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옵테인 메모리?

옵테인 메모리는 신제품 발표회나 다나와DPG 캠프 등 하드웨어 관련한 오프라인 행사장에서

많이 소개되는 아이템입니다. 메모리 또는 인텔 Optane Memory M.2 2280 (16GB)란 명칭으로

제품명만 봐서는 이름은 저장장치인데, 16GB밖에 안되는가란 의문이 들겁니다.



 옵테인 메모리의 주목적은 HDD 저장장치의 읽기,쓰기 속도를 비약적으로 발전 시켜서

저렴하고 용량이 큰 HDD를 SSD와 비슷한 수준의 성능을 내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확 달라진 옵테인 메모리

1. 저렴해진 가격 2. 보조 저장장치도 옵테인 기능 활성화!

출시 초창기에 옵테인 메모리 16GB 기준으로 7만원 초반대의 가격이지만, 

현재 동일한 제품이 3만원이 못 미치는 저렴한 가격대를 형성하여 가격경쟁력을 

갖추게되었습니다. 


 최근 업데이트로 보조저장장치까지 지원하게되었으며, 이 변화는 앞으로 옵테인 보급화를

가속할거라 예상됩니다. OS가 설치된 주저장장치가 아닌 보조로 사용하는 D드라이브라도 

옵테인 메모리를  적용 시 HDD의 속도가 굉장히 빨라지는 것을 벤치마크를 통하여 

확인하였습니다. 


▶ 1년 사이 확 저렴해진 옵테인메모리


■옵테인 메모리, 사용 시 알아둘 점

옵테인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서 몇가지 기본 사항이 있습니다.

1. 7세대 카비레이크 CPU ( i3 ,i5 ,i7 지원  / 펜티엄 , 셀러론 미지원) 이상의 

CPU와 최신 메인보드등에서 지원합니다.

지원하는 메인보드 목록 (B360 등 최신 메인보드는 제조사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https://www.intel.co.kr/content/www/kr/ko/architecture-and-technology/optane-memory-ready-boards-where-to-buy.html

2. 바오이스 버젼에 따라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필요 할 수 있습니다.

3. 당연하지만, M.2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윈도우 10 64bit UEFI 모드에서 작동하며, 리뷰는 윈도우 재설치 후 진행하였습니다.



■패키지 및 구성품


인텔을 상징하는 다크블루 색상의 패키지 박스가 작고 아담하지만, 강렬한 인상을 줍니다.

박스 상단에는 피씨디렉트 정품 스티커가 부착되어있으며, 제품의 용량등이 기술되어있습니다.

또한 5년 워런티란 글자가 적혀있으며, 상당히 긴 보증기간을 갖고 있는 제품입니다.



 측면에는 봉인 스티커와 제품 고유의 번호가 적혀있으며, 패키지 박스의 크기는 납작하지만

인텔 CPU의 포장과 비슷한 느낌이 들기도합니다.





구성품

경고문구, 옵테인 메모리, 스티커, 메뉴얼 등이 있습니다.







M.2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최신 메인보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옵테인메모리는 크기가 아주 작고, 노트북에 탑재해도 거의 무게가 느껴지지않을 것 같습니다.

무게가 100원짜리 동전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카드와 비교해봤는데, 크기가 얼마나 작은지 체감이 되실겁니다.



■ 설치 : 장착, 바이오스 업데이트, 드라이버 설치


1. 바이오스 업데이트

기가바이트 H270 Gaming3 메인보드를 사용 중이며, 출시 초창기 제품이라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안된 상태입니다. 제조사의 홈페이지에서 바이오스를 다운받아서 USB에 저장합니다.



※ 메인보드의 바이오스가 옵테인을 지원할 경우 업데이트가 필요없으며, 

바이오스 업데이트 시 기존에 자료는 모두 백업한 후 신중히 결정해야합니다.


 PC를 재부팅 한후 DEL키를 연타하여 바이오스에 진입합니다. Q Flash란 항목에서 USB 저장된 바이오스파일을 불러와서 업데이트를 합니다. 

 
 방금 설명한 방법도 있으나, USB 인식이 되지않아서, 기가바이트 APP과 바이오스 어플을 
사용하여 USB 저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업데이트를 하였습니다.


2. 바이오스 설정

SATA모드 설정을 기존에 AHCI에서 Intel RST Premium with Intel Optane 

System Acceleration로 변경합니다. Use RST LEgacy OROM을 미사용으로 설정하였습니다. 

기가바이트의 옵테인 설정 캡쳐화면 설명의 경우  바이오스 화면이 달라서 이 부분을 

설정하는데 애를 먹었습니다.







3. 윈도우 클린설치

리뷰를 위하여 보유한 2TB의 HDD의 포맷한 후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여 진행하였습니다.


4. 메모리시스템 가속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드라이버 설치

https://downloadcenter.intel.com/ko/download/27682/-Optane-?_ga=2.75222994.1982256954.1526412384-1850556801.1526399013

흔히 포맷 후 윈도우 설치 후 인텔 빠른 스토리지 기술을 주로 설치할겁니다.

그러나 인텔® Optane™ 메모리시스템 가속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드라이버를 

설치해야하며, 중복하여 설치할 수 없습니다. 




5. 옵테인 메모리를 적용

리뷰에서는 윈도우가 설치된 HDD와 저장용으로 사용하는 D드라이브용HDD 2가지 모두 각각 적용해으며, 윈도우가 설치되지않는 HDD에도 옵테인이 적용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벤치마크는 윈도우 설치된 HDD위주로 진행하였습니다.








■옵테인 메모리, 벤치마크 테스트


1) 옵테인 메모리, 적용 전 후 비교 벤치마크

 크리스탈벤치마크, ATTO, 안빌 등 주요 벤치마크 프로그램으로 HDD 저장장치의 속도를 체크하였습니다.

옵테인 적용 전과 후과 눈에 띄게 차이를 보이는 모습니다. 


 보조 장치로 사용 중인 HDD의 경우에도 옵테인 적용 시 윈도우가 설치된 HDD와 

비슷한 속도를 보여줬으며, 옵테인 활성화는 HDD 1개만 적용이 가능하여 윈도우가 

설치된 HDD에 적용하였습니다. 활성화와 비활성화는 간단히 소프트웨어로 할 수 있으며, 

재부팅 한번이면 적용됩니다.







▶CrystalDisk Info&Benchmark 옵테인 적용 전 / 후




▶Anvill's Storage Benchmark 옵테인 적용 전 / 후



▶ ATTO Disk Benchmark 옵테인 적용 전 / 후



▶CPU 및 VGA 벤치마크 (번외)

옵테인 메모리를 사용 시 CPU저하가 있다는 글이 봤는데, 

벤치마크를 돌려보니 성능 저하는 없었고, 아주 정상적으로 작동하였습니다.


GTX1080 2.2만점대 후반, i7 7700K 1.3만점대 후반으로 동일 스펙의 점수와 비교해도 준수한 성능입니다.






■ 게임 및 윈도우 실행 속도


 HDD를 한 4년만에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지금도 HDD만 사용하는 분들이 많을겁니다.

오랜만에 HDD에 윈도우를 설치하여 옵테인을 적용하지 않고 부팅을 하는데, 

PC가 고장인가 싶을정도로굉장히 느린 부팅 속도를 보여줍니다. 


 버튼을 누른 후 윈도우 바탕화면이 뜨기까지 50초 이상이 소요됩니다. 반면, 옵테인의 경우 적용 직후 부팅해보면 20초 가량 소요되며, 옵테인이 반복 작업을 많이 할 수록 해당 작업이

빨라진다고 하니, 사용할 수록 더 단축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게임 로딩속도도 전체적으로30~40%가량 빨라졌으며, 체감이 될정도의 성능 변화를 보여줍니다.





윈도우 부팅 속도 비교 영상





■ 옵테인 메모리, 1기가 압축 속도 및 파일 이동 속도 테스트


옵테인이 적용된 HDD의 경우 11초, 기존 HDD의 경우 23초, SSD의 경우 7~8초 가량 소요되며,

압축 기준으로 옵테인이 적용된 HDD가 SSD 성능과 가까운 결과를 보여줍니다. 다만 파일이동의

경우 SSD의 경우 4~500Mb/s, HDD는 150mb/s, 옵테인 HDD는 180Mb/s로 파일 이동 시간은

HDD보다 약간 빨랐습니다.


▷옵테인 미적용 HDD 1GB 사진 파일 압축 : 23초



옵테인 적용 HDD 1GB 사진 파일 압축 : 11초




■ 옵테인 메모리, 테스트 결론


"보조저장장치까지 지원, 저렴해지고, 활용성이 좋아진 옵테인 메모리"




- 출시 초창기 가격의 40% 수준, 옵테인 16GB 3만원도 안하는 저렴한 가격

- 보조저장장치(D드라이브, HDD)에도 적용 가능해진 옵테인 메모리(최신 버전 기준)

- 읽기속도가 빨라진 만큼 게임 및 윈도우 부팅속도가 SSD에 근접한 결과를 보여줌

- 쓰기 속도는 다소 아쉬운편이며, 파일 이동 속도는 기존 HDD보다 약간 빠른 결과

- 카비레이크 및 200번대 메인보드 이상의 최신 하드웨어에 호환된다. 

   (구매 시 호환여부 확인은 필수!)


'옵테인 메모리, 이런 분들에게 추천'

- SSD를 OS설치하는 메인 저장장치로 사용하고, HDD를 보조 저장장치로 

  사용하는 카비레이크 이상 최신 PC를 조립하는 분

- HDD를 메인으로 사용하는 분, 500GB 이상의 대용량 SSD 가격이 부담되는 분


"이 사용기는 다나와를 통하여 피씨디렉트에서 제품을 제공받아서 작성하였습니다."