이 측면 잡기 편하게 보스 3,9시 방향에 딱 붙는것 보단
약간 떨어져 있는게 좋습니다.

번개를 배달할때 받는사람 중심으로 매우 조그만 장판이 생기는데, 
힐러들이 보스에 붙어있으면 측면잡다가 이 장판을 맞고 죽는 경우가 있어서요.

그리고 일단 배달을 했으면, 
반대방향으로 살짝 이동해줘서 최단거리에서 이탈하는게 안전하구요.



7.
Stepped Leader는 그냥 시전시 회오리 기믹,
강화 버프가 달린채로 시전시 다이나모 기믹입니다.

버프를 체크하고 판단해도 되지만
아마 회오리 > 다이나모 > 회오리 > 다이나모 번갈아가면서 나올겁니다.

두번째 썬더스톰(약 6분에 나오는 기믹) 에서는
탱+힐 개인장판 / 딜러 개인장판 순서는 랜덤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두번째 개인장판이 떨어지고 나서 바로 회오리기믹이 옵니다. 
이 부분에서 실수해서 죽는 경우가 많았어서 기억하고 있으면 좋을것같아요

섭탱은 가고일 유도까지 해야되서 정말 힘들텐데
가고일이 탱버 사용할 때 까지만 갖고 있다가

영상처럼 탱버 이후 유격대가 구슬을 추가로 먹어서 드리블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8.
버프 타이밍은 
 
3분 전투기도때 파티원이 산개해 있는 상태라 되도록 빨리 들어와달라고 콜을 해주면 좋고,

용의시선 버프는 2분대에 넉백 후 사용,
4분 타이밍에도 Fury's 14 넉백 후 필각과 같이 사용하여 나스트론드 버스트 하면 됩니다.

이후 6:30쯤 필각/용의시선/기도버프가 정렬이 되니까 탕약먹고 버스트 하시면 됩니다.

5:50쯤 썬더스톰이 한번 더 오는데 6분에는 이미 파티원들이 산개한 상태라 
전투기도를 6분에 쿨 돌자마자 사용하는게 좀 어렵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