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S H81H3 MV메인.jpg



■ ECS H81H3-MV 코잇(COIT) 가성비 최고의 메인보드!

인텔 4세대 프로세서인 하스웰의 출시와 더불어 8시리즈 칩셋이 적용된 다양한 메인보드가 출시되었다. 프리미엄급 메인보드에 적용되는 Z87 부터 H87, B85, 가장 저렴한 보급형 칩셋이 적용된 H81 까지 총 4가지로 구분된다. 각각의 칩셋이 지닌 특성,  지원하는 기능적 차이가 있지만 칩셋에 따른 성능 차이는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목적에 부합되는 메인보드를 선택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라 하겠다.

 

최근에 출시된 하스웰 리프레시를 지원하는 9시리즈 칩셋이 적용된 메인보드가 출시되면서 소비자들이 어디에 눈을 돌려야 할지 고민아닌 고민을 하게 되기도 한다. LGA1150 소켓은 동일하지만 곧 출시될 5세대 프로세서인 '브로드웰'을 생각하면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고민이 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2세대 또는 3세대 프로세서나 AMD 프로세서를 사용하고 있던 사용자가 하스웰이나 하스웰 리플레시를 부담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하기에는 가장 저렴한 칩셋인 H81이 제격이라 할 수 있겠다. 

 

이번에 소개하게 될 메인보드는 ECS의 국내 공식 수입유통사인 (주)코잇(COIT)에서 선보인 H81H3-MV다. H81H3-MV는 M-ATX 폼펙터 타입에 4페이즈 전원부, 최대 16GB, 듀얼 구성이 가능한 2개의 메모리 슬롯, SATA 6Gb/s x 2개, SATA 3Gb/s x 2개, PCI Express x16, PCI Express x 1 2개의 슬롯을 구성하고 있다.  HDMI 포트를 포함한 3-VGA 출력 단자와  고품질의 솔리드 캐패시터로 내구성과 안정성, 실용성 까지 겸비한 H81 메인보드로 최근에 출시된 하스웰 리프레시를 완벽 지원한다.  4만원대 초반(2014년 8월 22일 기준 43,400원)의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되었지만 메인스트림급 시스템을 구성하기에 전혀 부족함이 없는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저렴한 메인보드', '보급형 메인보드'라고 생각하겠지만 헤비유저나, 하이엔드급 시스템을 구성하고자 하지 않는다면 H81이나 Z87의 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고사양 게임은 물론, 그래픽작업,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즐기는데 부족함이 없다. 가격적인 스펙으로 따진다면 다양한 디스플레이 출력 포트(HDMI, DVI-D, D-Sub)와 듀라손 테크놀러지 적용, 무상 3년 워런티, SATA3와 USB 3.0지원, 동급대비 안정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전원부 등 흠잡을때 없는 성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헤비 유저가 아닌 이상 문서작업, 웹서핑, 간단한 게임 등에 사용되는 일반 사용자의 시스템 구성에 적합한 ECS H81H3-MV의 패키지, 구성품, 외형, 특징, 성능에 대해서 알아보고 하스웰 프로세서(I5-4670K)와 조합시 어떤 성능과 특징을 보여주는지 알아보록 하겠다.

 

 

 

 

 



ECS H81H3 MV패키징.jpg



■ 박스 디자인 살펴보기

Micro-ATX 폼펙터의 사이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박스 또한 아담한 사이즈로 구성되었다. 전체적인 디자인을 살펴보면 오렌지 컬러와 블루 컬러의 조합으로 타사브랜드의 메인보드 패키징과 다른  깔끔하고 감각적인 면을 발견할 수 있다.

 

박스 전면에는 제품명과 제조사의 브랜드 로고, 지원 소켓, 프로세서 등이 기재되었다. 우측 하단을 살펴보면 3년 무상 워런티 스티커가 부착되었는데 코잇(COIT)에서 올해 4월 부터 유통되는 모든 ECS 메인보드 제품애 대해 3년 무상 A/S를 실시하여 소비자들에게 더욱 향상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정책이라고 한다. 하단에는  아이콘 형태로 지원 프로세서 및 윈도우 8.1 호환, 듀라손 테크놀러지와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후면에는 제품 이미지와 함께 사양, 듀라손 테크놀러지, 메인보드의 주요특징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고 아이콘 형태로 ECS에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가 표기 되어있다. 우측 하단에는 스마트폰으로 메인보드의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QR 코드가 위치하고 있다.

 

 

■ DURATHON 테크놀러지로 안정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ECS H81H3-MV 코잇(COIT)에는 ECS의 듀라손 테크롤러지가 적용되었다. 3중 고밀도 PCB를 통해 메인보드에 데미지를 줄 수 있는 습기에 강한 내구성을 제공하고 극 저온, 극 고온 환경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1500여종이 넘는 테스트를 통과해 안정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며 슈퍼 솔리드 캐패시터 적용으로 200,000시간(약 22년)의 수명을 제공한다.

 

 

 

 

 

 



ECS H81H3 MV구성품.jpg

 

 

■ 구성품 살펴보기

ECS H81H3-MV의 내용물은 메인보드 본체, 사용자 안내서, 드라이버 & 소프트웨어 DVD, SATA 케이블 x 2개, I/O 쉴드로 구성되었다.

 

 

 

 

 

 

 



ECS H81H3 MV구성품1.jpg



사용자 안내서를 보면 메인보드의 사양 / 구성 요소 / 각종 점퍼, 핀, 헤더, I/O 포트와 관련된 내용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있으며 '빠른 설치 가이드'는 한국어를 포함한 11개국 어로 이미지와 함께 간단 명료하게 기재되어있다. 각종 소프트웨어와 드라이버가 포함된 DVD 또한 박스 디자인과 비슷하게 구성되었으며, SATA3(6Gb/s) 케이블은 커넥터에 락킹(Locking Cable)이 적용된 제품으로 일반 SATA 케이블에 비해 좀 더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I/O 쉴드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각종 입/출력 포트의 명칭이 음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ECS H81H3 MV외형.jpg


ECS H81H3 MV외형1.jpg



■ 누구나 인정할 만한 가성비로 채워진 ECS H81H3-MV 코잇(COIT)

메인보드가 Micro-ATX 제품이기 때문에 사이즈 또한 아담(225mm x 170mm)하며 PCB는 진갈색을 띄고 SATA 커넥터와 확장슬롯부는 다크그레이와 화이트로 구분되어 깔끔한 인상을 심어준다. 다양한 프로세서를 지원하는 LGA1150 소켓에서 부터 4페이즈 전원부는 장시간 사용해도 무리없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해준다. 각각의 칩셋 및 컨트롤러 또한 잘 정돈되었고 마감처리 또한 깔끔하게 되어있다. 전체적으로 가격대비 우수한 마감처리와 검증된 부품이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CS H81H3 MV외형2.jpg

 

 

■  쾌적한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듀얼 디스플레이 지원 

ECS H81H3-MV 코잇(COIT)은 HDMI / D-Sub / DVI-D 그래픽 출력 포트를 제공한다. 3-VGA 출력 단자를 통해 듀얼 디스플레이 환경을 구성할 수 있어서 좀 더 넓고 쾌적하게 게임은 물론 효율적이 작업이 가능하다. 각종 커넥터 및 핀, 헤더 등도 메인모드 하단에 밀집해있고 명칭이 프린팅 되어 있어서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ECS H81H3 MV성능.jpg

 

 

■ 믿을 수 있는 성능 ECS H81H3-MV

H81H3-MV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구성된 시스템은 이미지에서 보는 것과 동일하며, 내장 그래픽 코어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그래픽카드는 추가하지 않았다. 측정과 동시에 제공된 비교 제품의 값은 메인보드를 제외한 동일한 환경에서 측정된 값으로 CPU 및 인텔 HD Graphics의 성능 등을 언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테스트에서 도출된 값과 방식, 다양한 자료는 사용자마다 차이가 있고 100% 신뢰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기 때문에 제공되는 자료는 참고자료 정도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

 

 

 

 

 

 

 



ECS H81H3 MV성능1.jpg

 

 

■ 헤비유저가 아니라면 H81만으로도 괜찮겠는데?

테스트 시스템 구축 후 CPU-z를 통해서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 메모리, 그래픽, 저장장치의 성능을 간단하게 테스트, 확인할 수 있는 '윈도우 체험지수' 를 보면 비교 제품으로 진행한 Z87 제품 보다 그래픽, 메모리 부문에서 좀 더 높은 점수가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81에서 지원하지 못하는 기능을 제외 한다면 최고사양의 칩셋이 적용된 제품과 크게 다를바 없다.

 

 

 

 

 

 

 



ECS H81H3 MVSuper-PI.jpg

 

 

■ Super Pi

Super Pi는 CPU의 파이(π) 값을 사용자가 직접 선정해서 연사에 소요된 시간을 구하는 것으로 싱글코어의 원주율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으로 측정이 완료디는 시간(Sec)을 기준으로 프로세서의 성능을 비교할 수 있다. 1M 싱글코어의 계산에 소요된 시간을 보면 ECS H81H3-MV의 시간이 비슷하거나 앞서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버클럭이 가능한 K시리즈를 구입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저렴한 가격에 동일한 성능을 경험할 수 있는 기기이다.

 

 

 

 

 

 

 



ECS H81H3 MVwprime.jpg

 

 

■ wPrime

wPrime은 Super Pi와 같이 CPU의 연산능력과 오버클럭 후 안정성을 테스트 하는 프로그램이다. 앞에서 진행했던 Super Pi가 싱글코어를 테스트 하는데 사용되었다면 wPrime은 하이퍼스레딩을 지원하는 CPU의 연산속도를 계산한다. 쉽게 설명하면 멀티코어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라고 생각하면 된다. 멀티코어의 경우 앞에서 진행했던 Super Pi의 측정치와 많은 차이는 없지만 약간 시간적으로 비교 제품보다 느리지만 그렇다고 많은 차가 나지 않기 때문에 비슷한 성능을 보여준다고 보면 될 것 같다. 20만원 전후의 제품과 비교했을 때 이정도 성능이면 무엇을 더 바라겠는가?

 

 

 

 

 

 

 

 

 



ECS H81H3 MVvimark.jpg

 

■ ViMark

최근에 멀티미디어의 발달,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 모바일 기기의 뛰어난 발전 및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을 제작하여 공유할 수 있는 사이트가 정말 많아졌다. 그만큼 동영상을 게시하기 위해 파일을 원하는 사이즈로 인코딩 하는 작업도 많아졌다. 이런 인코딩의 속도는 CPU의 성능을 가능할 수 있는 중요한 보기가 된다. 그런 의미에서 ViMark는 별도의 인코딩 작업을 하지 않고도 4가지 종류의 동영상 인코딩을 통해 그 결과 값을 그래프로 표시해 주기 때문에 프로세서간 성능을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신뢰로운 값을 도출할 수 있다.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세가지 제품의 총점을 비교해 보면 H81H3-MV를 통해서 측정된 값이 가장 높다. 확장성이나 지원되는 기능적 특성을 무시하면 성능상으로 만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ECS H81H3 MV3DMARK-11.jpg

 

 

■ 3DMARK 11

3DMARK 11은 DirectX 11의 표준 벤치마크 투로 DX11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테스트한다. 쉽게 말해 그래픽 코어의 테스트에 사용되는 도구로, 가장 핵심적인 기능인 테셀레이션, 더욱더 업그레이드된 광원효과와 그림자 표현 등을 포함한 기능들을 테스트하며 그래픽 테스트는 심해를 배경으로 한 라이트닝 효과와 그림자 효과 테셀레이션 기술이 포함되어 있고 밀림 지역을 배경으로 한 테스트 또한 심해와 같은 종류의 테스트가 진행되며 심해의 2번째, 4번째에서 테셀레이션 효과가 가장 높게 설정되어 있다.

 

Physics Test는 CPU 물리엔진의 처리 속도를 평가하고 Combind Test는 물리엔진과 GPU의 테셀레이션과 라이트닝 효과도 함께 포함되기 때문에 그래픽 카드에 따라 성능이 다르게 평가된다. 하스웰 i5-4670K에 내장된 HD 4600 그래픽 프로세서 및 성능은 1920 x 1080 해상도에서 진행되었으며 동일한 환경에서 총 세번의 테스트를 통해 중간값이 적용되었다. 물리엔진의 경우 비교 제품 보다 비슷 하거나 높게 측정되었고 그래픽 테스트의 경우 가장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총점에서도 ECS H81H3 -MV의 점수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ECS H81H3 MV3DMARK.jpg



 

■ 3DMARK

3DMARK는 FutureMark 社가 개발한 3DMARK의 최신 버전으로 특징이라고 한다면 윈도우즈 전용이 아니라 일부 테스트는 안드로이드나 iOS, 윈도우즈 RT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용 OS로도 나왔다는 것이다. 벤치마크 툴 또한 시대의 트랜드에 적합하게 변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와 보급형 PC용으로 사용되는 ICE STORM, 노트북과 홈 PC용으로 사용되는 CLOUD GATE, 고성능 게임용으로 두 캐릭터의 결투를 그려낸 FIRE STRIKE 총 3가지로 구분된다.

 

앞에서 진행했던 3DMARK 11과 다르게 H81H3-MV의 값이 비교제품들과 비슷하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리연산 에서부터 그래픽까지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고 거의 비슷한 점수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성능상으로 봐도 H81 칩셋이라고 일반 사용자가 사용할 때 만족할 수 있는 성능을 이끌어 내고 있다.

 

 

 

 

 

 

 

 



ECS H81H3 MVUnigine-heaven-benchmark.jpg

 

 

■ Unigine Heaven Benchmark

그래픽코어의 성능을 테스트 하는데 있어서 FutureMark 社의 벤치마크와 함께 사용되는 대중적인 벤치마크 쿨인 Unigin Heaven Benchmark는 Direct X 기반 테셀레이션 성능을 측정하고 4.0 버전으로 렌더링 세부효과 개선, 품질 프리셋을 지원하고 있다. 앞에서 진행된 벤치마크 툴과 크게 다르지 않게 비교 제품과 높거나 비슷하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성능으로 증명하듯이 애써서 최상위 칩셋이 적용된 제품을 선택하는 것 보다 사용자의 목적에 부합되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할 수 있다. 

 

 

 

 

 

 



ECS H81H3 MVUnigine-valley.jpg



■ Unigine Valley

Unigine의 또 다른 벤치마크 툴인 Valley는 GPU의 성능을 높게 요구하기 때문에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공통된 기준을 제시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Valley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Heaven Benchmark와 마찬가지로 DirectX 11기반의 테셀레이션 성능을 측정하며 계곡을 마치 저공비행 하듯이 바위, 광원효과, 그림자효과 등 다양한 부분에 있어서 테스트를 진행하는 새로운 GPU 능력 테스트 도구라 할 수 있다.

 

테스트 후 값을 비교해 보면 ECS H81H3-MV의 평균 FPS 수치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총점에서는 Z97 보다 상당히 높게 측정되었고 전체적으로 모두 비교 제품보다 상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ECS H81H3 MV배틀필드4.jpg



■ BattleField4

FPS 게임의 대명사라 할 수 있는 배틀필드 시리즈의 최신작이라 할 수 있는 '배틀필드4(BATTLEFIELD4)'는 EA가 자랑하는 강력한 물리엔진인 프로스트바이트3를 장착해 최고 수준의 그래픽 퀄리티를 요구하는 게임이다.

 

1920 x 1080 해상도, 영상품질 '낮음' 설정을 통해서 진행된 테스트는 객관적인 수치를 도출하기 위해 동일한 구간에서 총 3회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중간 값을 기준으로 그래프로 표시했다. FPS 게임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20FPS를 충족시켜야 하는데 ECS H81H3-MV 코잇(COIT)을 통해 측정된 평균 프레임은 19.767로 20 프레임에 가깝다. HD 4600 임데도 불구하고 낮은 옵션으로 배틀필드4를 즐길 수 있는 것도 포인트다. H81 칩셋이 적용된 모델의 경우 PCI 3.0 슬롯을 지원하지는 않지만 PCI-Express 2.0을 통해서도 좀 더 향상된 그래픽 환경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고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시 별도이 그래픽카드 구매로 이 부분은 해결이 가능하다. 상위 Z87의 경우 PCI-E 3.0을 지원하긴 하지만 가격대비 성능비로 본다면 무조건 Z97 칩셋이 적용된 제품을 구입하는 것 보다 현재 사용자의 환경 및 요구사항에 맞추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ECS H81H3 MV크라이시스3.jpg

 

 

■ Crysis 3

크라이시스 시리즈는 최강의 그래픽 성능을 요구함은 물론 PC의 성능을 평가하는 벤치마크 프로그램으로 사용될 만큼 완성도 높은 게임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 게임 제작의 기반으로 사용되고 있는 '크라이엔지'의 기능과 성능을 완전하게 사용하고 있어 1인칭 FPS 게임에 있어서 '최고'라 할 수 있다.

 

'LOW' 설정을 통해서 진행된 테스트에서 평균 12.178의 낮은 프레임을 기록했다. 실제로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끈김현상이나 부드럽지 못한 화면전환를 경험할 수 있었다. H81H3-MV 뿐만 아니라 비교군 제품도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기 때문에 ECS H81H3-MV 값만 표기했다. Z97 칩셋이 적용된 메인보드의 성능과 비교했을 때 대부분 비슷하게 측정되었다는 것이 결론이다.

 

 

 

 

 

 

 



ECS H81H3 MVPCMARK-8.jpg

 

 

■ PCMARK 8

PCMARK 8은 FutureMark 社의 PC 벤치마크 최신 버전으로 PC의 전체적인 성능을 테스트 하는 도구이다.

Home, Creative, Work, Storage, Applications 5가지 별도 벤치마크 테스트를 통해서 현재 사용자의 시스템을 평가할 수 있고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다.

 

테스트를 통해서 측정된 값은 비교 제품 보다 높거나 비슷하게 측정되었으며 소요시간 또한 많은 차이가 없었다. 오버클럭이나 다양한 확장성을 고려하지 않는 사용자라면 K시리즈가 아닌 프로세서를 선택후 ECS H81H3-MV와 조합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가져본다.

 

 

 

 

 

 

 

 



ECS H81H3 MV메모리-벤치마크.jpg

 

 

 MEMORY TEST

ECS H81H3-MV 코잇(COIT)의 메모리는 비교제품과 동일한 메모리가 적용되었다. 메인보드에서 최대 16GB, 1600 / 1333 / 1066MHz 를 지원하며, 듀얼 채널 메모리 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헤비 유저와 달리 일반 사용자라면 메모리 업그레이드 없이 만족하고 사용할 수 있다. Z87 칩셋이 적용된 메인보드와 비교해도 지연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훨씬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장착된 메모리의 성능을 정상적으로 이끌어 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 제품보다 높게 측정되었기 때문에 하이엔드급 시스템을 구성하지 않는 일반 사용자에게 가성비 면에서 '만족'할 수 있는 기기이다.

 

 

 

 

 

 

 

 



ECS H81H3 MVSATA6.jpg



■ SATA 6.0 Gb/s

인텔 3세대 컨트롤러인 PC29AS21CA0이 탑재되었고 읽기 550MB/s, 쓰기 270MB/s 속도를 보여주는 intel SSD 730 시리즈 240GB를 SATA 6.0 Gb/s 포트에 연결 후 CrystalDiskMark, HD Tune Pro를 통해서 측정했다. CrystalDiskMark는 크게 순차속도 측정, 임의 속도 측정으로 구분할 수 있고 작게 Seq(순차속도 측정), 임의속도 512KB, 4KB, 4KB Queve Depth32)로 나눌 수 있다.  Seq는 지속적 읽기 쓰기로 대용량 파일의 전송속도 테스트에 사용되고 512K는 512K에 대한 무작위 읽기, 쓰기 테스트로 주용한 프로그램 설치에 해당 용량으로 많이 사용된다. 4K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윈도우 운영체제에 가장 작은 단위의 분활크기로 문서파일이나 시스템 등 작은 파일을 중요하게 다루는 OS용 이라 할 수 있다. 4K QD32는 SSD의 4K 성능 지표라고 생각하면 된다.

 

Clean과 Dirty 상태에서 측정된 값을 비교해 보면 51% 수준의 사용량 임에도 불구하고 꽤 만족스러운 속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Z97 메인보드와 비교했을 때도 크게 다르지 않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모두 동일한 SATA 6.0 Gb/s에 연결 후 3회 측정을 시도 했지만 거의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다.

 

 

 

 

 

 

 



ECS H81H3 MV네트워크.jpg



■ REALTEK 8111G

ECS H81H3-MV 코잇(COIT)에 적용된 칩셋은 REALTEK® 8111G Gigabit LAN으로 H81H3-MV 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메인보드에 적용되는 칩셋이다. 비교 제품에 탑재된 RTL811F, RTL811E와 동일한 통신사에서 측정된 '인터넷 품질측정' 결과를 보면 다운로드/업로드 속도가 가장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된 수치이기 때문에 객관성이 높다. 가성비로 따진다면 이만한 제품도 없는 것 같다.

 

 

 

 

 

 

 



ECS H81H3 MV바이오스-1.jpg

ECS H81H3 MV바이오스.jpg



■ ECS UEFI EZ BIOS

깔끔하고 화려한 GUI 타입의 UEFI 바이오스는 한글이 지원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마우스로 클릭해서 시스템 설정이 가능한 EZ MODE는 ECO 모드(저소음 저발열​), 보통 모드(일반적인 성능), 오버클럭 모드(향상된 성능)로 나뉘며 간편하게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H81 칩셋 제품의 경우는 지원되지 않는 것이 약간 아쉽다.

 

고급 모드를 통해서 좀 더 세밀하고 정교한 설정이 가능한데, M.I.B Ⅲ의 경우는 지원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 또한 아쉬운 부분이다. 하지만 언급했던 것 처럼 ECS H81H3-MV 코잇(COIT)의 경우 K시리즈가 아니라면 최상의 퍼모먼스를 완벽하게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ECS H81H3 MV소프트웨어.jpg



■ 쉽고 편안한 그리고 실용적인 ECS만의 유틸리티!

최근 출시되는 메인보드의 경우 대부분 성능, 내구성, 안정성에 있어서 어느정도 보편화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제조사 만의 특별한 경험과 기술이 적용되어 좀 더 실용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메인보드를 선택하는 기준이되고 조건이 된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ECS H81H3-MV 또한 ECS만의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좀 더 편하게 실용적으로 쾌적한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에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번들로 제공하는 것 도 소비자 입장에서는 만족스러운 경험이라 할 수 있겠다. 아쉬운 부분이라면 정품이 아닌 Trial Version(30일 사용)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ECS H81H3 MV외형-마무리.jpg



■ 가격, 성능, 실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경쟁력있는 메인보드 ECS H81H3-MV

지금까지 (주)코잇(http://www.coit.co.kr/)에서  공식 유통하는 ECS H81H3-MV 코잇(COIT)의 패키지, 외형, 특징, 성능에 대해서 알아봤다.  언급했던 것 처럼 보급형 칩셋인 H81칩셋이 적용되었는데 '보급형' 이라고 성능이 뒤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최상위 칩셋인 Z87에서 부터 보급형 까지 지원하는 기능이 각기 다르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일반적으로 최상위 칩셋인 Z87의 경우는 지원하는 기능도 많기 때문에 헤비 유저나 고사양을 요구하는 작업 또는 고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을 위해 시스템을 구성하거나, 뛰어난 확장성을 요구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이라 할 수 있다.

 

목적에 맞게 실용성과 효율성을 따져가며 꼼꼼하게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비자들도 있지만 PC 부품과 관련해서 문외한 일반 소비자들의 경우는 자신이 어떤 용도로 사용하는지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고사양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고가의 메인보드를 장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는 실용성 부분이나 효율성 부분에서 잘못된 선택이라 할 수 있고, 시시각각 변모하는 PC핵심 부품의 흐름으로 볼때 금전적인 손실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라 하겠다.

 

현명한 선택! 나에게 가장 잘 맞는 메인보드는?

쉽게 말하면 내가 저사양의 게임을 좋아하거나, 웹서핑이나 동영상 위주로 사용한다면 일부러 고가의 메인보드를 선택할 이유는 없다. 저가의 보급형 메인보드도 안정성과 내구성 면에서 이미 많은 테스트를 거쳐 긴수명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성능에 있어서도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개인의 목적, 환경, 평상시에 시스템을 어떻게 운용하고 있는지가 핵심적인 포인트 이며 이를 기준으로 PC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현명한 소비자의 지름길 이다.

 

그런 의미에서 ECS H81H3-MV는 문서작업, 웹서핑, 고사양을 요구하지 않는 게임(i5-4670의 HD 4600의 경우) 등 일반 사용자가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고 저렴한 가격에 고민하지 않고 하스웰, 하스웰 리프레시, 팬티엄, 셀러론 프로세서가 장착된 시스템을 구성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기기라 할 수 있다.

 

특히 보급형 메인보드임에도 불구하고 ECS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유틸리티와 병행해서 사용하면 편리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아쉬운 부분이라고 언급하기는 그렇지만 최신 인터페이스인 온보드 USB 3.0 헤더가 적용되지 않았고 오버 클럭 및 PCI-E 3.0 미지원, 듀얼 그래픽 카드 미지원, SATA 6 Gb/s x 2, SATA 3Gb/s x 2로 스토리지가 줄어서 확장성 부분에서 약간 아쉽다는 것 인데 H81 칩셋의 특성상 어쩔 수 없기 때무에 이 부분 또한 현명한 소비자라면 이미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최근에 지원되는 제품도 있지만 전원부나 여러가지 면에서 차라리 안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래서 ECS H81H3-MV를 소개하고 싶다.

 

4세대 프로세서 하스웰 i5-4670K를 통해서 다양한 제품과 비교햇지만 성능상 별반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고사양을 요구하지 않거나 개인의 사용 목적에 맞게 제품을 선택한다면 ECS H81H3-MV를 통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최상의 성능을 경험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이 사용기는 코잇(COIT)에서 제공된 ECS H81H3-MV로 작성되었습니다.

 

 

 

 

 

 



ECS H81H3 MV메인사진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