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전설이라 감격스럽네요. 무려 2년만에 ㅠ.ㅠ

 

1년 전쯤 전설 달려고 처음 도전했을 때 1급 3성에서 4급까지 떨어지고 멘붕해서 포기했었습니다.

 

그 후로는 매달 5급만 찍고 노는 수준이었고요.

 

2일 전에 저랑 같이 5급 즐겜 유저였던 동생이 먼저 전설찍으면서 오기가 생겨 이번에 다시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냥꾼과 전사가 많아서 흑마 위니로 꿀빨면서 1급에 안착했으나 거듭 만나는 전설들의 뉴메타와 카운터 위니 덱들에

 

힘을 못쓰는 것 같아 냥꾼으로 덱을 바꿨습니다.

 

최근 랭크에 보이는 덱은 대부분 돌려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애초에 내 것이 아닌 덱들을 1급에서 무리 없이 소화하기엔

 

경험이 너무 적다고 느끼고 냥꾼 하나만 팠고 다행히 전설을 달았습니다. 아무리 좋은 덱을 굴리더라도 그 덱에 대한


이해도가 낮으면 선택의 기로에서 잘못된 판단을 할 가능성이 많다고 느꼈습니다.

 

 

덱은 카피 덱에서 두장 정도 바꿔서 사용했습니다. 1코 박쥐 2장을 빼고 코도1장과 파멸1장을 넣었습니다.

 

위니랑 템포 상대로 파멸의 예언자는 아주 좋은 카드입니다. 꼭 한번 한장 정도는 넣어서 써보길 권해드립니다.


코도 1장 자리는 가시덤불호랑이, 주문파괴자, 파멸의예언자, 불꽃곡예사, 산양사육사 등을 써보다가


마지막으로 코도2장을 채용했습니다. 위니 때문에 너무 힘들어서 징표와 코도까지 박쥐와 곡예사2장씩으로 채워 


사용해 봤었는데 결국 전설은 위 덱으로 8연승 하면서 찍었습니다. 운 좋게도 흑마는 한번 만나고 냥꾼, 술사, 전사를


주로 만났습니다.


코도는 타이밍만 좋게 나오면 게임을 유리하게 이끌 수 있고 그냥 내더라도 체력이 좋아 2:1 교환을 유도할 수 있으며 


조련사와 연계할 경우 사바나와 야밴저스가 나가기 전에 든든한 버팀목이 될 수 있어 2장 넣었습니다. 가시덤불


호랑이도 스탯과 은신이 나쁘진 않지만 밟을 것이 많은 요즘 메타에선 코도의 전투의 함성 메리트가 더 큰 것 같습니다.


실제로 전사전의 경우 광전사나 블러드후프 용사를 코도가 제거해 주면 쉽게 게임을 가져올 수 있었습니다.


전사와 쓰랄이 많아 중반 이후에 운영에 탄력을 받게하기 위해 박쥐 2장을 과감히 뺐는데, 박쥐가 계륵이라고 느낀


것은 1코에 아무리 이쁘게 나와도 빠른 템포 덱들에겐 생각보다 좋은 그림을 자주 만들어주지 않았고 중후반에 나오면 


힘이 많이 빠지는 것 같았습니다. 물론 제 운영이 미숙해서 그럴수도 있습니다...^^;


파멸의 예언자 경우 멀리건에 잡히면 무조건 들고가는 좋은 카드이지만 2장을 넣지 않은 이유는 2~3코에 나갈 상황이


아니면(이미 내게 유리한 필드가 형성됐거나 낼 카드가 있는 경우) 손에서 노는 경우도 있고 중반 이후에 나가 광기의 


연금술사나 코도에 죽으면 리스크가 너무 크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상대가 3코 이하의 저격기(대충, 치사, 사술, 마격)로


종말이를 무력화 시킨 후 필드를 장악하기 시작하면 템포를 다시 가져오기 힘들었습니다. 어쩌면 랭크에서 상대가 쓴 


것을 보고, 좋겠다 싶어 넣고 돌리기 시작한 카드라 거라 종말이 운영을 제대로 본적이 없어 그럴수도 있습니다. 


아무리 좋은 덱이라도 모든 덱을 상대로 좋을 수는 없기 때문에 위니 흑마는 운에 맡기고 많이 보이는 전사, 술사, 냥꾼


미러전을 반드시 가져온다는 생각으로 덱을 수정해왔습니다.

 

하스 오베 이후 첫 전설이라 흥분해서 주저리주저리 말이 많았네요 (__)

 

일주일 간 고생한 피로가 싹 가시네요. 그럼 저는 즐겜하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