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RDNA™ 2 ARCHITECTURE

ASUS DUAL 라데온 RX 6600 XT


오늘 소개드릴 제품은 ASUS에서 출시한 ASUS DUAL 라데온 RX 6600 XT 그래픽카드입니다. ASUS에서는 RX 6600 XT를 ROG STRIX와 ASUS DUAL로 라인업을 나누어 출시하였는데, 두 제품의 가장 큰 차이점은 ROG STRIX 모델의 경우 LED효과를 제공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LED효과보다는 가성비를 중시하는 유저라면 ASUS DUAL을 눈여겨 볼만하겠죠. 고사양 FHD급 게이밍을 위해 출시된 제품이라고 하는데,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아래 리뷰에서 확인하시죠.

무난한 패키징과 구성품

언박싱

▲ 1080p 게이밍을 위한 제품이라는걸 강조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쿨링의 Axial-tech 팬과 튼튼한 알루미늄 백플레이트, 그리고 전용 소프트웨어등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포장용 스펀지가 사용되는데, 종이 박스로 둘러 싸여있어서, 배송중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제품이 잘 보호될까 걱정이 들었지만, 열어보니 별 이상은 없더군요. 특히하게도 포켓몬 카드같은걸 주는데, 6600 XT가 비교적 낮은 등급의 보급형 카드는 맞지만, 굳이 별3개짜리 카드를 줄필요가 있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제품을 구매하면 꼭 해야하는 확인작업 중 하나인 박스와 그래픽카드의 시리얼번호를 대조해 봐야겠죠?

ASUS DUAL 라데온 RX 6600 XT

제품소개

▲ 전체적으로 무난한 검정색이 사용되었으며, 슈라우드와 백플레이트 모두 사선으로 장식되어 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DUAL이라는 이름에서부터 알수 있듯이 한쌍의 Axial-tech 팬이 보이는데, 일반적인 팬들보다 바람을 압축하여 직선으로 강력하게 뿜어 낸다고 합니다. 또한, 요즘 그래픽카드답게 GPU 온도에 따라 쿨링팬을 멈춰 소음을 없애는 제로 DB 팬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제로펜 기능은 50℃를 기준으로 작동합니다. 휨, 내구성 강화를 위한 알루미늄 백플레이트와 GPU 브래킷장착되어 있는게 보이는데, PCIe 커넥터가 약 695g의 무게를 견디기 위해선 그래픽카드 지지대는 필수겠죠. 그 외의 사항으로는 당연하게도 PCIe 인터페이스가 채용되었으며, PCIe 4.0을 지원한다는 점정도가 있겠습니다.


▲ 듀얼팬 제품인 만큼 아담한 사이즈가 돋보이는데, 가로 243mm, 세로 134mm로 부담없는 사이즈입니다. 실루엣으로 살짝 보이는 니켈 도금 구리 베이스와 3개의 6mm 히트파이프가 있으며, 히트싱크의 재질은 알루미늄입니다. 여담으로 윗급이라고 할수 있는 ROG STRIX의 경우 4개의 히트파이프가 사용되었습니다.


▲ 지원하는 포트는 3개의 DP 1.4와 1개의 HDMI 2.1입니다. 즉, 8K 화질에서 60hz 혹은 4K 화질에서 120hz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 원활한 열배출을 위해서 뚫린 디자인 덕분에 양측면 모두 히트싱크가 보입니다.

호환성 좋은 사이즈

인스톨

▲ 2.5 슬롯을 사용하며, 위에서 언급햇듯이 243mm라는 그리 길지 않은 길이 덕분에 왠만한 케이스와 호환성 문제는 없을것이라 판단이 되네요. 파워 커넥터는 PCIe 8 pin 하나만 있어도 되고, 권장 파워 용량은 500W 이상입니다. 제가 그래픽카드를 여러장 다뤄보면서도 처음보는 기능이 있었는데, PCIe 8 pin을 연결하지 않을경우 붉은색 LED가 포트쪽에 들어오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쉽게도 따로 LED 효과는 없었습니다.

벤치마크 & 게이밍

필드테스트

■ 필드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 정보:

▶ 메인보드: ASUS TUF gaming Z590-Plus Wifi

▶ CPU: 인텔 코어i7-11세대 11700K (로켓레이크)

▶ RAM: 마이크론 Crucial Ballistix 8GB DDR4-3200 CL16

▶ CPU 쿨링: 써멀테이크 Floe DX RGB 240 TT 프리미엄 에디션

▶ 파워 서플라이: 에너맥스 REVOLUTION D.F. ERF750EWT 80Plus Gold Full Modular

▶ 모니터: 픽셀아트 PAQ2750F - QHD 165Hz

■ 설정: Driver & Software

▲ 본격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기 전에 필수적인 드라이버와 소프트웨어를 ASUS 홈페이지를 통해 다운로드 받았습니다: https://www.asus.com/Motherboards-Components/Graphics-Cards/Dual/DUAL-RX6600XT-O8G/HelpDesk_knowledge/

■ AMD 라데온 소프트웨어: Adrenalin 21.10.4

활성화하면 좋은 옵션들로는 끊김없는 깨끗한 화면을 제공하는 프리싱크, 빠른 응답시간과 낮은 지연속도 라데온 안티렉, 성능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고 비쥬얼을 높여주는 이미지 샤프닝 등이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테스트 하기전 모두 활성화 해주었습니다.

■ 전용 소프트웨어: GPU TweakII

▲ 그래픽카드의 현재 상태를 그레프와 수치로 함께 확인할 수 있으며, 원클릭 오버클럭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게이밍 모드와 OC 모드가 존재하는데, 게이밍 모드는 제품의 기본적인 상태로 디폴트클럭과 GPU클럭이 일치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레퍼런스 제품의 기본 부스트 클럭인 2,589보다 4MHz높은 제품이라는걸 알 수 있습니다.


▲ OC모드를 선택할 경우 부스트클럭이 2674Mhz까지 쏟아 오르는걸 확인할 수 있는데, 클릭 한번으로 약 3%의 클럭 상승이 이뤄진 모습입니다. 물론 수동오버클럭을 한다면 더 높은 부스트 클럭 확보도 가능하겠지만, 제품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있는 행동인만큼 따로 진행하진 않았습니다. 아래 테스트에서는 기본 상태인 게이밍 모드로 진행하였습니다.


▲ 그외의 기능으로 불필요한 시스템 서비스를 종료 및 메모리를 확보해주는 Gaming Boost 기능과 다양한 툴들을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두었습니다.


"보다 객관적인 판단을 위해서 벤치 마크 프로그램과

자체 벤치 마크를 갖춘 게임을 중심으로 테스트하였습니다"


■ 3D MARK: TIME SPY & FIRE STRIKE

▲ 타임 스파이와 파이어 스트라이크 점수가 평균보다 낮은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아무래도 레퍼런스 클럭에 가까운 만큼 다른 OC 시스템들과 비교했을때 미세하게 낮은듯 합니다. 이러한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목적은 그래픽카드가 제 성능만큼 작동하는지, 그리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인데, 결과값을 두고보면 정상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3D MARK: PORT ROYAL

▲ 포트 로얄의 경우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을 지원하는 게임을 실행했을 때 성능을 대변하는 점수를 보여줍니다. 결과값을 살펴보면 평균보다 40점 높은 점수를 보여주는데, 역시나 정상범주에 들어간다고 할 수 있겠네요. 다만, 현재 출시된 다양한 그래픽카드들과 비교했을때엔 높은편은 아닙니다. 그래픽카드의 온도는 GPU 사용률이 99%에 달할때도 불과 52℃로 매우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 WORLD WAR Z: FHD 울트라 옵션

▲ FHD 울트라 옵션에서 평균 약 134FPS가 측정되었습니다. 세이버 인터렉티브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스웜 엔진이 사용되었습니다. 좀비를 500개체 이상 구현할 수 있는 스웜 엔진을 사용하는 WORLD WAR Z에서도 FHD 울트라 옵션에서 134FPS 이상을 선보이기 때문에 좀비들을 즉각적으로 에임하거나 게임을 즐기기에 원활합니다. FHD 게이밍을 위한 그래픽카드인 만큼 확실한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 BOARDER LAND 3: FHD 울트라 옵션

▲ FHD 울트라 옵션에서 평균 약 75.39FPS가 측정되었습니다. 보더랜드 3에는 고사양 게임에 자주 쓰이는 언리얼 엔진 4가 사용되었습니다. 로그라이크 + FPS + RPG 게임이기 때문에 FPS가 어느정도 중요시되는데, 프레임만으로 판단하자면 다소 아쉬운 성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옵션타협이 어느정도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GOD FALL: FHD 영웅 옵션

▲ FHD 영웅 옵션에서 평균 약 91.3FPS가 측정되었습니다. 위의 게임과 동일한 언리얼 엔진 4가 사용되었습니다. 위의 보더랜드3와 갓 폴은 AMD 제품들을 구매하고 제공받은 게임들이라서 친 AMD게임이라고 할 수 있는데, 프레임이 역시나 잘 나오는것 같습니다. 캠페인형의 RPG 게임이기 때문에 FPS가 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91.3FPS면 굳이 옵션 타협을 안하고 즐길 수있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GOD FALL: Fidelity FX Super Resolution

▲ Fidelity FX Super Resolution (FSR) 를 통한 높은 비쥬얼과 성능을 모두 챙기는 방법도 있습니다. FSR 옵션중에서도 성능 옵션을 선택했더니, FPS가 약 135.3으로 수직 상승한 모습입니다.


▲ 스틸샷에서는 위화감이 없을지 모르겠으나, 실제플레이에선 픽셀이 조잡해지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저라면 굳이 RPG게임에서는 FSR기능을 활성화하진 않을것 같습니다. ※ FSR은 모든 게임에서 지원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 번외: 오버워치 게임플레이


▲ 라데온 소프트웨어 녹화 기능을 사용하여 제가 즐겨하는 오버워치 게임플레이를 저장하였습니다. FHD 60FPS 녹화를 지원하며, 팀 보이스 채팅도 모두 녹음이 되더군요. 제 모니터가 최대 165Hz의 주사율을 지원하는데, 그에 따라 프레임을 175FPS로 제한하였습니다. 우측상단을 보시는 것처럼 한타시에도 큰 프레임 드랍없이 부드러운 영상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었습니다.

FHD 게이밍에 찰떡

마무리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오늘 소개드린 ASUS DUAL 라데온 RX 6600 XT의 경우 FHD 게이밍을 즐길때 가장 궁합이 잘 맞는다는 생각이 듭니다. RX 6600 XT게이밍 성능은 위의 벤치마크 및 테스트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FPS류가 아니라면 고사양 게임에서도 옵션타협 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만큼 상당한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FSR 기능으로 성능을 강화하는 방법도 있구요.

오늘 제품을 테스트하면서 가장 인상깊었던 점은 다양한 GPU 테스트를 연속해서 진행하는데도 불구하고 GPU온도가 60℃를 넘기는 경우가 없었다는 점입니다. 대략적으로 55℃ 수준으로 머물렀는데, Axial-tech 팬이 주요 장점 중 하나로 꼽힐만 한것 같습니다. 다만 뛰어난 쿨링 성능만큼 그 소음은 상당했는데, 소음에 민감하신 분들이라면 팬속을 조금 낮춰 설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늘 리뷰에서는 보여드리지 못했지만, 라이젠과 라데온을 같이 쓰면 성능 상승(SAM 기능)시킬 수 있다는 메리트가 존재합니다. 무상보증 기간의 경우 3년을 제공하고 있는건 타브랜드와 동일합니다. 이상으로 ASUS DUAL 라데온 RX 6600 XT의 리뷰를 마칩니다.

해당 컨텐츠는 대원CTS로 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